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글에서 김 품귀 현상에 대해 한탄하길레, 나름대로 해당 이슈에 대해 조사해 왔어요.

이 그래프는 세계 해조류 생산량, 한국이 세계 4위 이기는 하지만, 중국+인도네시아가 85% 정도 가까이 과점하고 있는 상태임.

엥? 그러면 왜 유독 한국 김만 노리는 거임? 국가 이미지 + 위생 문제 때문인가?

진짜 문제는 우리가 밥에 싸먹는 김에 해당하는 해조류의 영문 학명은 'Pyropia'로 생산지가 엄청 한정된 해조류라는 거예요.

생산량은 한정 된 것에 반해 수출량은 매 해마다 최 고점을 갱신하고 있는 상태니 비싸질 수 밖에 없음.
https://seaweedinsights.com/global-production/
출처 달아 놨으니 여기서 분석해 보면 품귀 현상에 대해 이해를 할 수 있어요.
+


막줄에 삼겹살도 외국인 많이 먹어서 비싸졌다고 하고 있는데,
삼겹살을 이용한 요리는 세계에 발에 치일 정도로 많아서 인터넷 밈으로 접해야지, 진짜인 것 마냥 믿으면 안 돼요.
(중국은 말할 것도 없고 해외도 삼겹살을 이용한 즉석 + 보존 식품이 많이 있음)

대형 할인점 가면 해외 냉동 삼겹살 싸게 구매할 수 있는데, 냉장고에 넣고 천천히 해동시키면 국내 삼겹살 보다 더 맛있어요.
(사진은 내가 냉동고 뒤져가며 골라온 삼겹살, 퍽퍽한 미추리 부분이 거의 없어서 좋음.)
.
블루베리 파전이나 세계화 시키라고
해조류는 애초에 다시마 미역 등등 많음
김이라는 품종을 제대로 취급하는건 한국이랑 일본 두개정도뿐이고
그마저도 일본김은 품질이 한국보다 떨어짐
삼겹살이 비싸진건 걍 중국애들 소비력이 올라가면서 돼지고기 소비량이 급등해서 그래. 김이랑은 조금 이유가 달라
해외에서는 김을 건강식이라고 받아들여서 흥행하고 있음...
미추릿살 주면 벌금형 되는 법안 같은 건 없을까영
블루베리 파전이나 세계화 시키라고
해조류는 애초에 다시마 미역 등등 많음
김이라는 품종을 제대로 취급하는건 한국이랑 일본 두개정도뿐이고
그마저도 일본김은 품질이 한국보다 떨어짐
그치만 나는 마트 냉동고를 뒤져서 좋은 삼겹이를 찾을 능력이 엄써...
원육은 삼겹살 뒤집으면 바로 알 수 있어요. (무조건 저 갈빗대 붙어 있어서 주름 많이 곳이 많은 걸로 집어야 해요.)
미추릿살 주면 벌금형 되는 법안 같은 건 없을까영
오 삼겹살은 갈비많은부위 와드
해외에서는 김을 건강식이라고 받아들여서 흥행하고 있음...
삼겹살이 인기가 많긴하네
수입산이라도 후지 냉장보단 비싸...
뒷다리 살은 퍽퍽해서 이걸 어떻게든 맛있게 먹기 위해 나온 게 하몬이나 햄이니까요. 햄(ham) 어원이 여기예요.
삼겹살로 인한 조리법 등이나 점 토의해 봅시다
그만 수출해!! 우리 먹을 거 없다고!!
아니 ㅅㅂ 그래서 김싸게 먹는 방법을 말해달라고요 삼겹살 싸게 먹는 방법은 필요없어.
나는 김을 쳐묵하고 싶다고 삼겹살 따위가 아니라!
니들이 연구해서 육상에서 길러 ㅅㅂ
삼겹살이 비싸진건 걍 중국애들 소비력이 올라가면서 돼지고기 소비량이 급등해서 그래. 김이랑은 조금 이유가 달라
냉동삼겹살은 늘 냄시가 나
그와중에 북한이 일본보다 해조류 생산량이 많네
요즘 미세플라스틱, 이상기후 같은 환경문제로 생산량은 감소한다던데 사실이려나
옛날엔 일본에 다 수출하느라 한국에선 귀했지
근본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하하
난 그래도 국산 돼지가 맛있더라
홈플 보먹돼만 하더라도
국산이랑 비교하면 잡내다 느껴져
코스트코 가면 수입 삼겹살 1200대로 구입 가능하더라
서양애들도 밥에 김싸먹거나 걍 조미김 환장하던데
싫어하는애들도 있겠지만
일본으로 물량 넘어가서 비싸진거도 맞는데;
동북아 말고는 김 못 키우나?
전세계 해안을 다 찾아보면 키울만한 곳이 어딘가엔 있을 거 같은데
역사적으로도 한국 김은 최상품이었다
일본놈들은 뭐하냐 니들도 양식하잖아 한국김처럼 만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