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18787

a7r5와 a7m4의 4k 영상 차이는 어디에서 발생할까요?

고화소 a7r5와 3400만 화소의 a7m4의 사진 비교에서는
고화소인 a7r5가 확실히 선명하고 풍부해 보일 것 같고 크롭에도 유용하고, 반면 노이즈는 더 심하겠지만.
4k 30p 동영상 촬영의 경우, 어차피 고화소로 영상 촬영하나 저 화소로 영상 촬영하나 3840x2160 화소일 거라서 영상의 품질 차이는 고화소에 의한 장점(혹은 단점)이 없을 것도 같은데요...
1. 혹시 영상 품질 차이가 난다면 어느 부분에서 나는 것일까요?
2. 4k 동영상 촬영 시 a7r5가 a7m4보다 노이즈가 많을까요?

댓글
  • ♨뜨거운당근♨ 2025/10/07 12:11

    오히려 풀프레임 모드(크롭이 일어나지 않는 24~30p기준)에서 A7R5는 픽셀비닝 방식이기 때문에 센서 전 영역을 사용하는 풀픽셀 리드아웃 방식을 사용하는 A7m4 보다 화질이 떨어져보일 수 있습니다.

    (8FpZjl)

  • ♨뜨거운당근♨ 2025/10/07 12:14

    위의 이유로 노이즈 또한 A7r5 가 더 많이발생합니다.

    (8FpZjl)

  • jesre 2025/10/07 12:16

    아하 그렇다면 영상을 만그는 방식(픽셀비닝, 풀픽셀리드아웃)에 의한 차이가 클 것 이라는 거군요.

    (8FpZjl)

  • 바람꽃83 2025/10/07 12:29

    고화소가 그대로 품질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오버샘플링을 해야 합니다. a7m4는 16:9 면적만 따져봤을 때 7k 정도의 화소입니다. 그리고 이걸 오버샘플링하기에 최종본은 4K로 뽑히지만 7K로 오버샘플링하고 리사이즈해서 4K를 만들어냅니다. 사진에서 리사이즈한 것과 원리는 다르지만 그만큼의 선예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결과는 비슷합니다.
    그런데 a7r5는 화소가 정말 많기 때문에 거의 10K 가까이 나옵니다. 이걸 오버샘플링한다면 데이터 처리량이 어마어마하겠지요. 발열도 어마어마할 거고요. 그래서 a7r5의 경우 풀프레임 화각을 쓰는 상태에선 4K는 오버샘플링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4k 풀프레임 화각을 쓴다는 가정에서 선예도 하나만 보면 a7m4의 그것이 낫습니다.
    그러나 aps-c 모드에서는 a7r5도 오버샘플링을 합니다. 그래서 풀프레임 화각 쓸 때보다 선예도가 오르고 롤링셔터 역시 줄어듭니다.
    그리고 r5에서는 1.25 크롭 정도로 8K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풀프레임 화각을 다 쓰면 10K 정도 되니 그걸 크롭해서 8K로 만든 거고, 그러니 풀픽셀 리드아웃이 가능합니다. 물론 선예도는 이 상태가 최고입니다. 선예도 하나만 보면 8K로 찍고 크롭을 하듯 리사이징을 하든 r5를 사서 그렇게 쓰는 게 가장 낫겠지요. 다만 그런 목적이 아니라면 오히려 1.25 크롭은 어정쩡해서 풀프레임 렌즈를 쓰기에도, 크롭 렌즈를 쓰기에도 화각 구성이 애매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둘 다 동영상 롤링이 꽤 있는 편입니다. 소니가 영상 전문 기종을 제외하면 타사 경쟁 기종에 비해 화질을 살리고 롤링셔터를 다소 포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타사가 올인원 컨셉을 지향하는 반면 영상에서 이름이 높은 소니는 미러리스 카메라에서 영상 기능이나 스펙을 짜게 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개인이 사용하기엔 단점입니다.
    질문을 정리하면
    1. 영상 품질 차이는 주로 화소당 수광량과 이미지 샘플링 방식 (풀픽셀 리드아웃 후 오버샘플링 - 그냥 풀픽셀리드아웃 - 픽셀 비닝 - 라인스키핑... 으로 갈 수록 화질이 떨어짐) 의 차이에서 나옵니다.
    2. 노이즈는 이론적으론 r5가 더 많은데 실제로 써보면 결정적인 차이로 느껴지진 않습니다. 둘 다 fx3 같은 기종에 비하면.
    결론
    1 화각 구성에 그리 민감하지 않고 롤링셔터에도 그리 민감하지 않으며 쨍한 고화소 촬영을 원하면?
    = a7r5로 8K 촬영
    2. 나는 풀프레임 렌즈가 주력이고, 풀프레임 화각을 주로 쓰며 60프레임을 잘 쓰지 않는다.
    = a7m4가 더 경제적임.
    3. 나는 4K 60p도 많이 쓴다.
    = a7r5로 가야 크롭 비율이 적어짐.
    실은 두 기종은 동영상 품질로 고민할 만한 차이를 보이는 기종은 아닙니다. 롤링셔터가 짧지 않은, 하이브리드라곤 하나 사진에 더 특화된 강점이 많은 기종입니다. 그냥 고화소가 필요하다면 r5를 쓰면 되고, 고화소는 필요없으면 m4, 고화소는 필요없는데 최신 af를 누려야겠다고 생각하면 이제 나올 m5를 노리시거나 c2를 사시면 됩니다.

    (8FpZjl)

(8FpZj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