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은 수통
나때도 글킨 한데 수통 관리, 세척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못받았거나 꺼림직한 부분
+ 훈련때 걍 생수다발 던져주고 그거 위주로 씀 등등이라서
아마 수통보다 생수가 좀 더 익숙할텐데
그런데 가끔 보다보면 생수를 수통에 대체재로 받아들인다던가
혹은 경험이랑 결학되서 "미군도 수통 안쓰던데?"식으로 잘못 말하는 경우도 좀 있는듯
생수의 등장은 전문적인 물보급 용기나 차량이 아니더라도
걍 팔레트째 옮기거나 차량이나 진지, 가방에 추가로 짱박아두기 편한,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음
물론 대용량으로 갈수록 전문 물통보다 부피 대비 보관효율은 떨어지긴 하는데
근데 이게 약간 그 인터넷에서 나오는 식으로
수통을 대체한다 안쓴다?라고 하면 그건 좀 글쎄다..인 상황임
일단 생수병이 상당히 가벼운건 맞지만
한번 뚜껑을 따고나면 대부분 쉽게 바스락거리면서 조그만한 눌림에도 쉽게 소음이 발생함
더군다나 생수병 자체도 장기간의 재사용을 염두해서 만든건 아니기 때문에 여러번 재탕하면 내구성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그때그때 생수 보급받아서 마시고 버린다?
제때 생수병이 쏙쏙 재보급이 된다는 보장이 없기도 하고 기타 등등 문제가 있음
특히 방독면 착용 하 취수기능은 생수병보다는 수통이 더 흔하고
그러다보니 미군이나 각군은 여전히 수통을, 특히 플라스틱 소재도 많이 쓰고
같이 수납 가능한 컵을 같이 쓰기도 함
컵이랑 포개지는, 고체연료 태우는 받침대도 사제인지 있더라
자칫하면 터져서 물 줄줄 새거나 세척이 귀찮다는 단점의 카멜백도 여전히 판매나 보급, 사용되고 있고
수통이랑 카멜벡을 동시에 차는 모습도 꽤 나옴
그러다보니 생수가 있더라도 수통이나 캐멀백을 채워넣는거에 우선으로 쓰는게 이상적일 수도 있는듯
미군도 악평은 가득하지만 전통적인 물탱크도 계속 쓰는 중
특히 요즘은 기존에 유행했던, 헬기타고 침투해서 뚜까패고 헬기타고 퇴출하는 군장보다도
장거리 정찰, 장기간 도보침투, 최소한의 지원이나 보급등의 임무나 군장셋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여기서도 당연히 수통이 많이 보이고 있음
특히 요즘은 이런 휴대형, 비상용 정화키트가 츄라이를 하고 있는데
장기간 작전시 작전지역, 환경에서 충분한 수원을 확보해서 사용할 수 있다면
처음부터 물을 한가득 바리바리 싸들고 다니는거 보다도 무게랑 부피면에서 당연히 이득이 있음
특히나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데 무게랑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물의 부담을 줄인다면
그만큼 식량이나 탄약을 더 실고가거나, 보급을 최소화+보급작전에 의한 노출이나 취약점을 줄이며 은폐를 유지하고 좋기도 할테니
이런 휴대형 대용량 정화장비같은거도 있음
이외에도 미국애들이 날진 물통을 많이 쓰다보니 이런 파우치도 쓰고
캐멀백처럼 취수호스를 추가해주는 키트도 나왔고
방독면 취수기능의 뚜껑이 달린 날진 물통도 있고
군장에 수납하기 좋음 + 무전기 사이즈라 파우치 활용하기 좋은 물통도 새로 출시되기도 했음
여튼 일케 생수는 유용하기는 하지만 개인 군장부분에서의 수통을 완전히 대체하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많은 체계임
그렇다면 수통은 비상용으로 가지고 다니고 평소엔 생수를 쓰면 되겠군
조끼 물통 성룡영화에서 첨봤었는데
수통 배급 문제는 단순히 구형 수통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온갖 최신장비는 콜렉션으로 구비하려고 하면서 보병 장비에는 인색한 국방부의 모습이 존나 아니꼬와서 그럼
하다못해 무전체계도 개판이라 카카오톡으로 작전보고 하는 것 보고 치가 떨리던데
답은 물이 필요 없는 로봇병사군
뭐임?암것도 안보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