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당연한 거지만 NVME를 사기 시작해서 많이 산다
ZFS같은 강력한 파일시스템을 쓰기 위해선 필요한 용량에서 최소 1개 이상을 더 사야된다...ㅠ
그 다음엔 NAS로 쓸 수 있는 미니PC를 산다
그냥 미니PC같아보이지만 이놈은..
NVME가 아주 많이 들어가는 놈이다.
2.5Gbps 포트가 2개 있어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쓸 수 있다
메인이 되는 4번 포트를 넣고 보니 본체 전체가 알루미늄 방열판 역할을 하는 듯. 팬이 좀 작아서 CPU온도가 높을 것 같은 건 흠.
1,2,3번 포트도 싹 깔아준다.
이로서 대략 6TB 조금 안되는 용량을 확보하였다.
OS용 eMMC가 있어서 처음엔 윈도우 부팅이 가능하긴 한데
어차피 윈도우 돌리기에 애매한 사양이다보니 이더넷을 연결한 다음 대충 TrueNAS등 Unraid등 적당한 OS를 깔고 부팅한다
이러고 PC나 폰에서 192.168.0.XXX로 들어가 스토리지 생성한 다음 SMB 지정해주면 NVME 나스 끝..! 참 쉽죠?
소비전력을 스마트 플러그로 측정해보면 부팅시 가장 많이 올라갈 때 30W, 아이들엔 10W, NVME에 초당 100MB로 쓸 때 20W정도 사용하는 듯 함
레이드로 묶인거라 NVME 4개 전체가 고루 사용되는데, 초당 1GB쯤으로 실험을 해봐야해봐야겠지만 스위치도 없고.. 메인컴도 10Gbps랜도 없고.. 해서 속도가 이모양. 조만간 2.5G 스위치로 바꾸고 내부망은 개선해볼 예정임.
NVME 레이드 풀 속도를 쓸 일도 없는데 이걸 왜 샀냐? 하면 일단 하우징이 잘빠졌고, 어차피 느린 SSD 산다고 가격이 더 싼 것도 아니고.. 해서 SSD 2TB 4개 묶어 100만원 안쪽으로 트루나스 설치해볼 기회가 지금이라 생각했음.
시놀로지 DS918이 있긴 한데 사진 찾을때 지나치게 느리고, 얼굴인식 인덱싱도 툭하면 멈추고, 트랜스코딩도 사실 못써서 이제 슬슬 자료백업 외 용도는 끝난 것 같아 동영상 편집할 겸 적당한 사양으로 잘 업글한 것 같음.
대신 20TB 외장하드 적출해서 시놀로지 안에 있는 3만시간 된 하드 내용 싹 백업해줌.
반박시 님 말이 맞습니다.
시놀로지 ㄱ새ㄲ들...
이제 시놀로지 HDD아님 호환 안되게 한다 발표한후로 안티됨..
이유가 뭐? 안정성 때문에라고 ?
시게이트,WD가 30년 넘게 HDD만들어 왔는데
하드 만든지 얼마 되지도 않는 놈들이 그딴소릴...
개똥같은 CPU 넣어도 시놀로지 추천해주고 있었는데 이놈들 건 정책 철회하기 전엔 두번 다시 안씀
진짜 os편의성안정성 때문에 쓴다는말들도 이젠 다 옜말임...
오류겁나 많고 리부팅 몇번씩 해야됨..
어쩨 업데이트 하면 할수록 더 ㅄ되냐..
4k영상편집하는 유투버들보면 nvme ssd로 나스 채워놓는사람들 많더라
이번에 알아보나 큐냅은 물론이고 큐냅보다 좀 더 아랫급인 ASUSTOR나 테라마스터 OS도 다 쓸만해짐. OMV조차 꽤 많이 개선되었으니까.
옛날처럼 무지성 시놀로지 추천할 시기는 지난 것 같음. 물론 기업이면 익숙한거 쓰는게 중요하지만서도..
그래도 전체적으로 사용하기 제일 편하긴 한데 안정성은 개인에게 무료 버전 푸는 트루나스와 차이가 있나 싶음.
링크...어그리?어그로???뜌....뜌땨아....
나스 고수가 될거야!
4k영상편집하는 유투버들보면 nvme ssd로 나스 채워놓는사람들 많더라
제일 중요한 건 내부망을 5gbps로 싹 가는건데 따흐흑
SSD로 나스 괜찮나? TLC는 셀당 수명 1000회라
쓰기 작업 자주하는 NAS는 좀 애매하지않엉?
컨트롤러가 요즘은 많이 좋아져서 수명이 꽤 늘어남
cpu를 고성능으로 돌리면 속도 확오를듯
CPU도 중요한데 제일 중요한 건 내부망 속도.
일단 10Gbps를 못뽑으면 NVME속도는 큰 의미가 없..
시놀로지 ㄱ새ㄲ들...
이제 시놀로지 HDD아님 호환 안되게 한다 발표한후로 안티됨..
이유가 뭐? 안정성 때문에라고 ?
시게이트,WD가 30년 넘게 HDD만들어 왔는데
하드 만든지 얼마 되지도 않는 놈들이 그딴소릴...
개똥같은 CPU 넣어도 시놀로지 추천해주고 있었는데 이놈들 건 정책 철회하기 전엔 두번 다시 안씀
진짜 os편의성안정성 때문에 쓴다는말들도 이젠 다 옜말임...
오류겁나 많고 리부팅 몇번씩 해야됨..
어쩨 업데이트 하면 할수록 더 ㅄ되냐..
그래도 전체적으로 사용하기 제일 편하긴 한데 안정성은 개인에게 무료 버전 푸는 트루나스와 차이가 있나 싶음.
솔직히 시놀이랑 큐냅거 다써봤는데
큐냅꺼가 그렇게 나쁜거도 아님..
나스os 매일쓰는것도 아니고 몇번 하다보면 적응 금방됨..
그저 사용성 윈도우랑 비슷해서 편한거 같지만
뭐 자주 쓰는거면 익숙한 윈도우랑 비슷해보여서 그럴수 있는데 큐냅꺼도 os사용성 나쁘지 않음..
이번에 알아보나 큐냅은 물론이고 큐냅보다 좀 더 아랫급인 ASUSTOR나 테라마스터 OS도 다 쓸만해짐. OMV조차 꽤 많이 개선되었으니까.
옛날처럼 무지성 시놀로지 추천할 시기는 지난 것 같음. 물론 기업이면 익숙한거 쓰는게 중요하지만서도..
난 923+에 1테라 스스디 2개달고 듀얼포트로 대역폭 구성해서 쓰는데 게임 넣고 굴리기도 무난하던
아니 920+지
사실 그게 괜찮은데, CPU 성능이 바라는 것보다 좀 모자라서.. 트랜스코딩 쓰면서 보면 이제 시놀로지 엔트리 모델로 감당이 안됨
애초애 트랜스코딩도 라이젠 넘어가면서 사실상 없어졌고 사양자체도 j셀러론 써가지고 스펙이 구려가지고 ㅠ
크흐 좋은 리뷰 감사ㅋ
NVMe가 6개나 들어간다니, 진짜 저러라고 만든 미니PC구만.
나도 엄청 땡기네, 하나 구축할까...
추후 리뷰 업뎃 되는거 기대하겠음!!
GMK가 NVME 4개 들어가는 물건 내놓더니 곧바로 비링크가 지옥 빅스마일 기간에 딱 맞춰 이걸 내놓는 바람에 팍 질렀음.
단일 PC로 쓰기엔 구린 성능이지만 재미용 서버로 쓰긴 딱 좋을테니 미니PC 서버 추천해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