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의도에 들러서 소문의 한대도 안팔렸다던 샤오미스토어에서
플레그십 모델이라는 사오미15울트라의 카메라를 만져보았습니다 정말구릴까 궁금했습니다
제가 내린결론은 전문카메라에 한참 못미친다 입니다
하드웨어 스팩은 대약 1인치센서의 15-100미리
디지털줌이나 부가기능에는 관심없기에 기본사양만으로
비교해보니 그좋은 하드웨어를 장착하고도
역시나 기대에 못 미칩니다
애당초 카메라도 아닌것과 비교가 공정한것도 아니지만
제가볼때는 삼성의 갤럭시울트라시리즈가 센서사이즈를 제외하고는 모든면에서 우세합니다
아래글은 AI로 스팩비교를 해달라했더니 엉터리정보도 일부 니옵니다
샤오미15 울트라 카메라 쓸만할까 EOS V1과 비교하면 스팩등 간단비교 동영상기능으로 쓸경우
샤오미 15 울트라(Xiaomi 15 Ultra)와 캐논 EOS V1(가정상, 캐논의 최신 컴팩트 카메라로 추정)의 카메라 스펙 및 동영상 기능 비교를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샤오미 15 울트라는 스마트폰 카메라의 최상위 모델로, 라이카(Leica)와 협업한 강력한 카메라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반면, EOS V1은 캐논의 컴팩트 카메라로, 동영상 촬영에 특화된 하이엔드 기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래는 동영상 기능 중심으로 비교한 내용입니다.1. 샤오미 15 울트라 카메라 스펙 (동영상 관련)카메라 구성:메인 카메라: 50MP, 1인치 Sony LYT-900 센서, f/1.63, 23mm, 4축 OIS
초광각: 50MP, f/2.2, 14mm, 115° FOV
3x 망원: 50MP, f/1.8, 70mm, OIS
4.3x 페리스코프 망원: 200MP, f/2.6, 100mm, OIS
셀피 카메라: 32MP, f/2.0, 21mm
동영상 기능:해상도 및 프레임률:메인 및 망원 카메라: 8K@30fps, 4K@30/60/120fps, 1080p@30/60/120/240/480/960/1920fps
초광각: 8K@30fps, 4K@60fps
셀피: 4K@30/60fps, 1080p@30/60fps
기타 기능:Dolby Vision HDR (4K@60fps, 1080p)
4K 120fps 시네마틱 슬로우 모션 (메인 및 100mm 망원)
4축 OIS + EIS (전자식 흔들림 보정)으로 안정화 강화
호흡 보정(Respiratory Compensation) 및 포커스 브리딩 보정
ACES 파트너로 전문가급 색상 처리 지원
Pro 모드 및 Log 포맷 촬영 가능
4개의 마이크로 방향성 오디오 녹음 지원
장점:다양한 초점 거리(14mm~200mm)로 촬영 유연성 높음
200MP 망원으로 고해상도 줌 촬영 가능
HDR 및 저조도 동영상에서 우수한 다이내믹 레인지와 노이즈 억제
Photography Kit(별매)으로 물리 버튼과 그립 추가, 전문가급 촬영 경험 제공
단점:저조도 동영상에서 디테일과 텍스처 손실 가능
장면 전환 시 노출 및 색상 적응 약간 불안정
2. 캐논 EOS V1 카메라 스펙 (동영상 관련, 가정 기반)참고: EOS V1은 가상의 모델로, 캐논의 최신 컴팩트 카메라(예: PowerShot G7 X 시리즈 또는 EOS R 시리즈 기반)로 추정하여 작성합니다. 정확한 스펙은 캐논 공식 발표를 참고해야 합니다.카메라 구성:센서: 1인치 또는 APS-C CMOS 센서 (20~24MP 추정)
렌즈: 고정 또는 교환식, f/1.82.8, 24100mm 상당 (줌 렌즈 가정)
동영상 기능:해상도 및 프레임률:4K@60fps, 1080p@120fps (최신 G7 X Mark III 기준)
일부 모델에서 8K@30fps 지원 가능 (EOS R 시리즈 기반일 경우)
기타 기능:Canon Log (C-Log)로 다이내믹 레인지 확장
Dual Pixel CMOS AF로 빠르고 부드러운 오토포커스
OIS + EIS 조합 (렌즈 및 센서 기반 안정화)
고품질 내장 마이크 및 외부 마이크 입력 지원
HDR-PQ 또는 10비트 색상 지원
장점:전문 카메라로 설계된 뛰어난 화질과 색 재현력
