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처들어온 외세는 대부분 동장군에게 처맞고 후퇴했는데 몽골은 겨울에 신나게 처들어 옴. 강이 얼어서 그냥 말타고 건너옴.
Crt.Cake2025/11/20 13:18
비싸고 유지비 많이 드는 미국이나 유럽의 군수산업이 고전하고있죠.. 아무리 기술이 좋아도
인건비와 물가가 높은 나라에서는 생산비용이 너무 높아지고 그러면 상업성이 떨어지고
그러다보면 가성비 있는 나라의 산업과 경쟁력이 떨어지고 독과점 지위에서 내려오게 됩니다.
한국 산업이 어떻게 미국이나 유럽같은 기술우위 선진국과 중국같은 저비용제조산업을 가진나라
사이에서 살아남을수 있나 생각해 봐야함.
천재드러머™2025/11/20 13:28
몽고반점
쉐따빡2025/11/20 13:31
스타크레프트로 따지면
본진이랑 미네랑 같이 끌고다니면서 공격다니는격이네요 ㅋㅋㅋ
RE1002025/11/20 13:33
나 몽골에서 일할 때 직원이 출퇴근할 때 타고 다니던 말.
관광지에서 여행객들 태우는 말이 아니라 진짜 빠른 말..
몽고말
가성비는 최고였네요.
뒷애기 누군지 모릅니다..
러시아 처들어온 외세는 대부분 동장군에게 처맞고 후퇴했는데 몽골은 겨울에 신나게 처들어 옴. 강이 얼어서 그냥 말타고 건너옴.
비싸고 유지비 많이 드는 미국이나 유럽의 군수산업이 고전하고있죠.. 아무리 기술이 좋아도
인건비와 물가가 높은 나라에서는 생산비용이 너무 높아지고 그러면 상업성이 떨어지고
그러다보면 가성비 있는 나라의 산업과 경쟁력이 떨어지고 독과점 지위에서 내려오게 됩니다.
한국 산업이 어떻게 미국이나 유럽같은 기술우위 선진국과 중국같은 저비용제조산업을 가진나라
사이에서 살아남을수 있나 생각해 봐야함.
몽고반점
스타크레프트로 따지면
본진이랑 미네랑 같이 끌고다니면서 공격다니는격이네요 ㅋㅋㅋ
나 몽골에서 일할 때 직원이 출퇴근할 때 타고 다니던 말.
관광지에서 여행객들 태우는 말이 아니라 진짜 빠른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