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억제력... 암부표현력.. 등등 대충 느낌상? 으로는 알겠는데... 명확히 알려주실분 계신가요?
또한 별개로.. 풀프레임과 크롭바디가 동일하게 2400만 화소일시... 어떤 차이가 생기는건지... 궁금합니다^^
https://cohabe.com/sisa/65077
소니가 타사 대비 센서가 좋다는게 정확히 어떤의미인가요?
- 양꼬치집가면 꼭 해봐야할거 [3]
- 1098847581 | 5분전 | 582
- AI 상담사 제발 쓰지 마세요 [13]
- 나인나인나인 | 6분전 | 334
- 동물원 개미핥기의 진실 [17]
- 93년생수원율전동879김현준 | 7분전 | 593
- 어린이집 급식 메뉴가 변경된사유 [12]
- 이사령 | 7분전 | 210
- 실눈캐 특징 [6]
- 치르47 | 7분전 | 295
- 블루아카) ?? : 흐흥~ 역시 선생님은 내가 빨리가서 도와드리지않으면 [10]
- 실종홀리데이 | 8분전 | 284
- 마비M) 퀘스트 이름보고 흠칫했다. [0]
- 뷰티샵 | 10분전 | 907
- 세로 드립을 몰랐던 빨갱이 버튜버 [7]
- 4639467861 | 10분전 | 877
- 모두를 분노케한 40대남자의 하소연 [1]
- 코가네이 니코? | 11분전 | 481
- 아 시발 skt 개.새끼들아 [2]
- 군즈게이야 | 11분전 | 769
- 괴물을 혼자 사냥하겠다고 까부는 미국인 ㅋㅋㅋ 먼저 뒤지겠네 ㅋㅋㅋㅋ [19]
- 울프맨_ | 14분전 | 475
- 경제가안좋을때 가져야하는 마인드. [22]
- 코가네이 니코? | 14분전 | 1170
- T한테 어떻게 해야 상처를 줄 수 있을까요 [23]
- 나인나인나인 | 14분전 | 704
일단 물리적으로 보면, 센서의 구조에서 차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센서에서 배선 등의 굵기를 결정하는게 "미세공정"입니다.
미세공정이 더 가늘수록 센서에서 잡다한 배선이나 회로 공간이 작아져서, 포토다이오드(실제 빛을 받는 센서)의 크기가 큽니다.
포토다이오드의 크기가 커지면 같은 시간에 같은 조리개값이라고 하더라도 더 많은 빛을 받아 들일수 있겠죠.
또한 같은 배선이 들어갔다고 해도 발열이 적을수밖에 없습니다.
캐논과 소니의 격차는 여기서 나옵니다.
가장 최근 센서는 아직 밝혀지진 않았는데, A7 1세대 기종 (+ 니콘 D600, 610, 750 등에 쓰인 같은 계열 센서) 인 IMX128의 경우 180nm 공정으로 생산되었습니다.
캐논은 처음 생산된 기종부터 지금까지 쭉 500nm 공정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이 차이로 인해, 캐논은 실제적인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면적에서 굉장한 손해를 보고 있고,
이는 결국 DR 등 화질의 저하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미세공정 기술외에도 여러가지 반도체 기술면에서 소니와 캐논의 격차가 큽니다...
그래서 차이가 나는거죠.
여기서 똑같이 풀프레임과 크롭바디 이야기를 적용할 수 있는데,
같은 회사의 같은 공정 이라고 할 경우, 크롭바디의 1픽셀의 한변 크기가 1mm라고 가정해보죠.
풀프레임은 1.5배니까 1.5mm 가 됩니다.
실제 수광면적은 면적단위이니까, 1.5x1.5 = 2.25mm^2의 면적을 가지게 됩니다.
즉 같은 시간당 받아들이는 빛이 2.25배나 차이가 나버린다는 뜻이죠.
그만큼 같은시간 같은 노출조건이라고 하더라도, 조금더 풍부한 빛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덕분에 더 좋은 화질이 나오는것이죠.
다만 도시바 센서나 예전 르네사스제 센서도 장단점이 있긴 했습니다.
그러나, 소니 센서의 반도체적인 특성 자체가 워낙 좋아서 센서 부분에서 압도적인것이죠.
특히 1" 이상 대형센서 부분은 독보적입니다...
와우....입이 떡 벌어지는... 정성스러운 댓글 감사합니다.. 한방에 이해가 됐어요 ㅠㅠ 즐거운 사진생활 되세요^^
기본적으로 캐논 공정보다 미세공정이라 센서의 마이크로 렌즈 수광량이 높습니다.
그 결과 노이즈, DR에서 더 좋은 결과물이 나오는거고요.
거기에 BSI구조나 구리배선을 사용하여 더 수광률을 높히며, 발열도 줄이고 있죠.
풀프레임과 크롭바디가 동일하게 2400만일 경우 크롭바디의 픽셀피치는 5400만에 가깝기 때문에 마이크로 렌즈의 수광률이 FF 2400만보다 떨어지죠.
그 결과 DR, 노이즈에서도 차이가 나고요
크롭바디에서 픽셀피치란게 풀프레임보다 크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 ^^;;
픽셀피치 = 픽셀 한변의 길이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소니의 a6300, a6500, 후지의 X-Pro2에 들어간것으로 추정되는 IMX271 센서의 경우, APS-C 크기의 2400만 화소 센서입니다.
이 센서의 픽셀피치는 3.91um = 0.00000391m = 0.00391mm 입니다.
1픽셀의 가로 길이, 세로길이가 3.91um인 정사각형 형태라는 이야기죠.
음.. 여기서 역으로 풀프레임 2400만 화소 센서를 보고 가야할 필요성이 있겠네요
풀프레임 2400만 화소 센서인 IMX128 센서의 픽셀피치는 5.97um입니다.
이 수치가 어떻게 나온거냐.. 하면 풀프레임 센서 가로길이는 36mm 죠.
2400만 화소는 가로 6000 세로 4000 = 2400만 화소입니다.
36/6000 = mm단위의 가로길이가 나오겠죠. = 0.006 = 0.006mm = 6um.
픽셀 사이 공간을 약간 감안해버리면 얼추 맞아 떨어지죠
APS-C 의 경우 약 4um, 풀프레임 약 6um 니까 대략적으로 따지면 1.5배가 되는것이고요.
더불어 풀프레임 센서가 4um의 픽셀피치를 가지려면 역으로 계산하면 픽셀수가 나오겠죠.
36/0.004 = 약 9000픽셀이 나옵니다. 가로 9000, 세로는 3:2니까 6000
전체 픽셀수는 면적으로 따지니까 9000x6000 = 54,000,000 = 5400만 화소.
즉 픽셀피치가 크롭이 큰게 아니라, 크롭의 픽셀피치로 풀프레임 센서를 채우게 되면 5400만 화소가 된다는 뜻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