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일본어에서 오마에는 높임말이었음
그린데 시간이 지나면서 오마에가 낮춤말이 되었음
그리고 일본에서 남편은 아내한테 오마에라고하는데
예전에는 아내를 존중하는 뜻에서 예의 있는 남편이 했지만
현재는 주로 가부장적인 남편이 그럼
구일본어에서 오마에는 높임말이었음
그린데 시간이 지나면서 오마에가 낮춤말이 되었음
그리고 일본에서 남편은 아내한테 오마에라고하는데
예전에는 아내를 존중하는 뜻에서 예의 있는 남편이 했지만
현재는 주로 가부장적인 남편이 그럼
키사마
이게 제일 웃기긴 해
일제시절에 병사들 부를때만이라도 존칭 쓰라고 했는데
시간 지나니까 '이색기 저색기'랑 동의어가 되었잖아
영감, 마누라랑 비슷한 뜻이구만
영감, 마누라랑 비슷한 뜻이구만
소중한 가르침 감사합니다 이양반아
아내는 여전히 남편을 '아나타'라고 존칭해서 부르지...
키사마
이게 제일 웃기긴 해
일제시절에 병사들 부를때만이라도 존칭 쓰라고 했는데
시간 지나니까 '이색기 저색기'랑 동의어가 되었잖아
이 양반이...
같은 느낌인가 보군...
오망꼬랑 다른 단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