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안작음.
https://cohabe.com/sisa/3705009
행복주택 44형은 21평임
- 설정 Re-boot Vol.92 시스템 웨폰 1 [2]
- roness | 2024/06/07 16:01 | 838
- 버튜버) 1억을 눈앞에 두는 9살 우이.jpg [5]
- 리네트_비숍 | 2024/06/07 13:44 | 738
- 기변했습니다. [4]
- 4번타자 | 2024/06/07 09:17 | 919
- 블루아카,스포) ???? : 물구름호 출동!! [8]
- 외노자오따꾸 | 2024/06/07 08:37 | 1716
- 중.고등학교 학업성취도 및 진학실적 [0]
- 실분마크 | 2024/06/07 06:45 | 941
- 갱과 마1약상이 득실거리는 마을의 대모.jpg [9]
- 까나리먹고우웩우웩 | 2024/06/07 01:07 | 252
- 정관수술에 대해 잘못 알았던 사람.jpg [8]
- 까나리먹고우웩우웩 | 2024/06/06 23:39 | 954
- 장사의 신 은퇴함 [23]
- lunar_eclipse | 2024/06/06 22:32 | 402
- 가슴이 크면 좋은 점 [6]
- 
? | 2024/06/06 21:27 | 1053
- 집 고를때 남향 선호하는 이유.jpg ㄷㄷㄷ [11]
- 금수저 | 2024/06/06 20:13 | 376
- 블루아카)일섭) ??? : 겨우 저정도로 ptsd라니 웃기지도 않는 것입니다. [10]
- 0486762626 | 2024/06/06 19:23 | 861
- 포메라니안에게서 늑대의 흔적이 보이시나요? [20]
- 미키★츠밧띠☄️⚒??? | 2024/06/06 18:23 | 788
- @) 우메 귀여운 [2]
- 클린한 라즈베리맛 | 2024/06/06 17:15 | 1605
애하나 낳고 살기엔 21평정도면 괜찮아 ;
행복주택이라는 개념이
집을 사기 힘든 사람들을 위해서 국가가 낮은 월세로 임대해주는 집인데
생활에 부족함이 없으면 충분한거 아닌가;
왤케 다들 바라는게 3억대 아파트 정도의 쾌적함까지 기대하는거지
주거 공용면적은 왜 합쳐지는거야?
주거공용면적의 경우 현관ㆍ복도ㆍ계단 등 공통주택의 지상층에 있는 공용면적을 가리키며,
현관,복도,계단,엘레베이터에서 생활하는거야?
저긴 어차피 최대 6년이라 애 클때까지 못살아 ㅋㅋ
당사자들이 작다는데 애도 안낳는 유게에서 안작다고 레드썬해서 뭐함 ㅋㅋㅋㅋㅋ
신혼부부가 저기서 애까지 낳기에는 좁지
애하나 낳고 살기엔 21평정도면 괜찮아 ;
애둘이면 좁긴한데 그래도 못살정도는 아님
우리집이 지금 부모님이랑 나랑 동생 넷이 사는데 저정도 크기집이거든
불편한데 살만한거니까 좁은건 맞지 일단 수납 공간도 거의 없고 애 좀만 커도 힘들어짐
애가 아주 어리면 그래도 살만한데
좀 크기 시작하면 버거워지는거 같더라
저긴 어차피 최대 6년이라 애 클때까지 못살아 ㅋㅋ
혼자살면 가능한데
주거 공용면적은 왜 합쳐지는거야?
주거공용면적의 경우 현관ㆍ복도ㆍ계단 등 공통주택의 지상층에 있는 공용면적을 가리키며,
현관,복도,계단,엘레베이터에서 생활하는거야?
원래 합산 계산하고 거기에서 실평수가 전용면적인거 아닌가?
아파트분양 평형 몇타입 얘기할때는 전용면적 얘기하는걸걸요 44타입은 13평..
발코니 흔히 베란다라고도 하는 이 공간은 전용면적이나 공용면적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아요. 아파트 분양받을 때 건설사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공간이라고 해서 '서비스 면적'이라고 하지요. 분양가에도 포함되지 않아 덤으로 제공된다고 해서 '공짜 면적'이라고도 해요.
발코니 서비스 면적 확장해서 계산하는것까지는 아슬아슬하게 어쨋든 생활이 되니깐 이해하겠는데
주거공용면적을 생활공간에 집어넣는건 아웃이지.
아 물론 주거공용면적도 분양가 계산에는 들어감. 다만 생활공간은 아니라는거지.
서비스 면적은 내 땅이 아닌건가여?
https://blog.toss.im/article/housing_0424
아지 서비스 면적은 저기 표시가 안되있다고 밑에 토스 설명글 읽어봐.
ㅇㅋ 이거는 알아둬야겠네
원래우리가 말하는 30평40평도 다들어가서 계산하던거였어
이 집이랑 비슷한듯.
여기도 신혼부부 사는 집 이라던데
집이 좁으니까 살림을 크게 늘릴 수가 없음
저기 살면 돈이 저절로 아껴진다는 장점은 있다
당사자들이 작다는데 애도 안낳는 유게에서 안작다고 레드썬해서 뭐함 ㅋㅋㅋㅋㅋ
근데 또 안 들어가서 사는 사람도 아닌데 좁다 그런단 이야기도 있으니까 뭐.
지금 내가 사는 집이 나 초딩 때 살던 집 크기 수준인데 그땐 4명 살았지.
물건이 지금보다 적어서 그럴 수도 있고.
구조보니깐 90년대 흔한 복도식아파트형 구조인듯?
전용 44는 대부분 복도식으로 지어지기 때문에 서비스면적이 한쪽에만 있고
전용 59나 신희타용으로 어거지로 만든 전용 55는 어떻게든 계단식으로 양면, 또는 3면 발코니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체감 면적은 엄청나게 차이나긴 함
행복주택이라는 개념이
집을 사기 힘든 사람들을 위해서 국가가 낮은 월세로 임대해주는 집인데
생활에 부족함이 없으면 충분한거 아닌가;
왤케 다들 바라는게 3억대 아파트 정도의 쾌적함까지 기대하는거지
그러니까 비교를 엉뚱한 곳에 하면서 구리다고하니까 웃김.
생활에 부족함이 없게 애안 낳고 생활하겠다는데
국가도 출산율 기대를 하지 말아야지 그럼
저기서 평생 살라는 것도 아니고 낮은 월세로 살면서 시드 머니 모으라는 건데.
내가 저거랑 비슷한 크기 집에거 사는대
옆집 애 키우고 잘만 살고 잇고 또다른 옆집은 중학생 키우고 구러던대
그 좁아서 애를 못키우갰다는 분은 저기서 살아본거 맞지?
저거 들어가보면 막 와 씨 좁다 느낌이 아닌대 ㅋㅋ
저거는 평수보단 옥천이라는 자리 때문에 사람이 안들어가는거 같은대
그냥 나라욕하고 싶은 거지. 솔직히 저거보다 더 큰 거 주면
제값내고 아파트 들어간 애들이 오히려 역차별이라고 할듯
행복주택이 민간아파트보다는 좁아도,
나름 적당하고 임대료가 싸서, 반지하나 원룸같은곳 전전하다가 들어가면 진짜 체감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