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는 고기를 거의 먹지 못했다? 특히 소고기?
사실이 아니라고 합니다. (어디서 주워들은 이야기라 검색을 좀 해보았습니다.)
조선시대 때는 농업 중심 경제였기 때문에 농업 생산의 주요 자산인 소를 먹지 않았다.
위의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당연히 앞에 말은 맞는 말이고요. 소를 먹지 못하게 나라에서 정책을 펼친것도 사실인 것 같습니다.
(조선시대 숙종대 쯤 인구수가 1600만 정도였는도 소 마리수는 100만마리정도 되었다고 추정된다고 합니다.
지금 인구수가 5000만, 소가 334만마리니까 비율이 비슷합니다.)
그렇지만 소를 먹지 않아서 죽은소 끓여서 국물이나 겨우 먹을 수 있었다? 이건 아닙니다.
소를 많이 잡아 먹었다는 것은 다양한 소스에서 알 수 있습니다. 일단 제가 찾아본 것 몇가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조선왕조실록입니다.
조선왕조실록 곳곳에 백성들이 소를 많이 도살하는 것을 걱정하는 부분이 자주 나옵니다.
임진왜란 정유재란의 참화를 겪고 조선왕조에서 가장 살기 힘들었을 것 같은 선조때 (선조28년, 1595년, 정유재란 일어나기 2년전)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na_12807002_004)
(전략) 그리고 농가의 소가 모두 탕진되어 밭갈이 할 때에 사람이 대신하여 멍에를 메고 있는 형편인데 경향(京鄕) 각지에서는 도살(屠殺)을 지금까지 중지하지 않고 있으니, 아, 이제 씨도 남지 않게 되었습니다. 장차 어떻게 농사를 지어 백성들의 식량과 군량을 공급한단 말입니까. 만약 엄하게 금지하여 서로 고발하게 하고 각자 본율(本律)로써 상과 벌을 주어 목양(牧養)의 방법을 중히 여기게 하면 내실을 기할 수 있을 것입니다. (후략)
전쟁이 끝나서 소가 씨가 말랐는데도 있는 소를 잡아 먹었다는 이야기.....ㄷㄷㄷ
그리고 선조 38년 (1605년)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na_13808001_002)
"황주(黃州)·공주(公州)에서는 소를 도살하는 일이 매우 많아서 1개월에 도살하는 것이 거의 10여 두에 이르는데, 백성에게 쌀을 징수하여 소를 사서 쓰는 것을 정식(定式)으로 여기고 있다고 합니다. 공주는 감사가 주재하고 있는 곳인데도 더욱 극심하다고 하니, 적발하여 징치(懲治)하는 것이 마땅하겠습니다."
정말 좋은 글 잘 봤고요.... 덕분에 생각하지 못 했던 역사 한 부분에 대해 배우게 됐습니다. 언제 한번 심심하실 때 고려시대 때 쇠고기 풍습도 이야기 해주심 무한 영광이겠습니다. 고려시대는 불교 국가라 아무래도 조선시대 때와는 많이 달랐을 것 같은뎅...
듣자하니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쇠고기 부위별 명칭이 120가지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축에 속한다고 하더군요.
그 이유를 이제 알 것 같습니다.
결국 이것도 쪽본놈들이 조선은 가난해서 고기도 못먹었음 ㅇㅇ 이라고 주작한거네요.
정작 지들은 메이지유신 전까지 고기 먹어본 적도 없는 것들이
세종 : 미친 백성놈들아 소고기 좀 그만 처먹어라!!
다음날
세종 : 업진살 살살 녹는다
새로운 사실이네여 ㅋㅋ
조선시대는 무조건 암울하고 못 먹고 그럴줄 알았는데 ㅎㅎ
세번째 인터뷰는 진짜 흥미롭게 봤어요
근데 처음껀 정말 먹을께 없으니깐 그거라도 잡아먹은거 아닌가요? 왕실에서는 지금의 배고픔으로 나중에 농사짓는데 어려움을 겪을까 걱정돼 금지령을 내린거고 정확한 사실관계는 모르고 그냥 추측이지만 상황상 그렇게 보이는데 궁금하네요
예전에 어떤 논문을 본 적이 있었는데 일본과의 교역때 거래된 쇠가죽의 양으로 매년 도축된 소의 숫자를 계산했더라고요... 답은 쇼크였습니다. 한우 기준으로 현대보다 더 많은 소를 도축했더라고요.. 물론 고기는 국내에서 다 소비했고요..
업살녹은 역사였어..
이런거보면 어떤 방송하시는 분 이야기가 맞는건지 의심이 막 들더라고요...
하긴 생각해보면 그렇죠..
소는 땅에 나는 잡초만 먹어도 크고
굳이 가축이 아니더라도 사냥만 안하면 들고양이마냥 자연히 개체수가 늘겠죠 동물들은..
게다가
호랑이도 있었다고 하니
식생이 황량하진 않았던 모양
소고기뿐 아니라 모든 먹는 양이 어마어마했다고 합니다. 실록에서도 온 나라 백성들이 그저 먹고 먹고 아귀처럼 너무 먹어서 부국강병같은따위는 안중에 없다고 한탄하는 내용이 나오고... 외국인들의 방문기에서도 그 먹는 양에 기겁을 하죠.
