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욱의 "헤어질 결심"은 관객 200만명을 겨우 넘겼다.
19금 영화가 아니였고, 완성도가 뛰어났지만 대중의 선택은 못받았다.
그에 비해 범죄도시 시리즈는 나올때마다 천만관객을 가뿐히 넘겼다.
범죄도시가 그러면 헤어질결심보다 잘만든영화인가?
영화평론가 천명에게 물어보면 999명은 아니라고 말할것이다.
"잘만들었다 "라는 기준 자체를 관객 개개인이 다르게 판단할뿐만 아니라 흥행의 성공은 "얼마나 호불호 없이 관객에게 잘 다가갈것인가." 가 더욱더 영향을 끼친다고 볼수있다.
극한직업처럼 호불호가 적으면서 완성도까지 챙긴 영화는
쉽게 나올수있는 창작물이 아니다. 왜 매년 극한직업같은 영화를 못만드냐며 창작자를 탓해봐야 의미는 없다.
요즘처럼 극장을 가는 문화자체가 예전만 못한상황에서 어떤 영화가 성공할것인가는 예전보다 더더욱 운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완성도는 떨어져도 대중적인 테이스트를 가진 영화는 아직도 성공할수있다. 다만 표값이 올라서 아무 영화나 안볼래 라는 기류도 충분히 존재하기에 성공가능성을 판단하기가 더더욱 어려워졌다.
완성도가 높지만 대중적이지 않다면 흥행가능성은 더욱 낮다고 생각한다. 이런 영화는 많은이의 선택을 받진못한다.
영화를 잘만든다면 관객을 끌어모을수있는건 맞다.
근데 아닐수도있다.
잘 만들면 잘 보러온다고~ 이 주장 하는 사람들 10의 9는 그 '잘만듬'의 기준을 '아무튼 나한텐 잘만든거 아님' 이지랄을 해대니 토론이 제대로 굴러가지도 않고
일단 잘만들었단 기준을
[대중성을 가진 오락]인지 [영화기법적 완성도]인지 기준부터 정해서 이야기 해야 하지 않을까...
헤결 흥행실패 들고 오면 이게 대중영화임?? 이게 잘만든거임???
대중성 챙긴 던드 들고 오면 이게 그정돈 아닌데???
어쩌라고 ㅅㅂ
이만큼 잘 만들면 온다~ 썰은 결국 결과론이 대다수임.
잘 팔린게 암튼 잘 만든거다~ 하는거.
f1이 우리나라에서 대중적이진 않지..
사실상 반지의제왕 아바타같이 내실탄탄하고 스케일크고 대중적 소재에 이런 극소수 1%빼곤 다 나가란거지
사실상 반지의제왕 아바타같이 내실탄탄하고 스케일크고 대중적 소재에 이런 극소수 1%빼곤 다 나가란거지
사실 그 기준에 들어맞는 F1도 결국 500만.
f1이 우리나라에서 대중적이진 않지..
거기에 완성도와 대중성에서 '잘 만들었다' 라는 최소치도 상향되었고.
지금 7번방이 나온다면 천만을 넘길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테니...
일단 잘만들었단 기준을
[대중성을 가진 오락]인지 [영화기법적 완성도]인지 기준부터 정해서 이야기 해야 하지 않을까...
그 기준을 정하는것자체가 어려운게 개개인이 어느쪽은 완성도로 두느냐가 달라서.. 난 후자지만 다른사람은 전자를 완성도로 볼수도있지.
어쩔수가 없다 영화는 잘 봤는데 감독에겐 미안하지만 이 소재로 극한직업 감독이 만들었으면 진짜 웃겼을거 같은데...라는 생각을 잠시 했었다
잘 만들면 잘 보러온다고~ 이 주장 하는 사람들 10의 9는 그 '잘만듬'의 기준을 '아무튼 나한텐 잘만든거 아님' 이지랄을 해대니 토론이 제대로 굴러가지도 않고
헤결 흥행실패 들고 오면 이게 대중영화임?? 이게 잘만든거임???
대중성 챙긴 던드 들고 오면 이게 그정돈 아닌데???
어쩌라고 ㅅㅂ
이만큼 잘 만들면 온다~ 썰은 결국 결과론이 대다수임.
잘 팔린게 암튼 잘 만든거다~ 하는거.
그래서 잘만들면 아무튼 보러옴 이지랄이 존나 빡침
시장이 망하면 안되는 이유부터 원인이 복잡하게 얽혀있는걸 아무튼 니네가 잘 안해서 그런거라고~ 하고 게으르게 던지는거라
주식 망했다는 사람한테 니가 열심히 한게 맞음?? 니가 잘 한게 맞음??? 이 소리 해봐라 대가리 부셔지지
얼굴, 어쩔수가없다만 봐도 지금 평가 극단적으로 갈리는 판이라
개인적으로 둘 다 재밌게는 봤는데 얼굴은 '이야~'라면서 흥미롭게 봤고, 어쩔수가없다는 '으음..'하면서 재미는 있었는데 막 와닿지는 않더라.
잘만든다의 기준도 다 다르고
그 기준들을 다 맞춰도 보러온다고 장담못하는 그런 시기가 온거지
난 범죄도시 잘만든 영화라고 생각해
자기들이 보여주고 싶은거 잘 보여주잖아 물론 그렇게 생각안하는 사람들이 더 많겠지
근데 헤어질 결심 같은게 잘만든건 그렇다 쳐도 잘 팔리는 장르는 아니지 않나 싶긴함
그러니까 잘만든영화라고 알아서보러온다는 말이 반은 틀렸다는거
맞는 말인게 호불호 없이 잘만든 극한직업 감독은 그 후 호불호 세게 걸리는 실화배경 신파극을 들고나와서 손익분기 뭇 넘기고 대차게 망함
헤어질 결심 말하려고 했는데 바로 나오네
이젠 한국 영화 시장은 잘만든다고 해도 흥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님
헤결은 완성도랑 별개로 소재가 대중적이지 못함
영화가 흥행하려면 가족, 커플단위를 노려야 하는데 불륜소재는 가족, 커플 단위 관람객에겐 선호되지 못함
그냥 다같이 볼 수 있고 재밌게 만들게 만들면 입소문나서 많이들 보러가지
작품성이 어쩌고 이런거 따질 필요가 있는가
평론가 빙의들 그만들하셔
영화를 잘만들어도 흥행할지는 알수 없음
그러나 못만들면 확실하게 망함
원래 긍정적인건 되기 어렵지만 부정적인건 너무나 되기 쉬움
나도 왜 이런지 참으로 ↗같지만 세상이 그냥 이래 생겨먹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