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퀄리티는 좀 양호할때가 있음.
2.그런데 상대가 호요버스와 명조 같은 중국 게임.
3.당연히 그러다보니 기댓값은 해당 게임들보다 낮음.
4.그런데 과금은 그 이상을 요구하거나 그정도를 요구함.
.
.
.
.
.
대체 왜....?
물론 언급한 게임들보다 품값이 덜 들었더라도 십덕들 불지르는 포인트를 구축한 3대장들이 있긴한데 요즘 나오는 것들이 또 그정도도 안됨.
1.퀄리티는 좀 양호할때가 있음.
2.그런데 상대가 호요버스와 명조 같은 중국 게임.
3.당연히 그러다보니 기댓값은 해당 게임들보다 낮음.
4.그런데 과금은 그 이상을 요구하거나 그정도를 요구함.
.
.
.
.
.
대체 왜....?
물론 언급한 게임들보다 품값이 덜 들었더라도 십덕들 불지르는 포인트를 구축한 3대장들이 있긴한데 요즘 나오는 것들이 또 그정도도 안됨.
이유는 인건비가 중국보다 더 들고 중국처럼 많이 고용하기엔 규모의 경제에서 밀리기 때문임 근데 소비자 입장에서 퀄리티 낮은데 비싼겜 이해해 줄 이유도 없음
사실 원신오픈 이후로 비교 안당한적이 없으니 요새도 아님
아직도 그래도 되는지앎
잘나가는 외산겜 좀 따라하면 대가리 깨져서 해줄지 앎
솔직히 가격을 아주 많이 내려야 함
가격이라도 싸야지 차별화가 되는거 같음
사실 원신오픈 이후로 비교 안당한적이 없으니 요새도 아님
아직도 그래도 되는지앎
잘나가는 외산겜 좀 따라하면 대가리 깨져서 해줄지 앎
할 수 있다! 나라면!
목광든맨로으손리우
"할 수 있다 나라면!"
가격이라도 싸면 헤자라고생각하고 할텐데 가격마저 비슷 ㅋㅋ
이유는 인건비가 중국보다 더 들고 중국처럼 많이 고용하기엔 규모의 경제에서 밀리기 때문임 근데 소비자 입장에서 퀄리티 낮은데 비싼겜 이해해 줄 이유도 없음
진짜 10년전부터 했던 나온 소리긴 하죠. 그리고 일부 타당한 말이기도 함
근데 10년전만해도 중국게임 진짜 파쿠리의 대명사 짭게임의 대명사하면서 비웃었는데, 그동안 한국게임사가 너무 안일했던것도 있긴 한것같음.. 그 사이에 뭔가 만들었어야함
인건비지
근데 소비자 입장에선 윗댓대로 이해해줄 이유가 없다는게 문제지...
이걸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긴 하겠지만 그 사람들이 지갑을 벌리는건 엄연히 다른 얘기니까.
한국이면 한국답게 블아 급으로 하자
솔직히 가격을 아주 많이 내려야 함
가격이라도 싸야지 차별화가 되는거 같음
AAA급 비비기는 애초에 무리라서 카제나도 스토리 엎은거 대중성 어쩌고 할 때 다들 코웃음 치는거 잔음. 대중이 원붕젠 대신 잡을 이유가 있으면 모르는데.
차라리 마이너를 파먹을 송곳같은 포인트가있으면 모르겠는데
그런 부분도 애매해서 아쉬워
카제나 원안이 그런면에서 좋았을거같은데 후...
컨텐츠로 승부를 봐야하는데 대부분은 그게 안되서 ㅋㅋ
닌텐도가 중국보다 인건비가 싸서 겜을 잘만드는 게 아니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