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어로 아몬드를 뜻하는 '알멘드로(almendra)'라는 이름의 이 나무는 중남미 열대우림에 서식하며 주변의 다른 나무들보다 키가 큰 것이 특징임.
그런데 미국의 한 생태계 연구소 연구원이 열대우림에서 나무에 대한 연구를 하던 도중 벼락을 맞은 알멘드로 나무를 발견함.
그런데 이상한 건 이 나무가 벼락을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멀쩡하게 살아있었다는 것.
오히려 알멘드로 나무 주위에 있던 12그루의 다른 나무들은 벼락 한 번에 모두 고사했는데도 불구하고.
이상함을 느낀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벼락을 직격으로 맞은 94그루의 나무를 관찰, 그 후 해당 나무와 인근 나무들의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알멘드로 나무는 다른 나무들보다 키가 커서 벼락을 맞을 확률이 더 높았음.
그런데 이 나무는 벼락을 맞고 난 뒤 나무에 흐르는 전기를 다른 나무나 기생식물에 흘려보내며 주변 식물들을 고사시키고 자신만 살아남은 것임.
특히 번개를 맞은 다른 나무들의 64%가 2년 내로 고사해버렸지만, 알멘드로 나무는 이파리만 몇 개 떨어졌을 뿐 고사한 나무는 없었고, 오히려 주변에 있던 다른 나무들이나 기생식물들을 9그루나 죽게 만듦.
결과론적이지만, 이 나무는 일부러 키를 키워 번개를 맞은 뒤 주변 나무들을 고사시키면서 더 많은 태양빛을 받아들이고 더 많은 지력을 소모하면서 매우 효율적인 성장을 하는 것임이 밝혀짐.
고대에도 있었다면 키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야됐겠다
알멘드로의 나뭇가지 효과 : 뇌속성 저항력 200%증폭
나는 주변에 흘려버리는거보다
흘리더라도 번개가 자기를 통과할텐데 그 때 입는 대미지를 없는 걸로 만드는 기믹이 더 신기한데?
생존전략 무섭네
생존전략 무섭네
고대에도 있었다면 키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야됐겠다
알멘드로의 나뭇가지 효과 : 뇌속성 저항력 200%증폭
나는 주변에 흘려버리는거보다
흘리더라도 번개가 자기를 통과할텐데 그 때 입는 대미지를 없는 걸로 만드는 기믹이 더 신기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