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ㄴ 장사 잘됨
제작비 : 1800만 달러
흥행 : 8000만 달러
제작비 : 1500만 달러
흥행 : 1억 4천만 달러
네임드 메이저 영화제 수상이라도 하면 수익 10배 뽑는건 일도 아니고
이런 취향인 매니아들은 극장료가 얼마든 신경쓰지 않는다
ㄴㄴ 장사 잘됨
제작비 : 1800만 달러
흥행 : 8000만 달러
제작비 : 1500만 달러
흥행 : 1억 4천만 달러
네임드 메이저 영화제 수상이라도 하면 수익 10배 뽑는건 일도 아니고
이런 취향인 매니아들은 극장료가 얼마든 신경쓰지 않는다
한 나라 안에선 마이너해도 여러 나라의 마이너를 합하면 돈이 되니깐
전세계 상위 50% 의 사람들에게 1원은 무시해도 좋은 돈이지만 모두 모으면 40억원이 된다
+) 아예 업계인들의 환원 느낌으로 그런 곳에만 투자하는 회사도 있음
+)정부 지원 사업도 있음
생각보다 이런게 잘되어있음
물론 코로나 이후엔 다 옛말이지만
한 나라 안에선 마이너해도 여러 나라의 마이너를 합하면 돈이 되니깐
전세계 상위 50% 의 사람들에게 1원은 무시해도 좋은 돈이지만 모두 모으면 40억원이 된다
+) 아예 업계인들의 환원 느낌으로 그런 곳에만 투자하는 회사도 있음
+)정부 지원 사업도 있음
생각보다 이런게 잘되어있음
물론 코로나 이후엔 다 옛말이지만
비주류는 의외로 돈이 된다
큰그림이구나
세상엔 수상할정도로 돈많은 마이너취향 매니아가 존제한다
근데 반대로 영화제에서 수상을 해야 돈벌수있단소리아닌가?
ㄴㄴ 흥행버프를 달아준다는거지 필수요소는 아님
ㅇㅇ 그래서 저것도 완벽한 답은 아니고
(당얀히 사람들에게 알기 쉽게 설명하려고 한거지만)
생태계 살리려고 손해 감수하고 투자하는 정부지원 사업이나 마이너 전문 투자사가 있긴 함
제작비가 많이 든다해도 ㄹ록버스터보단 훨씬 적게들고 손익분기점고 훨씬 낮고
장르로 계속 나온다는건 돈이 된다는거지
시장도 다르고 동작하는 방법도 다르긴 하지만 어떤 의미에서 영화제 예술영화는 패션쇼같은거지
처음 나왔을때는 너무 과장되고 이해하기 힘든데 몇년쯤지나면 그 요소 하나하나가 대중적으로 변화해서 트랜드를 이끌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