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이 100m를 달리는 동안 공은 10m를 굴러간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공이 손흥민보다 100m 앞에 있다고 하자.
손흥민이 전력으로 달려 100m를 갔을 때, 그 순간 공은 이미 10m를 더 굴러가 있다. 이제 손흥민과 공의 거리는 10m 남았다.
손흥민이 다시 10m를 더 달려가면, 공은 그 사이 1m를 굴러간다.
손흥민이 또 1m를 달리는 동안 공은 0.1m를 굴러간다.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손흥민은 공과의 거리를 무한히 줄일 수는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완전히 따라잡을 수 없다.
즉, 손흥민은 언제나 아주 미세한 거리만큼 공 뒤에 있게 되는 것이다.
ㅇㅇ 공이 제일 빠르니 패스하라고
차두리였으면 이겼다.
빈틈이 없네
ㅇㅇ 공이 제일 빠르니 패스하라고
아 ㅋㅋㅋㅋㅋ
빈틈이 없네
차두리였으면 이겼다.
이게 정말 유치원생들의 대화가 맞나
논리정연하고 빈틈이 없군
빛이 있기전에 어둠이 있는법...!
공보다 빨리가면 오프사이드 라고!!
손흥민이 100m를 달리는 동안 공은 10m를 굴러간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공이 손흥민보다 100m 앞에 있다고 하자.
손흥민이 전력으로 달려 100m를 갔을 때, 그 순간 공은 이미 10m를 더 굴러가 있다. 이제 손흥민과 공의 거리는 10m 남았다.
손흥민이 다시 10m를 더 달려가면, 공은 그 사이 1m를 굴러간다.
손흥민이 또 1m를 달리는 동안 공은 0.1m를 굴러간다.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손흥민은 공과의 거리를 무한히 줄일 수는 있지만, 이론적으로는 완전히 따라잡을 수 없다.
즉, 손흥민은 언제나 아주 미세한 거리만큼 공 뒤에 있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