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신상 카메라들 많이 나오고 있어서 구매를 고민하시는분
꽤 많으시죠? 저 또한 그중 한 사람이고 지금까지 나온 카메라들 대부분
직접 써보며 카메라 생활을 즐기고 있는 사람 입니다.
요즘 들어서 카메라 가격이 진짜 미쳐 날뛰고 있습니다. 보급기도
200이 훌쩍 넘어버리는 가격으로 출시.. 옆동네는 똑딱이도 100만원이
그냥 넘어버릴 정도로 카메라 구매를 쉽게 결정할 수 없는 현실이죠.
그래서 안써본 카메라를 고른다는게 참 쉽지 않습니다.
집 근처에 매장이 있으면 가서 만져보기라도 할텐데 요즘 카메라 매장
구경하기 쉽지 않죠. 그래서 커뮤니티 후기나 유투버들 영상을 참고 많이
하는데 참고 하시라고 내용을 적습니다.
유투버들 제품 협찬 또는 잘나가는 채널이면 광고비까지 받고 영상을 제작하죠.
영상 초반에도 나와있지만 결국은 광고영상 입니다.
뭔말이냐면.. 겉으로는 공정한 리뷰 합니다. 그럴듯하게 포장하지만
결론은 이 제품이 킹왕짱 좋다 !! 이런 결론이 나와야 한다는 말 입니다.
분명히 진짜 실사용 공정한 리뷰를 하시는분도 계시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영상 초반에 광고영상입니다 이렇게 나오는건 다 광고 영상 입니다.
법적으로 그렇게 표기 하겠금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 카메라의 정확한 성능을 짐작하기 어렵게 주작 아닌 주작을 하는데
교묘하게 카메라의 성능을 뻥튀기 합니다.. 그중 ISO 성능 뻥튀기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먼저 돈이나 차트등을 여러 ISO로 촬영 후 확대해서 와.. 엄청 선명하네요 !
요즘 카메라 너무 좋아졌습니다 ! ISO 6400도 실사용하기 무리 없네요 !
이딴 맨트 치는데 대부분 구라 입니다.
그 이유가.. 돈이나 차트를 찍을때 촬영용 순간광이나 지속광을 함께 때립니다.
ISO 3200이라도 조리개가 막 5.6 조여서 조명과 함께 때리면 당연히 사진 품질 좋아집니다.
고감도가 전혀 의식되지 않을정도로요.. 당연히 6400도 마찬가지 입니다. 조명의 광량과 함께
조리개와 ISO 셔터를 같이 올려서 찍으면 사실 128000까지도 깨끗하게 담아 낼 수 있습니다.
우리는 고감도 ISO를 어떻게 쓸까요? 실사용에서는 셔터 125에 조리개 2.8 ISO 800 혹은
셔터 100에 조리개 1.4 ISO 640 정말 어두운 환경에서 ISO를 많이 올리게 됩니다.
이때 사진 품질은 어떨까요? 유투버들의 영상에서 본 그런 깨끗한 이미지가 담길까요?
대부분의 일상에서는 광원이 멀거나 작은 천장등 또는 주변의 간접등이 전부인 광량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ISO 1200만 되어도 노이즈가 자글자글한게 보기 힘들정도의 사진이
일반적 입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이 카메라는 고감도 성능이 너무 좋다 아니다 실제 써보니까 노이즈 많이 끼더라
이렇게 감론을박 되는 경우가 커뮤니티에서는 빈번하게 발생 합니다.
유투버들 영상에서는 ISO 말고도 렌즈의 해상력 화질등 좋게 나오게 구라치는 수법이 난무 합니다.
요즘 같이 신제품 많이 나오는 시기에는 경계해야 할 부분 같아서 글 남깁니다.
https://cohabe.com/sisa/4481466
유투바들 카메라 리뷰 사기 처먹는 방법 ISO 편
- 블루아카) 키보토스 최고 청순녀 [18]
- 날날돌돌센세 | 2025/04/16 23:39 | 976
- 2025년 일본 학교급식 근황 [31]
- 라이센 | 2025/04/16 23:38 | 656
- 유게이들아 이것도 축하 받을 수 있을까? [26]
- 봄이 왔다? | 2025/04/16 23:37 | 214
- 블루아카) 사쿠라코 별명 뭐냐 시1발ㅋㅋㅋ [9]
- 치르47 | 2025/04/16 23:37 | 365
- 마비M)에린에서 조용히 농사짓고 사는 아재 [3]
- 만다린군 | 2025/04/16 23:36 | 323
- 음란한 체육복 [9]
- 파이올렛 | 2025/04/16 23:36 | 525
- 마비M) 괜히 전직했나..... [1]
- JG광합성 | 2025/04/16 23:36 | 753
- 미국산 비행기도 관세대상인 이유.jpg [9]
- 6308473106 | 2025/04/16 23:35 | 406
- 마비M] ★경/펫뽑기사료상향/축★ [2]
- ㈜ 기륜㉿ | 2025/04/16 23:35 | 526
- 내일 다이소 뛰어갈 유게이들을 위한 꿀팁 [12]
- 포가튼 사가 | 2025/04/16 23:34 | 598
- 닌자슬레이어) 이번 코믹스 맛보기인 [15]
- 계란으로가위치기 | 2025/04/16 23:34 | 646
- 안전관리자는 뒷목 잡고 쓰러지고 사장님은 옆에서 기름붓고 즐김 [4]
- 그냥남자사람 | 2025/04/16 23:34 | 588
- 블루아카) 키링 굿즈용 러프 [2]
- 쿠라(koora) | 2025/04/16 23:33 | 673
- 방금 공개된 28년후 티져 트레일러 [13]
- 파이올렛 | 2025/04/16 23:33 | 248
- 트릭컬)3월 20일은 그 날임 [2]
- pigman_NS | 2025/04/16 23:32 | 1147
조명의 광량과 함께하면 128000 ISO로도 사진이 깨끗하게 담아지나요?
