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3669151

요즘 렌즈들 raw 촬영시 비네팅 생기는 것은 광학적 결함이 아니라 '설계'인데요...

캐논 렌즈 뿐만 아니라 미러리스 시대에는 많은 렌즈들이 DSLR 시대에는 용납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SLR에서는 광학적으로 렌즈의 특성을 촬영자가 바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 서클을 못 채우는 렌즈는 용납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처음 RF 24-240 출시되었을 때, 저도 풀프레임 센서도 커버 못하는 렌즈가 왜 나왔나 의아했었습니다.
하지만, 캐논 뿐만 아니라 요즘 많은 회사들이 애초에 그렇게 디자인을 합니다.
RF 10-20/4도 그렇고요, 앞서 언급한 Rf 24-240, 그리고 RF 16 등도 그렇습니다.
그리고 광학적으로 대단히 잘 뽑혔다고 평가 받는 RF 28mm f2.8 팬케익 렌즈도 전통적인 28mm 렌즈들에 비해서 배럴 왜곡이 상당히 큽니다. 디지털 왜곡 보정을 의존하지요.
미러리스에서는 렌즈의 광학적 특성을 그대로 보여줄 필요가 없이 보정된 대로 보여주는 게 가능하기 때문에, 심지어 그 보정된 그대로 영상 촬영까지 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사들도 더 적극적으로 그렇게 렌즈를 설계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광학적으로 완벽하면 더 좋겠지요. 그리고 이렇게 풀프레임 센서를 커버 못하는 이미지를 왜곡보정하면서 생기는 주변부 화질 저하도 분명히 있고요.
하지만 이런 '설계' 때문에 DSLR 시대에는 꿈도 못꿨던 크기와 무게, 스펙의 렌즈가 계속 나오고 있다는 사실...

댓글
  • BaeJJy 2024/05/22 14:20

    그걸 제일 잘 써먹는 회사가 소니죠
    진짜 신박한 사이즈로 렌즈들 뽑는거 보면 ㄷㄷㄷ
    제일 못하는 회사는 니콘

    (zsvoQR)

  • BuTToN A.K.A 2024/05/22 14:34

    SLR은 빛이 렌즈를 통과해 바로 눈으로 도달하니 광학적으로 왜곡을 제어하는 설계를 해야해서 렌즈를 작게 만들기 힘들었지만 미러리스는 빛이 렌즈를 통과해 센서에 도달한것을 이미지 프로세서를 거쳐 EVF로 보여지기 때문에 왜곡, 비네팅 제어를 소프트웨어로 하고 크기를 작게 만드는게 가능합니다.
    소니/탐론은 2019년즈음해서 이 방식을 계속 잘 써서 렌즈를 작게 만들고 있고 캐논은 EF 시절처럼 광학적인 방식을 고수하다 RF24-105stm즈음해서 소프트웨어 교정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걸 마치 꼼수부린다는 듯이 호도하는 유저가 아직도 꽤 보이긴하지만 꼼수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교정 또한 렌즈 설계의 일부분이라고 받아들여야죠.

    (zsvoQR)

  • 노인네라네 2024/05/22 14:36

    저도 슬슬 생각을 바꿔야 겠네요. 바디 보정 하면 거부감 부터 들어서 ㅎㅎ

    (zsvoQR)

  • 끙끙 2024/05/22 14:38

    후보정과 진정한(?)원본 논란에 비하면 재미있는수준이긴 하네요

    (zsvoQR)

  • lunic* 2024/05/22 15:11

    뭐 15년도 넘은 이야기이긴 하죠.

    (zsvoQR)

(zsvoQ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