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를 번들렌즈를 처음 생산할때부터 조리개값을 2이하로 개방시켜서 생산해서 판매하지 왜 쓸데없이 높은 조리개값으로 생산해서 화질이 선명하지 못하게 만들어놓은 것일까요? 조리개 활짝 개방시켜 놓는게 돈 몇푼이나 된다고
https://cohabe.com/sisa/3769466
카메라 렌즈 조리개 값을 처음 만들때부터 낮게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 벽람) 후방) 이 게임 즐기는 법 [1]
- 날으는붕어빵 | 4분전 | 990
- 스웨덴 국가이미지에 치명적이었던 것.jpg [56]
- 스파르타쿠스. | 9분전 | 800
- 가장 비논리적인 첩자 색출 방법인데 의외로 통하는거 [3]
- 검수되지않은괴계정 | 10분전 | 497
- (이터널리턴) 공식도 인정한 닷지 유도픽 [11]
- 925431756 | 11분전 | 957
- 임금도 못먹은 조선시대 고위급 양반만 먹었다던 음식 [16]
- 안뇽힘세고강한아침이에용 | 11분전 | 360
- 조2보이 드립을 자꾸 치는 이유.jpg [12]
- 오줌만싸는고추 | 12분전 | 273
- 용사 파티의 결말.manhwa [23]
- Ak48 | 14분전 | 202
- 비논리적인 공격이지만 중뽕들에게 의외로 효과적인 것 [14]
- 텅장 | 16분전 | 650
- 이터널리턴) 루미루미 그림 [2]
- 국민의 힘 | 16분전 | 649
- 부산 풀코스 즐기는 시바견.mp4 [16]
- 하이데마리.W.슈나우퍼 | 17분전 | 300
- 분양받은 양이 점점 뽀송해진다는 홍대 양카페 [8]
- こめっこ | 17분전 | 747
개발편의성
자금문제(그리고 수익)
조리개 2부터 시작하는 표준줌이 쉬운게 아닙니다.
18-55에 대응하는 풀프레임 렌즈인 28-70이 조리개 F2인걸 보면 크기 무게가 엄청납니다.
번들렌즈는 말그대로 번들입니다. 조금더 저렴한 가격에 표준화각 범위를 쓸수 있게해줄뿐
같은 화각에 더 밝은 조리개 렌즈는 당연히 선택사항인부분이죠.
쉽게 말하면 제네시스에 들어갈 옵션을 왜 경차에 넣어주지 않느냐 따지는것과 비슷하다고
생각되네요.
돈 몇푼이 아닌거 같아요..
그래서 저렴하게 렌즈 사용하라고 저렴이 버전을 번들로 주는거 같구요..
35mm 만 하더라도 1.8 이랑 1.4랑 200만원 가까이 차이 나는걸요..
24-105도 f4 에서 f2.8 고정 조리개 만든것만도 다들 미친 기술이다 그러면서 가격도 200 이상 차이 나구요..
단순히 돈 몇푼으로 해결 될 일이 아니라서 저렴하게 렌즈 사용하게 해주려고 그런것 같네요.
무식하면 용감하다고...ㅎㅎ
그게 옛날에 유행했던 설계 트렌드인데요, 50mm f0.95, FL 58mm f1.2 같은 클래식 렌즈 사서 써 보시면 요즘 렌즈들보다 가볍고 작지만 개방화질이 아주 안 좋습니다. 요즘은 개방화질도 쓸만하게 만들어야 사람들이 찾기 때문에 빠른 렌즈는 커지고 무거워지고 비싸집니다.
이러다 캐논급나누기한다는 소리 또 나오겠네요.
중국 렌즈들이 저렴한 가격에 빠르면서 최대개방에서 중앙부 화질이 많이 좋아졌더군요. 라오와 f/0.95 수동 단렌즈 시리즈 써보세요.
아니면 ef/rf 50mm 1.8 stm 를 쓰시면 됩니다. 80년대까지만 해도 대부분의 slr카메라 번들렌즈는 초점거리는 28mm, 35mm, 37mm, 40mm, 50mm, 55mm, 58mm 중에 하나, f값은 f1.8-2.8 사이의 가벼운 단렌즈였습니다. 더 전에 rf시대에는 50mm f3.5 같은 침동식 렌즈를 썼고요. 지금도 어댑터를 쓰면 미러리스 카메라에 쓰실 수 있어요.
댓글의 댓글 ▼
높은 조리개라서 화질이 안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