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년도 버팔로 세이버즈 소속의 골리 클린트 말라척이
수비 도중 스케이트 날에 목이 베인다.
송출 카메라가 한번 잡은 뒤 더 이상 잡지 않지만,
심장 박동에 맞춰 울컥 하고 출혈이 쏟아지는 걸 보면
인체에서 가장 치명적인 급소인 경동맥이 확실하게 베였다.

다행히 경동맥 출혈 대처법을 알고 있던 대기 의료진은
들것을 들고 나오지 않고,
환부를 심장보다 위로 위치시켜서 선수를 이송한다.
클린트 말라척은 1.5L 가량의 혈액을 잃었다.
열상의 규모는 15cm였다.
의식 불명의 상황에서 300바늘을 꿰맸다.
어느 쪽 모두 치사량인 상황에 처했지만
그는 살아남는다.

그는 인류 스포츠 역사에서
경기 중 경동맥 손상을 입고도 생존한 첫 생존자가 된다.
그리고 기적적으로 10일 후에 선수로 복귀한다.

그에게는 뜨거운 찬사가 쏟아졌다.
'하키계 무적의 상남자.'
그에게는 찬사와 동시에
극심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극심한 신경학적 강박증 (OCD) 판정이 내려지지만,
가장 강인한 남자인 그에게는 정신질환이 문제될 리가 없을 터였다.

89년도의 사고 이후로 클린트 말라척은
개의치 않고 선수 복귀를 선택하면서, 96년까지 현역생활을 이어나간다.
하키 선수로서도 장수인 17년간의 선수생활을 보낸 것이다.
1989년의 사고 이후 약 19년 뒤.
2008년, 같은 버펄로 세이버스의 홈 경기장
플로리다 팬서스의 공격수 리처드 제드닉이 넘어지면서
19년 전 클린트 말라척과 같은 경동맥 열상을 입지만,
그 때의 사고 이후로 더욱 신속해진 대처 덕분에
그 역시 재활에 성공한다.

하지만, 콜럼버스 블루 재키츠의 골리 코치로 활동하고 있던
같은 장소, 같은 사고의 19년 전 피해자였던 클린트 말라척은
이 사건을 목격 후 내재되었던 스트레스 장애가 발현하고 만다.

리처드 제드닉의 사고를 목격하고 난 약 8개월 뒤,
클린트 말라척은 자신의 목장 뒷마당, 아내가 보는 앞에서
사냥용 22구경 라이플로 자신의 턱을 쏜다.

총알은 턱과 입을 관통했다.
하지만 다시 한번 기적적으로
관통력이 그 이상 가지 않았고,
총알은 눈 주변에서 멈춰있다.

그렇게 그는 또다시 살아남는다.
그는 사고 뒤에도 스스로를 쏜 것이 아닌 우발적 사고라며
정신질환이 없는 듯 증언했지만,
끝내 19년 전 치명적인 경동맥 사고 이후에
강박증,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알코올 중독을 앓았던 것을 스스로 고백한다.

극단적 자해 시도에서 생존한 그는 스포츠 정신 건강 학자 (혹은 옹호자)이자 ,
정신 건강 전문 강연자로서 활동하게 된다.
2017년에는 니피싱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까지 받으며
25년 현재에도 왕성히 활동 중이다.
북미 스포츠에서 스포츠 정신 건강은
주관적 데이터, 일반화의 어려움,
단순 동기부여 의심, 엘리트 특화 등의 문제로
여전히 실효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는 중이다.
스케이트 날에 경동맥이 베이는 사고를 당한다.
위의 모습이 마지막 모습으로,
직후 경기장에 쓰러져 다시는 일어나지 못한다.

숙련된 의료진이 즉시 응급처치를 했으나,
사인은 경부 손상. 사고 후 즉사이다.
Adam Johnson, 향년 19세였다.
(이후는 라이브 장면을 본 사람들의 자체 촬영으로만 남았고,
TV 촬영본은 방송사 측에서 삭제되었다.)

경찰은 가해 행동으로 지목될 수 있는 행동을 한 팻 그레이브를
2년 간의 수사 끝에 범죄 혐의를 적용하기 어렵다 판단하고
지난 2025년 봄 4월, 기소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그 많고 많은 일이 있고 난 후에야
국제 하키 연맹은 목 보호대 착용을 의무화하지만,
정작 위의 사건들이 일어난 북미 하키 리그에서는
여전히 착용은 자율에 맡기고 있다.
성토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26년도부터 합류하는 선수들에게는 목 보호대 착용이 의무화되지만,
그 전부터 뛰던 선수는 착용, 미착용에 선택권을 준다는
어이 없는 규정도 신설된다.


34년 전, 같은 사고의 생존자였던 클린트 말라척이
이번에는 정신 질환을 이겨낸 후, 강연에서 항상 하는 말이다.
"제가 바라는 건 사람들이
상담을 한번 받아봤으면 한다는 겁니다."
"PTSD는 정말로 실존합니다.
저처럼 20년 동안 내버려두지 마세요."


보호대조차 퍼포먼스 저하를 들이밀며 반대하고
데이터화 되지 않는 정신 의학을
메인 스트림으로 가져오기 싫어하는,
스포츠 선수가 아닌 슈퍼맨을 원하는 북미 스포츠 산업 중심에서,
역사상 가장 강인한 남자가 우리들에게 몸이 아닌 마음이 다치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
우리도 일상 속에서 다친 마음을 시스템 속에서 묵혀두지 않기를 바라며.
정신질환의 가장 무서운 부분이 저렇게 치료의 필요성을 못 느끼게 되어버리는 부분 아닌가 싶네...
오늘도 몇 명이 그렇게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을텐데 이유도 모르고 그렇게 되지 말기를 바라는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