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34952

올만입니다. 개인적으로 R6 Mark3에 기대해보는것은...

처음으로 표준화소를 넘어서 3300만 화소로 나온다는 점인데요.
화소가 증가함으로서 자연스레 생기는 고감도 노이즈를 얼마나 잘 잡았는가?에 따라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갖는 부분입니다.
참고로 현재로서 캐논 미러리스 바디 기준으로 가장! 강력한 고감도 저노이즈를 보여주는 바디가 Eos R3입니다.
Eos R3을 벌써 4년 가까이 쓰고 있는 사람으로서 아직까지~ 고화소에 대한 미련이 없는 이유가
R3이 내주는 맑고 깔끔한 이미지 퀼리티 덕택에 추후에 대형 인화시 AI 힘을 안 빌려도...
약~ 4000만 화소까지 업스케일링 작업을 거쳐서 대형 인화를 진행해도~ 아무문제 없이 깔끔하게 잘 뽑힌다는 점입니다.
그만큼... 표준화소인 2400만 화소를 유지하면서 아무래도 빛으로부터 센서가 받아들이는 수광률이 고화소 센서보다 높다 보니
풍부한 빛 덕택에 아무래도 노이즈가 덜 끼게 되기 때문에... 더욱! 더 깔끔하고 투명한 이미지가 담아져서 그런지...
전반적으로 Eos R3 이미지 퀼리티에 대해서 지금까지 단 한번도 불만을 가져본적이 없습니다.
그냥! 아무 생각없이 바디나 스펙시트 같은거 신경쓰지 않고 오로지~ 사진에 집중할수 있어서 만족스러운 사진 라이프를 즐기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고감도 노이즈가 적은 바디를 선호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 R6 Mark3은 얼마나 고감도 노이즈를 잘 잡았는가? 에 자연스레... 기대해보게 되는것 같습니다.
캐논 EOS R3 까지는 안 바래도... R6 Mark2 수준의 저노이즈력을 보여준다면... 너무 좋을것 같네요.
현재로서 캐논 저노이즈력이 강력한 바디를 1~3위 정도를 매긴다면... R3 / R6 Mark2 / R1 인거든요. ㄷㄷㄷㄷㄷ
단종된 바디를 포함한다면... R3 / R6 / R6 Mark2 / R1 이렇게...
R3 Mark3은 나와봐야 알겠지만... 적층형이 아닌 비 적층형 이면조사형 센서로 나온다고 하니...
적층형 센서에 비해 노이즈 감소면에서 다소 유리할수 있기에... 살짝! 기대해봅니다. +_+
물론! R6 Mark3 잘 나왔다고 해서... 그리고 안 넘어가겠지만요.
R6/R5중에 누가 먼저 스마트 컨트롤러가 탑재되느냐에 따라서... 넘어갈것 같기도 한데...
현재까지는 캐논 R3이 저한테는 찐 마지막 세로그립 일체형 바디가 될 가능성이 높은것 같습니다. ^^;
요새는 리코 GR4 말고는 미러리스 바디에 대한 욕심이 잘 없더라고요.
R3은 완전히 작업용으로 너무 만족스럽게 잘 쓰고 있어서... 스톱!
이제 사적인 재미로 쓰고 있는건... 필름카메라 1V와 리코 GR2 정도로만 쓰고 있습니다.
라이카도 한번 써봐야 하는데... 내년을 생각중이란... ㄷㄷㄷㄷㄷ
아! 맞다. 펜탁스 645Z. 킹왕짱! 이거 참... 사진 찍기 재미가 최고입니다. 허허!
ISO.jpg

댓글
  • BuTToN A.K.A 2025/10/13 14:57

    현행중에 제일 고감도저노이즈는 R1입니다.

    (Xy6Gmx)

  • FREAK. 2025/10/13 15:00

    사진 첨부 했습니다. 뭐 강제 NR 때문에 인정하지 않는다면... 할말이 없지만요.
    아웃풋 되는 이미지 퀼리티로만 봤을때는 R3이 제일 노이즈가 적습니다.

    (Xy6Gmx)

  • SonofLove 2025/10/13 17:05

    C50을 아직 못 봐서 모르겠지만요. 화소나 색감보다 얼마나 좋은 af매커니즘이 들어가느냐... 얼마나 컴팩트 해 지느냐가 더 좋은 바디로 매겨지는냐에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미 너무 전문가급의 이미지를 담아내기에 기술은 충분하잖아요. 폼팩터의
    변화가 필요해진 시기가 많이 지났죠.

    (Xy6Gmx)

(Xy6Gm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