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587775

현실적으로 급발진은 99.9퍼센트 운전자 과실임

3줄요약 있음
며칠전에 강릉 티볼리 급발진 주장 사건의 1심 판결이 나왔음. 결과는 운전자가 패소했음. 안타깝지만 운전자 과실이 맞음.
보통 대부분의 급발진 의심 사례는 운전자의 페달 착각으로 일어남. 이는 페달 블랙박스를 단 채로 급발진 주장을 한 사람의 사례에서 어느정도 증명이 됐음. 본인은 분명 브레이크를 밟았다고 하는데 블랙박스 까보니깐 악셀만 밟는게 나왔거든. 근데 본인이 그 영상을 보고도 나는 분명 브레이크를 밟았다고 영상을 믿지 않았음. 사람의 기억이 이렇게 부정확함.
순간적인 판단 오류로 악셀을 밟으면 차가 평상시에 못 듣던 고rpm 소리와 함께 훅 나가면서 당황함. 그리고 지금 밟고있는 악셀을 계속 브레이크라 믿으며 계속 밟음. 이런 케이스는 나이가 들면 들수록 발생확률이 올라감. 판단력과 인지력은 나이가 들수록 낮아지니깐.
물론 정말 희박한 확률로 급발진이 있긴함. 스로틀밸브가 고착돼서 풀스로틀인 상태로 고정되면 풀악셀인 상태와 동일하니깐 차가 이제 급발진 하는거임.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브레이크는 작동함. 풀브레이킹을 하면 차는 무조건 서게 돼있음. 차를 설계할때 엔진이 브레이크를 이기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에 풀브레이킹을 한다면 설 수 있음.
예외적으로 테슬라에 모델s plaid는 브레이크가 출력을 못따라간다고 비판이 있는데 걔는 어차피 전기차라 스로틀밸브관련 문제는 발생할 일이 없음.
비상브레이크 얘기도 나오는데 요즘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차량은 얘를 쓰면 됨. 애초에 브레이크를 밟는게 가장 중요하고.
대부분의 운전자가 풀브레이킹을 해본적도 없고 풀악셀 해본적도 없을거임. rpm 3천이상 쓰는 사람도 드물거임. 본인이 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니깐 이런 상황에 대처를 못 함. 운전면허 시험 강화와 교육 강화, 그리고 고령운전자 급발진 방지 시스템 설치 정도가 급발진 의심 사고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을거임.
3줄요약
1. 대부분 급발진은 운전자 과실이다
2. 설령 정말 희박한 확률로 급발진이 발생하더라도 풀브레이킹 하면 차는 선다
3. 면허시험강화, 교육강화, 급발진방지시스템으로 좀 줄일 수는 있지않을까

댓글
  • 리엇 2025/05/14 18:57

    RPM 2500 넘어가면 "이거 괜찮을까?" 하는 생각부터 들어 ㅋㅋ

    (KzIAsQ)

  • Dr.O 2025/05/14 18:59

    늘 풀악셀로 밟고 다니면 차에 안좋겠지만 엄연히 레드존 밑으로는 다 쓰라고 있는거야. 사람으로 치면 다칠까봐 뛰진 못하고 걷기만 하는거임.

    (KzIAsQ)

  • 2편을향하여 2025/05/14 18:57

    실제로 급발진 나면 단한번 브레이크 꽉밟고 기어 중립으로 바꾸는게 그나마 살 방법이니...

    (KzIAsQ)

  • Dr.O 2025/05/14 18:59

    그냥 브레이크만 잘밟고 정지 후 시동만 끄면 됨 중립도 넣어주면 좋긴하지

    (KzIAsQ)

  • 사라다이 2025/05/14 18:59

    정지 상태에서 급격하게 rpm 올리려면 바로 컷 당하는 장치 생각나네.

    (KzIAsQ)

  • Dr.O 2025/05/14 19:00

    그건 환경규제 영향이 큼 ㅋㅋ

    (KzIAsQ)

  • 금향궁 양념통닭 2025/05/14 19:05

    나도 어제 학교가서 화장실 급한 상태에서 주차 하는데 브레끼 밟는다는게 악셀을 밟았는지 순간 졸라 크게 부아아앙 소리가 남
    평소 악셀 쪽에 절대 다리 안 두려고 강박적으로 신경 쓰는데도 순간적으로 이럴 정도면 어지간하면 조작 미숙이겠지

    (KzIAsQ)

  • 보급형 핫산 2025/05/14 22:22

    면허 갱신 과정에 페달 오조작 대처 반드시 넣어야 함.

    (KzIAsQ)

  • shafe123 2025/05/14 22:23

    반박댓글들 보면 다들 운전 베테랑인데 페달 오인을 할 리가 없다 그렇게 반박하더라
    실수라는것을 고려치 않는거 같더라

    (KzIAsQ)

(KzIAs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