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998060

상업 촬영 데이터 물리적 이중 백업은 하시는지요.. 저의 데이터 관리 하는 방법

촬영 데이터 물리적 이중 백업은 하시는지요..
이번 국정자원 사고를 보면서 물리적 이중 백업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는데요..
1인대표 듣보잡이지만 저는 이렇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1. 촬영데이터 원본
(시놀로지 1821 나스 100테라 정도, 해킹이나 랜썸 웨어, 바이러스 등 예방차 인터넷과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고 작업 PC랑 다이렉트로만 연결)
1821.jpg
2. 촬영데이터 SSD에 물리적 이중 백업
(1. 촬영데이터와 같은 장소에 없고 휴대하고 다님, 1. 촬영데이터 원본이 통채로 날아가도 괜찮음, 주로 2TB SSD 인틀로저에 넣어서 여기에서 주로 작업, 4TB도 몇개 있긴 한데 비싸서.. SSD는 첨부한 사진보다 더 많습니다..)
ssd.jpg
3. 고객에게 데이터 공유
(시놀로지 918, 인터넷 직접 연결, 다 날아가도 상관없음)
918plus.jpg
1인 대표인데 굳이 이렇게까지 보수적으로 해야하냐 싶지만 웨딩 촬영 15년 이상 해오면서 주변에서 데이터 관리 못해서 수백 물어주는 사례를 종종 봐와서 한건만 예방해준다면 충분히 이정도 투자는 해볼만 한것 같습니다..

댓글
  • 그리꼬 2025/09/29 11:45

    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달라지겠죠 전 나스에 원본 저장하고 말긴하는데....중요도가 높지 않아서....영상은 유튜브에 올리고 비공개로 해놓습니다. 원본 영상도 가지고 있어봐야 나중에 볼일이 없어서;;

    (2oKRat)

  • 머시냥 2025/09/29 11:53

    아 저도 납품 전까지만 물리적 이중 백업합니다. 최종 납품데이터는 최대한 보관하긴 합니다. 영상 결과물은 저도 유투브에도 비공개로 올려놓구요

    (2oKRat)

  • 그리꼬 2025/09/29 11:55

    근데 데이터 보전기간 적당히 두고하는게 좋은 것 같아요 무조건적인 데이터 백업도 썩 좋은 방법은 아닌 듯 싶습니다

    (2oKRat)

  • 머시냥 2025/09/29 11:57

    1년 후에 찾는 고객도 어쩌다 있더라구요..
    하드 좀 더 투자하면 되죠 뭐..

    (2oKRat)

  • 허리우든 2025/09/29 11:51

    데이터 백업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하는것이 맞다고 봅니다

    (2oKRat)

  • 꿈꾸는사진사★ 2025/09/29 12:29

    데이터 백업은 할수록 좋죠 저는
    메인나스저장(작업 메인저장공간)
    클라우드 저장
    원격지 나스 이원화
    이렇게 두군데만 합니다
    어디서든 깡그리 날아가도 상관없죠
    동기화는 위험해하거나 내 실수로 잘못될수 있어서
    쉘스크립트로 자동화 해놨어요

    (2oKRat)

  • DG14 2025/09/29 12:40

    저는 상업도 아닌게... 개인 데이터 이지만, 물리적으로 3중 백업 하고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며 들고 다니는거 1차, 백업안된 폴더를 추가 백업 2차, 정기적으로 2차 백업된 하드 디스크 3차 디스크로 통 복사.
    상업도 아닌데 왜 그렇게 무식하게 하냐고? 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회사에서 나스만 믿고 일하다가 나스 뻑나서? 데이터 복구 한다고 고생을 한번 해 보고... 개인 포트폴리오 및 사진 데이터 다년간 축적된 것인데... 하드디스크 뻑나서 절반 이상 날아가는 경험을 하고 나니?
    귀찬고 번거롭더라도? 틈틈히 시간 날때 마다 하드드스크 두개씩 물려놓고 백업 백업 하고 있습니다.
    그 뒤로는, 자주 사용하는 하드디스크만 두번정도 새걸로 교체 했고, 2차 3차 백업 하드디스크는 쭉 잘 사용 하고 있습니다.
    뭐... 여기다가;;
    사진 같은 경우는? 구글 픽셀 1 폰 구해서, 원본화질 무제한 업로딩으로 4차 백업도 하고 있습니다~ +_+;;;

    (2oKRat)

(2oK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