저거 때문에 내가 튜브 잠갔는지 네 번씩 본다. 그래도 어차피 빨리하나 느리게 하나 10분 정도 차이남 조립하는데
갸아악구와악2018/09/06 09:31
근데 보통 저런데 액체 쓰려면 비전도체 쓰지 않으려나??
좌전일우코난 여행사2018/09/06 09:33
그건 유냉이라고 다른거임
25BQ2018/09/06 09:32
(푸슛)
돼지는 삐약삐약2018/09/06 09:35
왜 튜브 만들다 말고 저런 거야?
군필 여고생2018/09/06 09:36
저런 위험성이 있는데 수냉을 왜 쓰는거야?
효과가 더 있나?
바보야빌런2018/09/06 09:37
기관총도 보면 수냉식있고 공냉식 있잖아요
익명-DY1NDAx2018/09/06 09:38
멋있고
쿨링잘됨
군필 여고생2018/09/06 09:39
오호...
최고다 세리쟝2018/09/06 09:39
냉각 성능이 압도적이고 간지가 남 뭣보다
최고다 세리쟝2018/09/06 09:39
대신 유지보스가 공랭보다 빡세지. 부식 문제도 있고.
흑백냥이2018/09/06 10:00
ㄴㄴ 냉각성능이 막 압도적이지는 않음. 겁나 까다로움. 가장 좋은 축에 끼는 거. 수냉이 좋은 이유는 냉각수의 양이 많기 때문이고, 실제 커스텀에서 그걸 모티브로 따라하지만, 그것 조차도 냉각수가 적정량은 은 아님. 평균 1.5~ 2리터 하는데, 4리터 이상이 좋음.
무엇보다 냉각성능을 그렇게 뽑아내려면 cpu오버클럭을 해야하고, 그렇지 않으면 굳이 커스텀 수냉을 할 필요는 없음.
작업량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인데, 가격을 생각하면 녹투아 쓰는게 더 좋을 수도 있음.
커스텀 수냉으로 하면 비용이 감당 안되고, 보통 cpu만 수냉으로 돌리는데, 냉각수가 부족함.
그래서 커스텀 하지 않는 이상에야. 사제공랭쿨러와 시판 수냉쿨러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면 됨.
최고다 세리쟝2018/09/06 10:06
레알 오클 끝까지 올리고 할 거 아니면 수냉은 그냥 감성의 영역이지...
흑백냥이2018/09/06 10:12
회로 타들어 가는 소리 들린다!
오버클럭 하려면 커스텀 수냉은 무조건 뚜따도 같이 해야 함. k모델 빡....그래서 커스텀 수냉이 감성 + 돈지랄 이라는 거지.
호환되는 메인보드와 렘, 그래픽 까지 연결하면 이제 우리는 100만원이 사라지는 기적을 볼 수 있음.
커스텀 수냉은 새로 컴퓨터 하나 맟추는 것이라고 봐도 무방.
최고다 세리쟝2018/09/06 10:14
오클 잘되는거 이제 몇 주차 인지 정보공유해서 구하고 뚜껑 따고...이제 배수 올려가면서 안정화 보고...삼디막 파스 점수 올리고...몇 년 전에 하고 그랬는데 요즘은 다 귀찮아서 그냥 순정으로 씀. 역시 순정이 최고야 ㅋㅋㅋ
Raelive2018/09/06 10:14
윗분 말에 부연설명을 좀 붙이자면 공랭쿨러는 사실 더이상 발전하기가 어려운게 방열판크기가 어느정도 제한되어있어서
성능향상이 사실상 더이상 향상시키기가 어려운 반면 수랭은 상대적으로 그런부분에선 좀 더 자유로움.,
물론 케이스에 들어가는 크기 기준으로 하면 수랭도 공랭에 비해서 그렇게 썩 굉장하다고 하기엔 거시기하기는 함.
