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로 포써즈는 올림푸스와 파나소닉이 2008년 8월 5일에 발표한 최초의 미러리스 렌즈교환식 마운트 규격입니다.
원문 ( https://four-thirds.org/en/special/10th.html ) 에는 미사여구가 많지만,
여기만 오시면 워리어가 되는 분이 계신 관계로 일체의 언급을 피해 드리겠습니다. 사실적시만 해 드리죠.

2008년 - 베이징 올림픽 개최, 아이폰 3GS 출시 / 마이크로 포써즈 규격 출범
10월: 파나소닉 DMC-G1, G 14-45/3.5-5.6 ASPH. OIS, G 45-200/4-5.6 OIS 출시

2009년 - 오바마 미 대통령 당선, 마이클 잭슨 작고
4월: 파나소닉 DMC-GH1, G 7-14/4 ASPH., G 14-140/4-5.8 ASPH. OIS 출시
6월: 올림푸스 E-P1, M.Zuiko ED 14-42/3.5-5.6, M.Zuiko 17/2.8 출시
9월: 파나소닉 DMC-GF1, G 20/1.7 ASPH. 출시
10월: 파나소닉-라이카 DG Macro-Elmarit 45/2.8 ASPH. OIS. 출시
11월: 올림푸스 E-P2 출시

2010년 - 부르즈 할리파 완공, 남아공 월드컵 개최 / 코시나가 마이크로 포써즈 규격에 참가
3월: 올림푸스 E-PL1 출시
4월: 파나소닉 AG-AF100/105, DMC-G2, G 14-42/3.5-5.6 ASPH. OIS. 출시, 올림푸스 M.Zuiko ED 9-18/4-5.6 출시
5월: 올림푸스 M.Zuiko ED 14-150/4-5.6 출시
6월: 파나소닉 DMC-G10, G Fisheye 8/3.5 출시
10월: 파나소닉 DMC-GH2, G 14/2.5 ASPH., G 100-300/4-5.6 OIS., G 12.5mm F12 3D 출시
11월: 올림푸스 M.Zuiko ED 40-150/4-5.6 출시, 코시나 보이그랜더 25/0.95 출시
12월: 파나소닉 DMC-GF2, 올림푸스 M.Zuiko 14-42/3.5-5.6Ⅱ, M.Zuiko ED 75-300/4.8-6.7 출시

2011년 - 튀니지 자스민 혁명, 일본 도호쿠 대지진 / 칼 자이스, 슈나이더-크로이츠나흐와 KOMAMURA가 마이크로 포써즈 규격에 참가
1월: 올림푸스 E-PL2 출시
6월: 파나소닉 DMC-G3, DMC-GF3, 파나소닉-라이카 DG Summilux 25/1.4 ASPH., 올림푸스 E-P3, M.Zuiko 14-42/3.5-5.6ⅡR, M.Zuiko ED 12/2 출시
9월: 올림푸스 E-PL3, M.Zuiko ED 40-150/4-5.6R, M.Zuiko 45/1.8 출시
10월: 올림푸스 E-PM1, 파나소닉 G X PZ 14-42/3.5-5.6 ASPH. OIS., G X PZ 45-175/4-5.6 ASPH. OIS. 출시
11월: 파나소닉 DMC-GX1 출시

2012년 - 푸틴 러 대통령 당선, 런던 올림픽 개최 / 시그마가 마이크로 포써즈 렌즈를 출시. 탐론, 겐코 토키나와 ASTRODESIGN이 마이크로 포써즈 규격에 참가
1월: 올림푸스 M.Zuiko ED 12-50/3.5-6.3 EZ 출시
2월: 시그마 30/2.8 EX DN 출시
3월: 시그마 19/2.8 EX DN, 올림푸스 E-M5 출시
4월: 파나소닉 DMC-GF5, 코시나 보이그랜더 17.5/0.95 출시
5월: 토키나 Reflex 300/6.3 MF Macro 출시
6월: 파나소닉 G X 12-35/2.8 ASPH. OIS. 출시
7월: 올림푸스 M.Zuiko ED 75/1.8 출시
9월: 파나소닉 DMC-G5, G 45-150/4-5.6 ASPH. OIS. 출시
10월: 올림푸스 E-PL5, E-PM2, M.Zuiko ED 60/2.8 Macro, G X 35-100/2.8 OIS. 출시
12월: 파나소닉 DMC-GH3, 올림푸스 M.Zuiko 17/1.8, 블랙매직 시네마 카메라 출시
gh 시리즈 말고는 특수분장용품을 벗어나지 못하고 사양했네요 전부
펜삼이.. ㅠㅠ 마포 예판의 시작이었는데..
벌써 7년전이라니 ㅠㅠㅠㅠㅠㅠㅠ
M5와 M1 초창기때까지가 마포의 최전성기라 생각됩니다.
이후 A7이라는 걸출한 녀석이 나와 이종교배시장 영역은 싹 잡아먹고
2세대 A7출격이후 마포는 영상포맷+손떨방까지 싹 잡아먹고 마포는 저렴이 작은 렌즈군 연사정도에 한정되었다가 이번 3세대 A7출격으로 파나 영상포맷 빼고 싹 잡아먹혔네요..
경박단소도 이제 끝나가고...마포는 유기센서 안나오면 올해도 암울합니다.
먼가 머리가 아파오면서 보고있습니닼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