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554975

1960년대 우주비행사들의 상징이 되었던 자동차


img/25/05/03/1969637a2703de0fb.webp


1960년대 우주 경쟁 당시에 미국에서 우주비행사라는 직업의 이미지는 영웅이나 유명인 수준이 아니었음


지금은 톱스타 연예인들이나 쫓아다니는 삼류 파파라치들마저 할리우드 탑스타들이 아니라 우주비행사들을 쫓을 정도였고


당시 초등학교에서 장래희망을 물어보면 무려 90%의 아이들이 우주비행사라고 답했을 정도였음


당연히 자본주의의 나라 미국 아니랄까봐 이런 우주비행사들을 통해 광고 효과를 누리려는 기업들도 상당했는데




img/25/05/03/1969639a3613de0fb.png


그 중 하나가 바로 지금도 미국 최대의 자동차 회사 중 하나인 제너럴 모터스(GM)


당시 GM은 미국의 영광과 인류의 미래를 위해 헌신하는 우주비행사들을 위한 특별 배려(+ 겸사겸사 자기네 자동차들 광고 좀 하고)의 목적으로


아폴로 계획에 참가중인 우주비행사들을 상대로 자사의 모든 차량을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빌려준다는 프로그램을 운영함


이때 우주비행사들이 내면 되는 비용은 연간 1달러. 현재 물가를 감안해도 연간 10달러 수준이니 매우 저렴한 걸 넘어서 남는 게 있나 싶은 수준의 가격이었음




img/25/05/03/1969637c0153de0fb.webp




img/25/05/03/1969637c1e23de0fb.jpg


상술했듯이 해당 리스 프로그램은 GM 그룹에서 생산하는 '모든' 자동차들이 해당되었기 때문에


마음만 먹는다면 캐딜락이나 뷰익 같은 당대의 최고급 자동차도 단돈 1달러만 내고 빌릴 수 있었지만


절대다수의 우주비행사들은 캐딜락은 커녕 당시에도 대중차 브랜드였던 쉐보레에서 생산하는 스포츠카인 콜벳을 선택했음


이유는 어이없을 정도로 간단했는데, 해/공군 파일럿 출신이 대부분이었던 우주비행사들이 느려터진 캐딜락 따위로는 성이 안 찼다는 이유였다고 함




img/25/05/03/1969637ef963de0fb.jpg




img/25/05/03/1969637ef943de0fb.jpg


실제로 이 리스 프로그램은 단발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아폴로 계획이 종료되는 그 시점까지 계속 이어졌고


안 그래도 미국 최초의 슈퍼카라는 이미지와 함께 선망의 대상이 되었던 콜벳은 오일 쇼크로 인한 다운사이징과 성능 하락에도 불구하고


'우주를 향해 나아가는 사나이들의 자동차'라는 어마어마한 이미지로 인한 마케팅 효과를 얻으며 지금까지 잘 나가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음


아폴로 13이나 포 올 맨카인드 같은 당시를 모티브로 한 영화에서 우주비행사들이 죄다 콜벳을 몰고 나오는 것도 이것의 영향

댓글
  • 레보스키돈어딨어 2025/05/03 22:09

    https://youtu.be/EkZ5MvSTF4U?si=FHs0OCYYoqcWKCOS
    저 시절을 매우 잘 설명해주는 포 올 맨카인드 1화 초반 장면

  • 초☆융★합 2025/05/03 22:02

    문화는 기업의 한방전략으로도 탄생한다..

  • 초☆융★합 2025/05/03 22:02

    문화는 기업의 한방전략으로도 탄생한다..

    (9CaFI8)

  • 레보스키돈어딨어 2025/05/03 22:09

    https://youtu.be/EkZ5MvSTF4U?si=FHs0OCYYoqcWKCOS
    저 시절을 매우 잘 설명해주는 포 올 맨카인드 1화 초반 장면

    (9CaFI8)

(9CaFI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