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 가차 확률을 araboja
??? : 소행성 그까이꺼 꼬라박아서 막으면 되는거 아니냐?
라는 생각에서 시작된 미션임
![img/25/02/13/194faafe893ed9e.webp](https://imagecdn.cohabe.com/sisa/4332323/1481114204857.webp)
나사 : (솔깃)
일단 쌍소행성중 작은쪽을 타겟 삼아 위성을 보냈고
대충 저런식으로 500kg정도 되는 위성을 꼬라박을 예정이었음.
그리고 위성 발사 수개월 후
광학조준식으로 꼬라박는데 성공함
그 결과
쌍소행성중 작은쪽인 다이모르포스와 충돌하면서
1,000톤정도의 파편이 튐과 동시에 1만km정도의 꼬리가 생기고
다이모르포스의 궤도를 비틈과 동시에
사전 관측만으로 1,120만㎞ 떨어진 곳의 작은 소행성(약 160m)을 찾아가
시속 22,530㎞로 꼬라박는 기술을 손에 넣음
즉 인류는 사전관측만 재대로 된다면 태양계 그 어디에 있던 간에, 정확하게 저격 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게 됨
![img/25/01/30/194b5b7f2c22f1a82.png?icon=4203](https://imagecdn.cohabe.com/sisa/4332323/1481114204868.png)
![img/25/01/25/1949be2a6cc2f1a82.png?icon=4203](https://imagecdn.cohabe.com/sisa/4332323/1481114204869.png)
나사 : 저희가 왜 공개를 했겠습니까 ㅋㅋㅋㅋ
https://ssd.jpl.nasa.gov/tools/mdesign.html#/interactive/ballistic/2024%20YR4
이번 소행성 타켓으로 2번째 DART 미션 얘기가 나오고 있더라
나사에선 80여개의 충돌궤도도 구해놨고
28년에 충돌로 0.016m/s 속도변화만 주면 되는 거여서 충돌위성도 40~1600kg 이내면 되고 (소행성 질량을 몰라 오차범위가 큰편)
문젠 지금부터 준비해야하는데 충돌 할지도 안할지도 모르는 거에 돈 투자하기도 애매하고
만약 충돌했을 때 위성이 여러 조각으로 쪼개진다면 누가 책임져야 하는거 등등
정치적 문제가 산적함...
누구
2025/02/13 00:19
근데 문제는 얘기치 않게 등장하는 애들미 많단거지
E캔두잇
2025/02/13 00:24
https://ssd.jpl.nasa.gov/tools/mdesign.html#/interactive/ballistic/2024%20YR4
이번 소행성 타켓으로 2번째 DART 미션 얘기가 나오고 있더라
나사에선 80여개의 충돌궤도도 구해놨고
28년에 충돌로 0.016m/s 속도변화만 주면 되는 거여서 충돌위성도 40~1600kg 이내면 되고 (소행성 질량을 몰라 오차범위가 큰편)
문젠 지금부터 준비해야하는데 충돌 할지도 안할지도 모르는 거에 돈 투자하기도 애매하고
만약 충돌했을 때 위성이 여러 조각으로 쪼개진다면 누가 책임져야 하는거 등등
정치적 문제가 산적함...
10너구리10
2025/02/13 00:29
일론이 트럼프한테 님인류영웅에 노벨평화상각임ㅇㅇ 이라고 살살 꼬드겨서 실행후 다트 프로젝스 사령탑이된 일론이 평화상먹어버렸으면 볼만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