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의 모 제품으로 매우 유명한 it 기업이 있음
2. 신규 제품을 만들면서 일부 기능에 오픈소스를 적용함
3. 시간이 흘러 미국에서 "너 고소" 하고 오픈소스 제공 업체에 고소당함
4. 고소장 "오픈소스 라이센스, 상용 라이센스가 있는데 니들은 오픈소스 사용했지?"
5. 고소장 "그런데 그 라이센스 사용하면 니들 소스도 까야하는 약관인데 깠냐 니들?"
6. 너 고소!
7. it 기업 "아니 무료 오픈소스인데 돈 달라는 게 말이 되냐? 무료이니 니들 손해 본거 없잖아"
8. 판사 "소스 깜? 아니지? 그럼 니들은 상용 라이센스를 멋대로 사용한거임"
9. 판사 "소스 까던가 돈 내던가 선택해"
결론적으로 상용 제품 소스를 깔 순 없으니 이자쳐서 사용료 싹다 지불함으로 엔딩
고소 업체에서는 "한국 it 기업들은 가져다 쓰기만 하지 라이센스 (소스 까기) 하는 업체가 없어 정말" 이라는 소감을 남김
이거혹시 직원들 싹다모여서 몇달동안 주석다지우고 변수명 바꿔서 나온 거기냐 ㅋㅋㅋ
실제로 그래서 코드를 깐 게임이 있다.
투하트2다.
그냥 소스 갖다쓴데가 병1신인거자나..
토렌트는 잘못하면 잡혀가니까라는 변명이라도 되긴 하지ㅋ
ㅎㅋ?
이거혹시 직원들 싹다모여서 몇달동안 주석다지우고 변수명 바꿔서 나온 거기냐 ㅋㅋㅋ
ㅋㅋㅋ 토렌트도 의외로 한국애들 시드유지 안한다고 말 많았고
몇몇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들
한국애들 후원금 짜다고
멀쩡히 지원하던 한국어 빼서
헤비유저 양반이 실수로 뺐나 문의하니까
일부러 뺐다고 해서
아쉬웠던적 있는데 ㅋㅋㅋ
토렌트는 잘못하면 잡혀가니까라는 변명이라도 되긴 하지ㅋ
ㅇㅈ?
실제로 그래서 코드를 깐 게임이 있다.
투하트2다.
그냥 소스 갖다쓴데가 병1신인거자나..
저 사건 이후로 한동안 개발자면접에 오픈소스 라이센스에 대해 아냐고 물어봤다는 후문이 ㅋㅋ
막줄 팩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