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삼득(權三得, 1772년 ~ 1841년)의 본명은 권정(權亻+政), 자(字)는 사인(士仁)이며 안동권씨 29대 손으로 완주군 용진면 구억리에서 출생했다. 삼득은 그의 아명으로 보이는데, 이를 가지고 예명으로 쓴 듯하다.
권삼득은 양반 출신 광대라 해서 특별히 '비가비'라고 부른다. 그런데 양반이라고는 하지만 대단한 가문 출신은 아니었던 듯하다.
그의 아버지 권래언(權來彦)은 벼슬을 한 사람은 아니다.
시골 양반으로서 시문도 짓고, 때로는 관청에 청원서 같은 것도 쓰는 등의 활동을 했던 사람이다. 권래언의 문집으로는 「이우당집(二憂堂集)」이 있는데, 이 또한 출판된 것이 아니고 여러 시문을 모아 적어놓은 필사본이다.
이우당은 권래언이 새로 집을 짓고, 그 집에 붙인 당호(堂號)이다. 그런데 권래언 자신이 쓴 에는 당호를 이우당이라고 한 이유가 나와 있다.
권래언은 평소에 두 가지 근심이 있었다고 했다.
가난하던 시절에 부친이 돌아가시어 남의 산에 허술하게 장사를 지냈는데 늦게까지 이장을 못한 근심이 하나요, 아들 삼득이를 잘못 길러 타향에서 여러 사람들에게 따돌림을 당하고 있으니 그것이 두 번째 근심이라고 하였다.
뒤에 강필성이 쓴 에는 '삼득이가 술과 음악에 빠진 지가 여러 해 되어, 방탕한 사람들을 좇아 놀며, 집을 떠나 밖에 있으면서 욕됨을 끼치기가 한이 없다.'고 하였다.
이로 보아 권삼득은 당시 부모에게는 참으로 큰 걱정거리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시골의 보잘 것 없는 양반이라고 할지라도, 그 자식이 소리를 하고 다니는 것은 가문의 수치였던 것이다. 그래서 결국 족보에서 이름을 빼고, 가문에서 쫓아냈다는 일화까지 전해온다.
한편 권삼득이 문중에서 쫓겨난 사건에 대해서는 이러한 일화도 전한다. 비장한 곡조로 좌중을 감동시켜 목숨을 구한 것이 아니라, 재치 있는 꾀로 당시의 위기를 모면했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멍석말이를 당하게 된 권삼득은 한 가지 청을 올린다. 자신이 그동안 사람들은 수없이 소리로 울리고 웃겨보았지만 짐승들은 그렇게 해보지 못했으니, 마지막으로 짐승을 한번만 웃겨보고 죽게 해달라고 빈 것이다.
그는 외양간의 황소 앞에서 혼신의 힘을 다해 소리를 했다. 그러자 놀랍게도 소가 웃었고, 그는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가 웃은 것은 사실 권삼득의 소리 실력 때문이 아니었다.
권삼득이 미리 부채에 암소 오줌을 묻혀 두었다가, 소리를 할 때 부채를 활짝 펴서 황소로 하여금 암소의 오줌 냄새를 맡고 웃게 한 것이었다.(출처 :판소리 덜렁제를 창시한 권삼득 이야기, 신상구)
집에서 쫓겨난 뒤로는 익산에서 살았다고 한다. 익산은 권삼득의 처가가 있는 곳이라고 한다. 그런데 권삼득은 누구에게 소리를 배웠던 것일까?
어떤 사람들은 권삼득이 외가가 있는 남원에 다니면서 가왕 송흥록의 아버지인 송첨지에게 소리를 배웠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분명한 증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권삼득이 남원군 주천면의 구룡폭포에서 소리를 수련하여 마침내 득음하였다고 하는 말도 있지만, 이 또한 분명한 증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완주군 용진면에 있는 권삼득의 묘 아래에도 권삼득이 소리를 수련했다는 소리굴이 있다.
순조 임금 시절 활약한 모흥갑은 소리하는 모습이 그림으로 남아 있는 유일한 소리꾼이기도 하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여덟 폭 짜리 중엔 능라도에서 많은 구경꾼이 모인 가운데 소리하는 광경을 그린 것이 있는데, 소리하는 광대 그림 옆에 '모흥갑'이라는 이름이 적혀 있다.
평양 능라도에서 버스킹 중인 모흥갑. 에도 모흥갑이 평양 연광정에서 판소리를 할 때에 덜미소리를 질러내어 십리 밖까지 들리게 하였다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다.
권삼득은 덜렁제라고 하는 선율을 개발했다.
