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폭등 원인조사 마무리 농상 "유통다양화-수율 저하 확인"
고이즈미 신지로 농상은 29일 각의 후 기자회견에서 쌀값 급등의 원인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6개 조사가 모두 끝났다고 밝혔다. 조사의 결과, 쌀을 취급하는 유통의 다양화와, 현미가 백미가 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정미 수율」의 저하가 2023~24년산에 일어나고 있던 것을 재차 확인. 검증 결과를 쌀 관계 각료 회의에서 공유한 다음, 쌀 정책을 생산량의 억제로부터 증산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욕을 나타냈다.
유통의 다양화는 쌀 부족감을 배경으로, 그동안 주류를 이뤘던 농협(JA)을 통한 물량이 감소하고, JA 외의 업체들이 고가로 거래하는 실태가 지적되어 왔다. 정미 수율률의 하락도 23년 여름 일부 산지에서 발생한 고온과 가뭄의 영향으로, 외관 품질이 가장 높은 '1등 쌀'의 비율이 크게 감소해 현미에서 백미로 가공할 수 있는 양이 줄어드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쌀이 그냥 부족한거였어
저거 좀 부족한건 맞았는데 그에 비해 너무 오른게 문제였다고 했었나...
유통다양화는 가격 감소 요인 아님?
우우우우우 쌀쌀쌀!
판매자가 늘었는데 가격이 왜 올라?
결과적으로 시장에 염가로 풀린 정미는 따갚되용 임시방편이 된거네
식당으로 비유하자면 밥 지을 쌀이 없어서 쌀을 찾았는데 진짜 없는거임.
저거 좀 부족한건 맞았는데 그에 비해 너무 오른게 문제였다고 했었나...
말 그대로 자연재해
유통다양화는 가격 감소 요인 아님?
우리나라 과일 유통업체 보면앎
산지-중매-도매-중도매-중중도매-각유통사 창고-소매
중간상인들이 늘어난다는 말임
아 그쪽
유통파편화 라고 하는게 더 와닿으려나
우우우우우 쌀쌀쌀!
아 좋은 쌀이네용
무슨 이름 검색해보니까 나오는 영상이 일본 망했다 한국 최고 국뽕만 나오냐
판매자가 늘었는데 가격이 왜 올라?
결과적으로 시장에 염가로 풀린 정미는 따갚되용 임시방편이 된거네
식당으로 비유하자면 밥 지을 쌀이 없어서 쌀을 찾았는데 진짜 없는거임.
비유가 아니라 그냥 식당이잖아 ㅋㅋㅋㅋ
https://youtu.be/-Ugjt6QiyMM?si=FOeRKq3oyiUEnbSB
업계인으로서 말하자면 우리도 도정률이 갈수록 낮아짐...
근데 도정률이 갈수록 낮아지는 이유가 뭐임?
맛 때문이 아닐까?
아님 굳이 많이 할 필요가...
유통다양화랑 말이 안맞는거 아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12411?sid=110
작년 12월 기사인데 내가볼땐 생산량 조절 실패도 원인으로 보임 ㅇㅇ
유통! 유통!
쌀부족 얘기가 올해만 나온게 아니고
비축미 풀었는데도 저지랄나니 문제인거지
뭐 그래서 사실 이번년도가 이례적인거고 결국 내년되면 다시 쌀생산량은 급증해서 정상화될거라고보는 시각이 많았음. 애초에 기후위기로인한 작황실패+쌀수요 감소에 따른 농가의 생산감축이 원인이었으니까 그냥 시간이 걸릴뿐 정부주도로 쌀생산을 늘리면 쉽게 대응되거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