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이걸 보여주면 대부분 평범한
"에어컨 실외기" 라고 생각할텐데
사실 이건 에어컨 실외기가 아니다.
바로 몇년 전부터 북미나 유럽 등에서
건물 냉난방으로 각광받고 있는
"히트펌프 냉난방 시스템" 이 이것.
사실 히트펌프는 에어컨과 작동원리가 동일함
에어컨의 경우 실내가 시원해지면 실외기에선 뜨거운 열이 발생하는데
히트펌프 난방을 사용하면 반대로 실외기가 차가워짐
기존에 많이 사용하는 온풍기는
전기저항을 이용해 열을 일으켜
그 열을 분출하는데 이 방식은 효율이 너무 낮아
한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에서 난방은 가스를 주로 사용하고
전기 온풍기 등은 어디까지나 보조 용도로 사용하는 정도지만
히트펌프는 전기히터의 2~3배,
가스보일러에 비하면 1~1.5배 효율을 가져옴
특히 유럽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유럽 본토로 향하는 러시아 가스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유럽 사람들은 겨울 난방에 대한 걱정이 시작됐고,
그 결과 각광받게 된 것이 히트펌프 시스템임
사실 히트펌프 시스템은
영하 5도의 가벼운 추위라도 효율이 급감해
추운 겨울이 있는 나라에선 사용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지만
기술의 발달로 현재는 영하 25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됨
덕분에 북미와 유럽에서
매년 성장세를 이어가는 히트펌프 시장이고
삼성이나 LG 같은 국내 대기업에서도 수출이 늘어나는데
정작 한국에선 이 히트펌프를 찾을 수도,
들어본 적도 없는 경우가 많음
왜 그럴까?
우선 히트펌프는 실외기부터 실내 기기까지 포함해
그 크기와 부피가 매우 큼, 가정용 히트펌프의 실외기가
산업용 에어컨 실외기보다 더 큰 정도.
그러니까 가격도 어마어마해서 북미나 유럽에서
보조금을 최대 50% 까지 지급해도
몇백만원 ~ 몇천만원은 설치비용으로 깨짐
게다가 당연히 설치를 위한 부피가 크다보니
다세대주택 위주인 한국의 아파트 문화에선
가정에서 설치하는게 사실상 불가능
게다가 "온풍기" 에 비해서 효율적이지
한겨울에도 에어컨을 켜놓는거나 마찬가지라
누진제 걱정에서도 도망칠 수 없음
결정적으로 한국 특유의 좌식 주거생활에서
겨울철 난방은 대기가 따뜻한 것 보다 방바닥이 따뜻한 것에 익숙해져 있어
대기를 따뜻하게 만들고 방바닥은 추운 히트펌프 난방을 좋아하지 않음
다만 최근 세계적 추세가 화석연료를 줄이는 쪽이라
한국에서도 차세대 난방 시스템에 대한 의견은 지속해서 나오는 중
히트 펌프랑 가정용 ESS가 없긴 하네
히트 펌프랑 가정용 ESS가 없긴 하네
기술이 발달해서 크기가 작아지면 한국에서도 볼수 있는건가
국내에도 냉난방 둘다 지원되는 에어컨은 히트펌프 방식이 있지않나?
겨울철에 에어컨 난방모드하면 실외기 돌아가던데
동파 당할일 없게 바닥 난방을 포기하면 관리상 편하지 않을까 생각한적은 있지만
온풍기 바람이 직접 얼굴이 맞닿는건 엄청 싫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