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CXMT (창신메모리)
뭐 아는사람은 알겠지만, 메모리 업계의 2024~2025년 치킨게임의 승자로
적자를 무시하고 헐값에 무제한 공급(사실상 던지기)을 통해 그 천하의 삼성조차 패배시켜버린 신흥강자 였음.
얼마나 미1친놈이였냐면, 이놈의 생산량을 따라잡을수가 없어서 삼성/하닉이 DDR4 감산을 결정할 정도로 빡센놈이었고

알다시피 굉장히 시간이 느리게가는 B2B 업계 특성상 이 속도로 수율 관계없이 무진장 뽑아내는거면 '언젠간' CXMT가 진입할때가 올꺼라며
소위 말하는 빅7과 대부분의 클라우드/DC들은 메모리 매입에 엄청나게 소극적인 자세로 임했음.
알다시피 이것도 다 돈인지라, 안정성은 별개로 싼값에 대량으로 매입해서 얼추 돌아가면 되는게 업계의 방향이다보니까 대부분이 그러했다.
타임라인상 삼하마가 창고에 메모리 쌓아놓고 있던 시절 그때가 딱 치킨게임하던 때였으니까 얼추 끼워맞춰지기도 함.
아니 그런데 이 CXMT가 말입니다...

다 이겨먹은 치킨게임에서 갑자기 DDR4를 단종시켜버림.
정작 다 던지고 나니까 적자폭이 감당이 안되던건지, 아니면 AI에 시대에 HBM 패권을 의식해서 그런건지 아무튼 얘내가 갑자기 (사업을) 던짐
거기다가


CXMT가 좀 어깨좀 올라오니까 미국에서 "까잡수쇼" 하고 장비반입금지/파견금지 때리면서 죽여버렸음.

자 이제 기존에 매입을 소극적으로 하면서 각만 보다가 CXMT가 터지니까 이쪽은 "조땐네" 하면서 비상이 걸리기 시작함.
안그래도 IT업계의 리듬은 초단위로 바뀌기 때문에 있는거 없는거 다 쓸어가기 시작했음. 2025년 초기때부터
하지만 여기서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는데

메모리업체들은 이제 저부가가치의 메모리의 시대가 끝나고 고부가가치 메모리의 시대의 진입을 알리며
출하량을 줄이고 HBM라인을 증설하며 점점 기존의 생산량을 줄이고 있던 때인지라

이러한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이 메모리업계의 체질변경과 슈퍼사이클은 폰에 들어가는 LPDDR, 그래픽카드에 쓰이는 GDDR도 영향을 무시하지 못해서

그대로 반영 되어 2026년은 사실상 전자제품계의 불장이 될 예정
앞으로 얼마나 많이 오를지, 아니면 거품이 꺼져 가격이 떨어질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확실하게 지금은 컴 바꾸거나 살 시기는 아닌건 확실하다.
아 이래서 창신메모리 얘기가 나온거구나
완전 트롤이네
으아악 삼성하닉 빨리 생산해!!
와 이렇게..
으아악 삼성하닉 빨리 생산해!!
아 이래서 창신메모리 얘기가 나온거구나
완전 트롤이네
와 이렇게..
2년전에 4090에 64기가 맞춘 나 칭찬해
주식 거품은 빠르게 빠질 순 있어도 소비자가격은 메모리3사가 라인 증설하는 적어도 2년은 높게 갈거같음
노트북 ddr4메모리 중고가격도 오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