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드기반을 이용한 웹하드 업체가
지속적인 해킹공격을 받음
이로인해 고객들의 PC에 알수없는 파일이 생기거나
혹은 이미지나 영상을 못보게 변질되는
바이러스가 자꾸 심어지게됨
업체는 kt 유저들만 지속적으로 문제가 생기는걸 보고
KT쪽 보안에 어떤 문제가 생긴게 아닐까 생각함
보안업체에서 조사결과
어떤 특정한 곳에서 일부로 다분히 고의적인 의도로
PC를 해킹하고 공격하고 있던걸로 확인됨
이러한 해킹을 사용자가 방어할수있는 방법은 없음
경찰조사 결과 이러한 해킹을 하고있던곳은
KT 데이터센터였고
KT는 악성 그리드 서비스를 막기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 설명함
KT가 그리드 시스템에 이러한
직접적인 해킹공격을 한 이유는
자신들의 망사용료와 관련된
금전적 문제와 연관된게 아닐까 의심받았음
게 요약해서 설명해주자면
100이란 데이터가 필요하면 기업이 100을 부담하니까
100이란 데이터에 대해 통신사가 기업에게 100이란 돈을 받을 수 있음
그런데 그리드 방식은 기업이 부담해야 할 데이터를 개인이 나눠 냄
개인은 얼마를 쓰던 공짜니까
이게 아니꼬와서 통신사가 그리드 방식 사용하는 애들을
개인 통신 회선 사용해서 공격한거
나 이미지 못보게 변환되는거 한 1년? 장기적으로 당했었는데
kt써서 그런거였구나.. 아 쉬벌..
대표 얼굴 블러처리 하다가 카메라에 찍히는건 왜 그냥 내보내냐 ㅋㅋㅋㅋ
K : 고객을 T : 털자
S : 신나게 K : 고객을 T : 털자
이미 감염된 피씨는 다시 감염될 수 없다. 뭐 이런거야?
나 이미지 못보게 변환되는거 한 1년? 장기적으로 당했었는데
kt써서 그런거였구나.. 아 쉬벌..
아 옛날 폰으로 갑자기 이미지 못본거 이거 때문이구나. 새폰 사서 kt에서 다른 통신사로 바꾸면서 해결되긴 했는데 그때는 그냥 폰이 오래되서인줄 알았는데 ㅋㅋ
대표 얼굴 블러처리 하다가 카메라에 찍히는건 왜 그냥 내보내냐 ㅋㅋㅋㅋ
기자도 꼬왔나보지 뭐 ㅋㅋㅋ
게 요약해서 설명해주자면
100이란 데이터가 필요하면 기업이 100을 부담하니까
100이란 데이터에 대해 통신사가 기업에게 100이란 돈을 받을 수 있음
그런데 그리드 방식은 기업이 부담해야 할 데이터를 개인이 나눠 냄
개인은 얼마를 쓰던 공짜니까
이게 아니꼬와서 통신사가 그리드 방식 사용하는 애들을
개인 통신 회선 사용해서 공격한거
K : 고객을 T : 털자
S : 신나게 K : 고객을 T : 털자
저거랑 망사용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