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어로 아몬드를 뜻하는
알멘드로 라는 이름의 이 나무는
중남미 열대우림에 서식하며
주변의 다른 나무들보다 큰 키가 특징임
그런데 미국의 한 생태계 연구소의 박사가
열대우림에서 나무들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번개를 맞은 알멘드로 나무를 발견함
당황스러운건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나무가 살아있었다는 것.
오히려 주변의 나무 12그루가
단 한번의 번개로 고사한데 비해
직격을 맞은 나무는 멀쩡히 살아남았음
이상함을 느낀 연구팀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번개를 직격을 맞은 나무 94그루를 관찰,
그리고 그 후 해당 나무와 인근 나무들의 생존을 비교한 결과
알멘드라 나무는 다른 나무들보다
번개를 맞을 확률이 더 높았는데
이는 키가 더 크기 때문으로 예측한 대로,
하지만 번개를 맞고 난 뒤 나무에 흐르는 전기를
다른 나무나 기생식물에 흘려보내며 주변 나무를 죽이고 자신은 살아남음,
특히 번개를 맞은 다른 나무들은 64% 가 2년 이내로 고사해버리지만
알멘드라 나무는 이파리만 몇개 떨어질 뿐 고사한 나무가 없고
오히려 주변 기생식물들이나 경쟁하는 다른 나무들이 9그루 이상 죽어버림
결과론적이지만 이 나무는 키를 키워
일부러 번개를 맞아 주변 나무를 죽이면서
더 많은 태양빛과 지력을 빨아먹는
매우 효율적인 성장을 하는 것임이 발견됨
진짜 천둥나무네
이런 거 보면 자연은 공존하면서 산다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지밖에 모르는데 나약한 놈들은 다 죽어서 그렇게 보이는 것 같기도 함...
자기한텐 초자력 충전이고.
남한테는 초자력 충격이고.
진짜 드루이드는 역시 나무였어
자해빌드 ㅋㅋㅋㅋㅋ
질소 고정까지 감안하면 의외로 좋아보이긴 하네 ㅋㅋㅋㅋ
그것이 동적 평형이니까 ㅇㅇ
다른걸 이용하는건 많이 봤어도
번개를 이용하는건 신기하네...
진짜 천둥나무네
진짜 드루이드는 역시 나무였어
자기한텐 초자력 충전이고.
남한테는 초자력 충격이고.
야차룰 ㄷㄷ
이런 거 보면 자연은 공존하면서 산다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지밖에 모르는데 나약한 놈들은 다 죽어서 그렇게 보이는 것 같기도 함...
그것이 동적 평형이니까 ㅇㅇ
개소리죠
식물만 해도 뿌리를 통해서 자기랑 동 수계인지 확인하는 능력이 있고(친족인지 확인)
그리고 해당 수계를 제외한 나무를 배제하기 위해서 독소를 뱉어내거나 성장을 통해서 햇빛을 가로막거나 하는 경쟁이 얼마나 많은데
걍 자연과 식물을 나이브하게 보는 애들이 그런 소리하지
공존은 개뿔인게 식물들도 당장 옆에놈 고사시켜서 잡아먹을 생각하는 놈들이 천지여 ㅋㅋㅋ
"진화" 의 기본 매커니즘 이니까 ?ㅋㅋㅋ 나만살고보자 !!
오 뢰진주
자연은 참 신기해
자해빌드 ㅋㅋㅋㅋㅋ
질소 고정까지 감안하면 의외로 좋아보이긴 하네 ㅋㅋㅋㅋ
뇌절나무
다른걸 이용하는건 많이 봤어도
번개를 이용하는건 신기하네...
하늘의 힘을 빌려 주변놈들을 조지는 나무는 뭔
기가데인 시전하는 나무ㄷㄷㄷㄷ
아... 번개맞고 안죽으면 저 나무로는 뢰진도 못만들겠네?
어떻게 생존이 가능한지가 안나와있네
저런 나무로 만든 스태프는 특수효과가 몇개 달려있을거 같음
이런거보면 참신기해
번개조차 이용하는거보면
지중해쪽에는 스스로 산불 일으키는 꽃도 있음
산불을 유도해도 경쟁자 태워죽이는 식물도 꽤 많음
식물들은 못움직이니까 생존 경쟁이 더 잔혹하다
와 저거 잔뜩 심고 번개 맞게하면 발전도 되고 공기질도 좋아지고 다좋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