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독감 진단받고 약을 받아왔는데 작년과는 다르게 국산 복제약이더군요 로슈 얘네들도 막판에 신종플루 유행하며 많이 당겼을 듯 국내 제약회사들도 카피약에 의존하지 말고 신약 좀 만들었으면
댓글
ing-♥2018/01/06 07:24
카피약 덕분에 후진국에도 귀한약? 보급이 잘되는거에요..
1970/01/01 09:00
삭제된 댓글입니다
dilemma.2018/01/06 07:35
케미칼의약품의 복제약은 제네릭이라고 합니다
마림바2018/01/06 07:46
2만원대에 사서 무상증자에 엄청 불리다 결혼 할 때 다팔았는데 아직도 돈 있음 사고 싶은 주식입니다. ㅎ
dilemma.2018/01/06 07:38
현직 메이저 제약사 신약개발 연구원인데요..
국내 산업 규모상 현재는 재네릭이 주요 매출처일수밖에없긴 합니다 글로벌 빅파마하고는 자금력에서 어마어마한 차이가..디스커버리단계부터 어려운점이 많네요
와쿠도키2018/01/06 07:43
동감합니다
현직에 있으면서 많이 느끼죠
유화물감2018/01/06 07:43
제네릭약가를 지금보다 더 많이 떨어트려야 제약산업이 활성화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제네릭만 팔아도 회사가 유지가 잘 되니 신약개발에 대한 니즈가 없는거죠. 이건 비단 자금력 문제만은 아닙니다.
dilemma.2018/01/06 07:58
아뇨 제네릭 약가 더 떨어지면 돈이없어요. 지금도 많이 힘듭니다. 제네릭만 팔아서는 안된다는점은 경영진에서도이미 충분히 알고있구요
유화물감2018/01/06 08:54
신약개발 모델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신약 R&D, 사업개발 등에 몸을 담구며 경영진, 연구소장, 개발임원 등을 만나 봤지만 우리나라 신약개발은 자금력만의 문제는 아니라 생각이 듭니다.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제네릭약가 감행을 감수해야 할 것입니다. 이도 한가지 방안을 뿐이죠. 산업 발전이 한가지 방안으로 해결이 어렵다는 점은 동의합니다만, 우리나라가 신약에 투자할 돈이 없다고 탓하는 것은 정부예산, 민간투자 금액만 보더라도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돈만 있으면 breakthrough 한 약물을 개발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모든 신약들이 빅파마에서만 나오겠지만, 바이오벤처, 학교, 연구소에서도 많이 나오는 것이죠. 우리나라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맞습니다. 하지만 더 발전하고 건강한 바이오 생태계를 위해서 감수해야 할 것들은 여러가지가 있음을 생각 부탁 드립니다. 연구소에 계시다 하니 좋은 연구 부탁 드립니다.
따뜻밴드2018/01/06 08:06
저쪽도 물량싸움
돈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게 제약산업이죠
거대 제약사들의 돈벌이가 욕먹고 있긴하지만
아이러니하게 그 돈벌이 때문에 신약개발이 가능하고 인간수명이 늘어나고 있됴
후후후니2018/01/06 08:18
그래도 덕분에 며칠동안 고생했던 감기가 다 나았습니다.
blueopioid2018/01/06 08:20
신약개발하기엔 사실 우리나라 시장이 너무 작음.. 개발인프라도 안좋고...그럼 해외시장 보고 해야하는데 해외에는 글로벌 빅파마들이 버티고 있고..
카피약 덕분에 후진국에도 귀한약? 보급이 잘되는거에요..
삭제된 댓글입니다
케미칼의약품의 복제약은 제네릭이라고 합니다
2만원대에 사서 무상증자에 엄청 불리다 결혼 할 때 다팔았는데 아직도 돈 있음 사고 싶은 주식입니다. ㅎ
현직 메이저 제약사 신약개발 연구원인데요..
국내 산업 규모상 현재는 재네릭이 주요 매출처일수밖에없긴 합니다 글로벌 빅파마하고는 자금력에서 어마어마한 차이가..디스커버리단계부터 어려운점이 많네요
동감합니다
현직에 있으면서 많이 느끼죠
제네릭약가를 지금보다 더 많이 떨어트려야 제약산업이 활성화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제네릭만 팔아도 회사가 유지가 잘 되니 신약개발에 대한 니즈가 없는거죠. 이건 비단 자금력 문제만은 아닙니다.
아뇨 제네릭 약가 더 떨어지면 돈이없어요. 지금도 많이 힘듭니다. 제네릭만 팔아서는 안된다는점은 경영진에서도이미 충분히 알고있구요
신약개발 모델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신약 R&D, 사업개발 등에 몸을 담구며 경영진, 연구소장, 개발임원 등을 만나 봤지만 우리나라 신약개발은 자금력만의 문제는 아니라 생각이 듭니다.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제네릭약가 감행을 감수해야 할 것입니다. 이도 한가지 방안을 뿐이죠. 산업 발전이 한가지 방안으로 해결이 어렵다는 점은 동의합니다만, 우리나라가 신약에 투자할 돈이 없다고 탓하는 것은 정부예산, 민간투자 금액만 보더라도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돈만 있으면 breakthrough 한 약물을 개발 할 수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모든 신약들이 빅파마에서만 나오겠지만, 바이오벤처, 학교, 연구소에서도 많이 나오는 것이죠. 우리나라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맞습니다. 하지만 더 발전하고 건강한 바이오 생태계를 위해서 감수해야 할 것들은 여러가지가 있음을 생각 부탁 드립니다. 연구소에 계시다 하니 좋은 연구 부탁 드립니다.
저쪽도 물량싸움
돈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게 제약산업이죠
거대 제약사들의 돈벌이가 욕먹고 있긴하지만
아이러니하게 그 돈벌이 때문에 신약개발이 가능하고 인간수명이 늘어나고 있됴
그래도 덕분에 며칠동안 고생했던 감기가 다 나았습니다.
신약개발하기엔 사실 우리나라 시장이 너무 작음.. 개발인프라도 안좋고...그럼 해외시장 보고 해야하는데 해외에는 글로벌 빅파마들이 버티고 있고..
경보제약... 가즈아
타미플루 원료가 중국에 있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