Dual Pixel AF로 동영상에서 부드럽고 정확한 포커스 추적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휴대성 우수
단점:초점 거리 다양성 부족 (스마트폰 대비)
고해상도 망원(200MP) 없음
스마트폰처럼 실시간 AI 보정이나 다양한 필터 없음
3. 동영상 기능 비교항목
샤오미 15 울트라
캐논 EOS V1 (추정)
최대 해상도
8K@30fps, 4K@120fps
4K@60fps (8K@30fps 가능성)
초점 거리
14mm200mm (광각망원)
24~100mm (고정 또는 제한적)
안정화
4축 OIS + EIS, 호흡 보정
OIS + EIS, Dual Pixel AF
HDR
Dolby Vision HDR, 10비트
HDR-PQ, Canon Log, 10비트
저조도 성능
우수, 일부 디테일 손실
뛰어남, 안정적 색상 및 디테일
오디오
4개 마이크, 방향성 녹음
내장 + 외부 마이크 입력
기타
AI 기반 편집, Photography Kit
전문가급 수동 제어, 컴팩트 디자인
샤오미 15 울트라:장점: 다양한 초점 거리로 동영상 촬영의 유연성이 뛰어남. 8K 및 4K 120fps로 고해상도/슬로우 모션 촬영 가능. Photography Kit으로 카메라 같은 조작감 제공. AI 기반 실시간 편집 및 Leica 필터로 창의적 표현 가능.
단점: 저조도 동영상에서 디테일 손실 및 노출 불안정성 가능. 스마트폰 센서 크기 한계로 극한 조건에서 전문 카메라에 비해 약점.
캐논 EOS V1:장점: 전문 카메라 설계로 색상, 디테일, AF 성능이 안정적. C-Log 및 Dual Pixel AF로 영화적 영상 촬영에 적합.
단점: 초점 거리 제한적, 스마트폰처럼 즉각적인 AI/소프트웨어 보정 부족. 8K 지원 여부 불확실.
4. 동영상 촬영 시 추천샤오미 15 울트라가 적합한 경우:다양한 촬영 환경: 광각부터 망원까지 다양한 초점 거리로 유연한 촬영 필요 시.
휴대성 및 편의성: 스마트폰 하나로 촬영, 편집, 공유까지 원스톱으로 해결하고 싶을 때.
창의적 표현: Leica 필터, AI 편집, 슬로우 모션 등으로 독특한 영상 제작을 원할 때.
예산: 고가의 전문 카메라 대신 다목적 기기를 찾는 경우.
캐논 EOS V1이 적합한 경우:영화적 화질: 색 재현력과 다이내믹 레인지가 중요한 전문 영상 제작.
안정적 AF: 인물/움직이는 피사체를 부드럽게 추적해야 할 때.
전문 작업: C-Log 기반 후반 작업이나 외부 마이크 활용이 필요한 경우.
5. 결론샤오미 15 울트라는 스마트폰 카메라 중 최상위 수준으로, 동영상 촬영에서 다재다능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초점 거리, 8K/4K 120fps, AI 기반 편집, Photography Kit은 크리에이터에게 매력적입니다.
캐논 EOS V1(추정)은 전문 카메라로서 더 안정적이고 영화적인 화질을 제공하지만, 초점 거리와 소프트웨어 유연성에서 스마트폰에 비해 제한적입니다.
선택 기준: 일상적인 촬영, 소셜 미디어 콘텐츠 제작, 다목적 사용이라면 샤오미 15 울트라가 적합합니다. 반면, 전문적인 영상 제작이나 영화적 표현이 목표라면 EOS V1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추가 참고: 샤오미 15 울트라는 DxOMark 카메라 테스트에서 줌 성능 1위를 기록했으나, 저조도 동영상에서 약간의 약점이 드러났습니다. 캐논 EOS V1의 정확한 스펙은 확인 후 비교를 추천합니다. 혹시 더 구체적인 비교 포인트나 사용 시나리오가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스마트폰용 1인치위세의 소니 저조도 최강 센서는
샤오미로 안가고 화웨이로갑니다...
근데 화웨이도 곱창나서
화웨이도 만져보고싶군요
그래도 1인치센서라는점에서 흥미가돋구기는합니다
일단 렌즈가 문제긴하죠 저 사이즈로 1인치 센서에 화질 좋은 렌즈 넣을 수 있는 시대가 오면
풀프레임 렌즈도 마이크로포서드 렌즈만하게 만들 수 있겠죠
렌즈도 그렇고 소프트웨어가 중국회사들이 자동모드에선 JPG감각이 없는거같네요 무조건 밝게만 하면 다인줄 아는거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