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42712

트론) 특수효과의 발전이 오히려 독이 된 경우


트론) 특수효과의 발전이 오히려 독이 된 경우_1.jpg




트론) 특수효과의 발전이 오히려 독이 된 경우_2.jpg




트론) 특수효과의 발전이 오히려 독이 된 경우_3.jpg




트론) 특수효과의 발전이 오히려 독이 된 경우_4.jpg




트론(1982)


아무래도 초창기 컴퓨터 3D 그래픽 기술인 만큼

다소 조잡하고 어색한건 있지만, 

그래서 오히려 사람이 진짜로 컴퓨터 안으로 들어갔다는 

인상을 강하게 남길 수 있음.


영화가 그렇게 흥하지 않았음에도 컴퓨터 안에만 들어가면

네온 사인이 가득한게 클리셰가 된 이유가 있음.





트론) 특수효과의 발전이 오히려 독이 된 경우_5.jpg




트론) 특수효과의 발전이 오히려 독이 된 경우_6.jpg




트론) 특수효과의 발전이 오히려 독이 된 경우_7.webp




21세기 이후의 트론 후속편들의 경우


영상미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압도적으로 잘 빠졌지만

그래서 오히려 컴퓨터 속 세상이라는 개성은 죽어버림.


모르고 보면 그냥 흔한 사이버펑크 장르 영화로 보일 정도.


나름 제작진이 프로그램의 대사의 경우 노이즈 처리를 하고,

그리드로 들어가는 순간 비율을 바꾸고 3D효과를 주는등

구분 짓기 위한 노력을 했지만,


역설적으로 애니메이터들이 한땀한땀 색 빼고 네온 그려넣던

그 시절에 비하면 개성이 꽤나 죽어버림.

댓글
  • RussianFootball 2025/10/16 18:30

    솔직히 트론은 80년대라서 그 가치가 더욱 빛나는 영화라고 생각하긴 함.
    아레스 좋게 봤지만 살짝 아쉬운게, 요즘같은 AI의 시대에 할 수 있는 얘기가 그거 보단 더 많았을것같아서.ㅡ

  • RussianFootball 2025/10/16 18:30

    저거 오히려 지금 보면 더 재밌음ㅋㅋ
    저 시대에 AI에 대해서 저맨치로 상상했구나 싶어서.

  • 밤끝살이 2025/10/16 18:32

    좀 촌스럽고 부자연스러운게 오히려 쌈@뽕깔@롱한 레트로맛이 잇슴..

  • 초고속즉시강등머신 2025/10/16 18:32

    이 배우가 아이언몽거 라는게 젤 신기함 ㅋㅋㅋ

  • RussianFootball 2025/10/16 18:30

    플러스로 총몽은 제임스 카메론이 빠져있던게 만화책이 아니라 OVA였다는 부분이 꽤나 아쉬움.

  • 젠틀주탱 2025/10/16 18:28

    아이고..

    (ikQL9a)

  • RussianFootball 2025/10/16 18:30

    솔직히 트론은 80년대라서 그 가치가 더욱 빛나는 영화라고 생각하긴 함.
    아레스 좋게 봤지만 살짝 아쉬운게, 요즘같은 AI의 시대에 할 수 있는 얘기가 그거 보단 더 많았을것같아서.ㅡ

    (ikQL9a)

  • 젠틀주탱 2025/10/16 18:32

    그건 맞지. 어찌보면 구시대적 이야기에 최신 기술력을 쏟아부어서 관객들에게 와닿지않았던걸지도

    (ikQL9a)

  • 마음의거울 2025/10/16 18:29

    트론1 재밌어

    (ikQL9a)

  • RussianFootball 2025/10/16 18:30

    저거 오히려 지금 보면 더 재밌음ㅋㅋ
    저 시대에 AI에 대해서 저맨치로 상상했구나 싶어서.

    (ikQL9a)

  • 김7l린 2025/10/16 18:30

    총몽도 좀 더 일찍 실사화 됐으면 어떨까 싶었음

    (ikQL9a)

  • RussianFootball 2025/10/16 18:30

    플러스로 총몽은 제임스 카메론이 빠져있던게 만화책이 아니라 OVA였다는 부분이 꽤나 아쉬움.

    (ikQL9a)

  • 익명-TU4NTc1 2025/10/16 18:31

    너무 발전해서 일종의 사이버네틱한 감성이 사라진건가... 이건 생각 못해봤네

    (ikQL9a)

  • RussianFootball 2025/10/16 18:32

    가끔 외국 트론 칼럼 들어가보면 저 갬성 좋다는 사람들이 훨씬 많긴 하더라.
    물론 그 사람들도 팬질은 레가시 이후로 정립된 그리드 설정으로 하긴 하지만ㅋㅋㅋㅋ

    (ikQL9a)

  • 밤끝살이 2025/10/16 18:32

    좀 촌스럽고 부자연스러운게 오히려 쌈@뽕깔@롱한 레트로맛이 잇슴..

    (ikQL9a)

  • 초고속즉시강등머신 2025/10/16 18:32

    이 배우가 아이언몽거 라는게 젤 신기함 ㅋㅋㅋ

    (ikQL9a)

  • 제타건달 2025/10/16 18:32

    트론:레거시는 다프트 펑크 덕분에 겨우 다 봄.

    (ikQL9a)

  • 봄이 왔다🩷 2025/10/16 18:32

    그래도 디자인은 흥해서 여기저기서 잘 갖다 썼고 GTA5에 오토바이로도 나왔자너~한잔해~

    (ikQL9a)

  • 쮸뿝쮸뿝 2025/10/16 18:33

    트론이 계속 뭔가 나오는 거 보면서 뭔가 대중문화에 한 획 그었던 작품인가, 싶은데 나에게는 추억이나 뭐 그런게 하나도 없으니 트론에 대해서는 ???? 하기만 함..

    (ikQL9a)

  • RussianFootball 2025/10/16 18:35

    아레스는 몰라도 트론 구작이나 트론 새로운 시작(레거시)는 나름 그 시대에 한 획을 그은 부분이 있긴 있음ㅋㅋ 미국기준으로.
    전자는 영화 업계 CG의 적극 도입 계기고, 후자는 영화 OST 스타일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함.

    (ikQL9a)

  • 시그림 2025/10/16 18:34

    트론 레거시는 그래도 음악은 좋았다. 다펑....

    (ikQL9a)

  • RussianFootball 2025/10/16 18:35

    근데 단순 음악이 좋았다 수준이 아니라, 이거 기점으로 영화 음악 쪽에 일렉트로닉 쪽 뮤지션들이 대거 유입되기 시작함.
    생각 이상으로 중요한 영화긴 해. 엄청 흥하진 못했지만.

    (ikQL9a)

(ikQL9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