애초에 백정이라는 단어 자체가 고려중기~말에 만주지역의 유목민들이 연쇄적으로 밀리며 대규모로 이주(마치 로마제국 멸망의 원인이 된 대규모 이주처럼)해와서 같이 살게되었는데, 이들 북방 유목민 출신을 가리키는 말이었다죠. 그들의 주 업은 역시 목축과 그로인한 도축 및 육가공/유통...
글구 흔히 왜나라보다 조선이 훨씬 키나 체격이 좋았다며 왜국왜국 하면서 뿌듯해(?)하는 글이 종종 도는데... 애초에 왜 당시의 일본보다 조선인의 키와 체격이 좋았을까요. 백인/황인식의 인종차이급의 차이가 있지 않는한, 같은 인종수준에선 키나 체격 차이는 결국 얼마나 잘 먹고사냐의 차이죠.
한창 굶주리던 나폴레옹 시대 유럽엔 네덜란드 병사들의 평균키가 170cm가 안된적도 있다고 하니...
왜국 병사들에 비해 식량 소모량도 몇배나 많아서, 명군의 지원 이후 한양 탈환시에 한양성을 포위하고 공격하려다가, 첩보원들의 보고를 받아보니 성내의 식량의 양으로는 몇일도 못먹을 양이더라...
음? 그럼 애써 공격할 필요 없이 한쪽만 살짝 열고 몇일 기다리면 결국 굶주리다가 다 그리로 도망갈것이 아닌가? 걍 기다리자.
근데 아무리 기다려도 나갈 생각이 없어서 결국 공격해 몰아내고, 나중에 알고보니 왜군이 먹는 식량 평균 양이 조선군의 1/3 수준이었다고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는 약간 다른 시각으로 보이는게
"황주(黃州)공주(公州)에서는 소를 도살하는 일이 매우 많아서 1개월에 도살하는 것이 거의 10여 두에 이르는데,'
---> 황주와 공주의 인구수가 어느정도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최소 일개 행정단위인데 1개월에 도살하는 수가 10여두라면
사실상 모든 이들이 고기를 풍족하게 먹을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아 보입니다. 게다가 이 일개 행정단위는 되는 지역에서
1달에 10여두 도축 되는 걸 매우 많다고 표현하는 걸 보면 타지역은 이보다 훨씬 적다는 말인데 말이죠....
'소와 말을 도살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것이 법전(法典)에 실려 있습니다.'
---> 소와 말을 도살하지 못하도록 법전에 실을 정도로 굉장히 중요한 전략물자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소와 말 자체의 전략적 가치 때문에 그럴 수도 있겠지만 전후내용을 보면 수량 자체가 풍부하지 않은 상태인 것 같네요
또하나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것중에 우리나라는 소, 돼지, 닭등 어디하나 버리는 것없이 모든 부위를 요리하고 조리해 먹는다고 하죠
또 우리나라의 소, 돼지 발골 기술은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높다고 하는데....
사실 이런 점에서도 소, 돼지 자체를 얼마나 귀하게 여겼는가 생각하게 되더군요
정말 어느정도냐면 돼지 발가락, 모든 내장은 물론이거니와 돼지 코, 귀까지 정말 살 한점도 남기지 않고 전부 먹습니다
소도 마찬가지구요....
개인적으로는 이런 점들을 봤을때 우리나라 식재중에서 소, 돼지가 귀하긴 귀했구나 라는 생각이 드는데.....
물론 평생을 역사를 연구하신 교수님께서 하시는 말씀이시니 그럴만한 근거가 있겠지만....
역사적으로 조선 중기를 넘어서 부터는 잦은 왜란, 호란으로 인해서 전국 농토는 황폐화되고 심지어 자기자식을 식인했다는
기록까지 나올 정도로 백성들의 삶은 처참했고 그걸 회복하기 까지 수십년이 넘는 세월이 걸립니다
하지만 조선 후기로 넘어가면서부터는 잦은 당파싸움과 중앙집권이 무너지면서 지방에서는 탐관오리들이 횡행하게 되고
백성들은 과도한 징수에 짓눌려 오히려 노비의 삶이 낫다면서 스스로 노비가 되기를 마다하지 않는 상황이 됩니다.
그래서 조선 후기엔 많은 민란이 발생했었죠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백성들이 처방으로 소고기를 먹지 말라고 할 정도로? 고기를 풍족하게 먹었다는게 쉽사리 납득이 되지않네요
오히려 그보다는 농사짓기를 포기한 백성들이 가장 중요한 재산인 소까지 잡아먹을 정도로 막장으로 치닫는 상황이 차라리
좀 더 와닿는거 같네요
한국사라고는 고등학교때 배운게 마지막인 입장에서 제가 뭐 떠들 입장은 아니지만 그냥 학교 다닐때 배웠던거랑 괴리감이
있는거 같아서 쓸데없이 긴글 적어버렸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