0이 하나 더 들어갔네요 ㄷㄷㄷ 12800까지는 깨끗하게 담아 집니다.
노출의 3요소.
여기서 핵심 키워드는 바로 광량 입니다. 광량이 풍부하다면 ISO가 높더라도 깨끗한 사진이 담기는데
ISO가 아무리 낮아도 광량이 부족하다면 노이즈가 자글자글하다는것이죠. 야간에 장노출로 ISO 100을 촬영하더라도 노이즈가 많이 생기는것과 같은 이치 입니다.
당연히 광량이 충분한 iso 100과 비교하면 깨끗하지는 않죠. 한눈에 봐도 차이가 크게 느껴질 정도로 노이즈가 보입니다. 하지만 어두운 곳에서의 ISO 100과 광량이 충분한 ISO 800정도는 충분히 비빌정도는 됩니다. 야경 찍을때 iso 100 놓구 장노출 땡겨도 대낮에 ISO 400으로 찍은거보다 노이즈 많이 생깁니다. 댓글 다신분 말씀처럼 사진을 몇장 찍어서 같이 올릴껄 그랬네요.
돈 받고 하거나.. 향후 돈 받을 목적이 있으면.. 좋은 방향에서 얘기할 수도 있죠.
(절대 공평하게 안됨) 그래서 광고라고... 밝히라고 하는 것이죠.
저 같은 경우에는... 화질의 기준을 후보정한 상태에서 얘기를 합니다.(각자 다른 것이죠)
고감도의 경우에도... 특정 상황에서 화질이 좋으면... 좋다고 할수도 있고.. 만족하는 유저도 있겠죠.
어엇.. 저도 날것의 결과물 보다 최종 완성본을 기준으로 생각합니다. 보통 사람들은 날것으로 기준을 많이 하시긴 하시죠. 엄격히 말하면 후자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화질은 각자의 기준에 맞으면 본인이 좋다 나쁘다를 결정하는게 맞지만
최근 사진을 배우기 시작하는 애들이 유투브 리뷰만 보고 "요즘 카메라 좋아져서 감도 3200까지는 막 써도 됩니다 누가누가 다 테스트 한거 보세요" 이렇게 말하고 찍어온 사진을 보면 한숨 나옵니다.. 광원이 멀어서 어두운 곳이라 촬영을 하지 말아야 할 장소인데 고감도로 찍고 후보정하면 아무 문제 없다고 생각하지요.. 이런 일이 잘못된 지식의 주입때문에 발생한 일이 아닐까 생각도 들구요
빛이 좋으면 고감도에서도 비교적 깨끗하게 보이지만
반대로 얘기하면 빛이 안좋으면 저감도에서도 지저분하게 보입니다.
저감도에서는 스트로보 안 때리고 고감도에서만 스트로보를 때린게 아니라
동일 조명과 동일 환경, 동일 조건에서 감도의 변화를 줬다면 그걸 토대로 판단하는게 맞습니다.
넵 정확히 맞는 말 입니다.
제가 본 유투브 채널중에 고감도 및 DR등 화질 테스트를 테스트지가 아닌 실제 채광 상황에서 감도별로 촬영하고 사진의 암부와 명부쪽을 확대 해가면서 짚어주시는데
상당히 신뢰감이 느껴지더라구요.
그런 의미에서 유투버들이 악의를 가지고 사기를 쳤다는 표현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테스트 환경은 다른 요소들이 센서의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하기에 적당한 광량, 조리개를 조여서 주변부까지 비네팅이 없고 선예도가 확보되는 설정값 등을 통일한 상태에서 감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게 올바른 테스트일테니깐요.
실제 사용환경에서 기대했던 화질이 나오지 못하는건 촬영환경과 설정값들이 개입하면서 생긴 변화들이기에 그러한 부분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예측해서 장비를 선택해야하는 것은 유저의 몫이지 테스트를 한 리뷰어들의 잘못이라는건 억측이라고 생각드네요.
이러한 경우가 아닐까요?
렌즈를 최대 개방할 경우에, 밝은 단렌즈의 경우 주변부는 광량저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렌즈 프로파일에서 주변부 노출을 올리고 이에 따라 주변부는 노이즈가 증가합니다.
조리개를 조이고 찍을 경우 주변부에도 중앙부와 비슷한 광량이 미치므로,
조리개를 개방했을 때보다 주변부 노이즈는 줄어들게 되긴 합니다.
물론 중심부의 경우에는 조리개를 조이나 개방하나 노이즈는 동일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