덜렁제는 설렁제, 권제, 권마성제라고도 하는데, 남성적이고 힘차며, 고음에서 갑자기 저음으로 뚝 떨어지거나, 저음에서 갑자기 고음으로 솟구치는 선율이 특징이다.
명창 박동진 생전시에 TV광고로도 나왔던, "제비 몰러 나간다. (…)" 하는 부분이 바로 그 유명한 덜렁제이다.
지금도 이 대목을 부를 때는 소리꾼들이 가끔 '옛날 권삼득 씨 덜렁제'로 부르겠다는 말을 한다.
권삼득의 묘는 완주군 용진면의 작약골이라는 산에 있다.
1993년에는 묘를 정비하였다. 전북도립국악원에는 '국창 권삼득 기적비'가 있다.
자신의 집안에서는 근심거리가 되어 쫓겨나기까지 했지만, 권삼득은 이제 우리 모두가 기념해야 할 인물로 되살아나고 있다. 세월의 흐름에 따른 평가의 변화도 새삼 놀랍다고 아니할 수 없다.
/최동현(군산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출처 : 전북일보(https://www.jjan.kr)
선추 후감상
이맛에 불펜합니다. 또하나 배워갑니다
늘 잘보고 있습니다^^
그림 중에 오타 있어요. 암소의 체취 로 바꿔주세요~
와 이번에도 존잼 ㅎㄷㄷㄷㄷㄷㄷㄷㄷ
몰랐던 이야기인데 정말 재밌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다음편도 기대하겠습니다.
오늘 업로드 하신 시간대가 영 옳지 못한 타이밍인거 같은데 추천이라도 남기고 갈게양! ㅋ
재밌게 잘 봤습니다~~
ㅊㅊ
KjoBenH에이브이n// 정말 감사합니다!
음모제거기// 정말 감사합니다!
초연하게// 넹넹..봐주셔서 고맙습니다.
베니토// 아! 정말 고마워요...인터넷으로 작업하면 오타가 잘 안보여서 문제여요. 수정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더민주// 항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새로운바람// 정말 감사합니다!
십상시// 정말 감사합니다!
니가잘해// 정말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ㅎ
선추천 후감상
석민군20승// 정말 감사해요!!
사도숙희// 정말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아주 잘 보고 있습니다. 우리애들한테 모아서 보여줄려구요^^
재밌네요.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역시!!!!!!!!! 추천 후 댓글은 기본 감사드립니다.
잘봤습니다. 추천합니다.
인문학을 만화로 재밌게 배웁니다 ^^
추천부터 누르고 정독합니다. 잘 볼께요
잘 봤습니다.^^
1도 몰랐던 이야기인데, 정말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장수찬님 오셨군요~ 오늘도 재미진 이야기 잘봤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용진면 구억리라.... 참 친근한 동네에서 저런 인물이 나왔었네요. 잘 보고가요~~
정말 잘봤습니다. 훌륭한 그림체에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잘봤습니다.
저런거 보면 지금도 사회적 시선 때문에
자신의 꿈과 재능을 펼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조선시대엔 그런 삶을 한탄하며 살아간 이름없는 재주꾼들이
얼마나 많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너무 잼있게 잘 봤어요^^
감사합니다
늘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b
재밌게 잘 봤어요~
국창이라고 하니까.. 왠지 쌍욕 같이 들리기도..ㅋ
늘기다려집니다~^^
조선에 왕이 딱 셋이 있으니 세종 영조 정조,,,
사람소리, 새소리, 짐승소리의 3가지의 소리를 얻었다고 해서 삼득이라고 합니다.
전북도립국악원에서 시작하여 덕진공원- 전북대정문- 전북은행 본점 앞 길을 지나는 길에 이분 이름이 붙어서 '권삼득로' 라는 길이 있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집도 주소가 권삼득로 입니다. ㅋ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헐 소리꾼 어르신들이
삼득이소리한다는 게
이런 유래가 있는 거였군요.
그냥 기법을 부르는 명칭인줄로만 알았는데
감사합니다.
오홋 풀칼라!!! 너무 좋아요.
주인공도 주인공 아내도 정조도 진짜 대단한 사람들이네요
정말 잼있네요 추천!
항상 즐감합니다. ㅊㅊ
짱짱짱~ ^ ^)b 항상 감사히봅니다요~
오오.. 본문에서도 댓글에서도 새로운거 많이 배워갑니다
재미있고 유익해요!! 감사합니다^^
늘 좋은글 감사 합니다.
선추천 후감상
댓글이 너무 많이 달려서 일일이 답글을 못드려서 미안해요!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