근데 ㅅㅂ 멋지다고! 그것은 남자의 로망! 오오
Hegre-art2018/09/06 09:40
이래서 우리는 일체형 수랭을 써야 합니다
Raelive2018/09/06 10:16
걱정마세요. 일체형 수랭도 터집니다.
제가 그렇게 1달전에 메인보드+VGA+파워를 한방에 보냈죠;;
일체형수랭은 누수에 의한 제품손실비를 보장해주는게 브랜드별로 다른데 반드시 확인해보고 사야합니다.
(물론 제가 쓰던 실버스톤은 유일하게 보장 안 해주는 브랜드더군요 ^^ 전액 자비로 땜빵)
*DGC*기동타격대2018/09/06 09:42
나도 모르게 소리질렀다;;;
화이트리빙리퀴드멍2018/09/06 09:49
전원도 안 끄고;;
그레이트윤2018/09/06 09:49
공냉은 기껏고장나봐야 모터 갈리는거고 그럴경우 바로 아는데 수냉은 써모 터지거나 관 찢어지면 주변 모든 제품을 동반■■ 시킴...
P-kle2018/09/06 09:50
그냥 유냉으로 미네랄 오일에 담궈버리는게 편할듯
흑백냥이2018/09/06 10:04
유냉이 온도관리가 더 빡셈. 기판의 플라스틱이 녹을 수 있음.
흑백냥이2018/09/06 10:04
열때문에 녹는게 아니라, 오일이라서 플라스틱 부식성을 가짐. 보통 코팅하는데, 글쎄?
Gold Standard2018/09/06 10:07
유냉으로 해도 열받은 오일을 식혀줄 냉각장치가 따로 필요아지않음?
흑백냥이2018/09/06 10:14
라디에이터 설치하면 사실 상. 무소음이라는 유냉의 장점이 그냥. 사라지는 것이라고 봐도 무방. 유냉 갈 바에야. 그냥 수냉으로 가지. 유냉은 컴퓨터 자주 만지는 사람들에게는 최악의 방법임.
유냉은 열이 겁나 많이 나는 곳에서 냉각장치로 대량으로 서버작업 돌릴때나, 사용되지. 일반인이 쓰는 것은 아님.
뷰븃 !
수냉쿨링의 위험성
아-아아아악
퉤에엣!
뷰븃 !
수냉쿨링의 위험성
구웨에에엑~
아-아아아악
수랭맞출정도면 저 시스템도 장난아니게 비싸다는건데..
튜브가 연결리 안되어있어...
뷰룻 뷰룻
퉤에엣!
하아아앙
일단 케이스부터가 NZXT이니 돈 꽤나 들어갔을 시스템같은데 ㅋㅋㅋ
붺
파이프를 연결 안해놓고 작동 시킨거네..ㅋ
수냉은 전혀 몰라서 그런데 짤에 있는건 왜 샌거임?
댓글중에 답이있어오
튜브 꽂다 말은듯
바로 위에 답 글 있음
파이프 연결 안한게 아니라 밀봉나사를 덜조임. 윗댓글이 틀림
극혐은 무슨 시1발 (경고)로 바꿔라 심장 멎는줄 알았네
저거 때문에 내가 튜브 잠갔는지 네 번씩 본다. 그래도 어차피 빨리하나 느리게 하나 10분 정도 차이남 조립하는데
근데 보통 저런데 액체 쓰려면 비전도체 쓰지 않으려나??
그건 유냉이라고 다른거임
(푸슛)
왜 튜브 만들다 말고 저런 거야?
저런 위험성이 있는데 수냉을 왜 쓰는거야?
효과가 더 있나?
기관총도 보면 수냉식있고 공냉식 있잖아요
멋있고
쿨링잘됨
오호...
냉각 성능이 압도적이고 간지가 남 뭣보다
대신 유지보스가 공랭보다 빡세지. 부식 문제도 있고.
ㄴㄴ 냉각성능이 막 압도적이지는 않음. 겁나 까다로움. 가장 좋은 축에 끼는 거. 수냉이 좋은 이유는 냉각수의 양이 많기 때문이고, 실제 커스텀에서 그걸 모티브로 따라하지만, 그것 조차도 냉각수가 적정량은 은 아님. 평균 1.5~ 2리터 하는데, 4리터 이상이 좋음.
무엇보다 냉각성능을 그렇게 뽑아내려면 cpu오버클럭을 해야하고, 그렇지 않으면 굳이 커스텀 수냉을 할 필요는 없음.
작업량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인데, 가격을 생각하면 녹투아 쓰는게 더 좋을 수도 있음.
커스텀 수냉으로 하면 비용이 감당 안되고, 보통 cpu만 수냉으로 돌리는데, 냉각수가 부족함.
그래서 커스텀 하지 않는 이상에야. 사제공랭쿨러와 시판 수냉쿨러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면 됨.
레알 오클 끝까지 올리고 할 거 아니면 수냉은 그냥 감성의 영역이지...
회로 타들어 가는 소리 들린다!
오버클럭 하려면 커스텀 수냉은 무조건 뚜따도 같이 해야 함. k모델 빡....그래서 커스텀 수냉이 감성 + 돈지랄 이라는 거지.
호환되는 메인보드와 렘, 그래픽 까지 연결하면 이제 우리는 100만원이 사라지는 기적을 볼 수 있음.
커스텀 수냉은 새로 컴퓨터 하나 맟추는 것이라고 봐도 무방.
오클 잘되는거 이제 몇 주차 인지 정보공유해서 구하고 뚜껑 따고...이제 배수 올려가면서 안정화 보고...삼디막 파스 점수 올리고...몇 년 전에 하고 그랬는데 요즘은 다 귀찮아서 그냥 순정으로 씀. 역시 순정이 최고야 ㅋㅋㅋ
윗분 말에 부연설명을 좀 붙이자면 공랭쿨러는 사실 더이상 발전하기가 어려운게 방열판크기가 어느정도 제한되어있어서
성능향상이 사실상 더이상 향상시키기가 어려운 반면 수랭은 상대적으로 그런부분에선 좀 더 자유로움.,
물론 케이스에 들어가는 크기 기준으로 하면 수랭도 공랭에 비해서 그렇게 썩 굉장하다고 하기엔 거시기하기는 함.
근데 ㅅㅂ 멋지다고! 그것은 남자의 로망! 오오
이래서 우리는 일체형 수랭을 써야 합니다
걱정마세요. 일체형 수랭도 터집니다.
제가 그렇게 1달전에 메인보드+VGA+파워를 한방에 보냈죠;;
일체형수랭은 누수에 의한 제품손실비를 보장해주는게 브랜드별로 다른데 반드시 확인해보고 사야합니다.
(물론 제가 쓰던 실버스톤은 유일하게 보장 안 해주는 브랜드더군요 ^^ 전액 자비로 땜빵)
나도 모르게 소리질렀다;;;
전원도 안 끄고;;
공냉은 기껏고장나봐야 모터 갈리는거고 그럴경우 바로 아는데 수냉은 써모 터지거나 관 찢어지면 주변 모든 제품을 동반■■ 시킴...
그냥 유냉으로 미네랄 오일에 담궈버리는게 편할듯
유냉이 온도관리가 더 빡셈. 기판의 플라스틱이 녹을 수 있음.
열때문에 녹는게 아니라, 오일이라서 플라스틱 부식성을 가짐. 보통 코팅하는데, 글쎄?
유냉으로 해도 열받은 오일을 식혀줄 냉각장치가 따로 필요아지않음?
라디에이터 설치하면 사실 상. 무소음이라는 유냉의 장점이 그냥. 사라지는 것이라고 봐도 무방. 유냉 갈 바에야. 그냥 수냉으로 가지. 유냉은 컴퓨터 자주 만지는 사람들에게는 최악의 방법임.
유냉은 열이 겁나 많이 나는 곳에서 냉각장치로 대량으로 서버작업 돌릴때나, 사용되지. 일반인이 쓰는 것은 아님.
뷰...뷰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