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75932

성우와 일반 배우의 차이.

누군가 어떤 풍경을 그리라고 했을 때 한 사람에겐 검은색 연필만을 주고 다른 사람에겐 여러가지 색의 색연필을 준다면 어떨까?


여러가지 색연필을 가진 사람은 (물론 색을 잘 다룬다는 가정 하에..)  비교적 수월하게 대상을 표현할 수 있을것이다. 

반면 한가지 검은색 연필만을 가진사람은 오직 색깔 하나로 대상읠 질감과 음영들을 표현해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상의 결과를 내려면 고도의
연습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성우는 한가지 색(목소리) 만으로 캐릭터와 감정을 연기하는 사람이고 배우는 여러색( 목소리, 표정, 제스쳐등..)을 총 동원하여 캐릭터를 연기한다.
성우에 비해 일반 배우는 큰 이점을 가지고 연기하는 것이다.

일반 배우가 성우에 비해 가지는 또 다른 이점은 그들이 연기하는 캐릭터가 우리에게 친숙한, 우리 주변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조금 발음이 새거나 발성이 부족해도 표정으로 때울수 있는 경우도 있다. 다양한 표정을 가진 배우가 주목받을 수 있는 것도 일반 연기자들의 특혜(?)라고 할 것이다. 

주변을 살펴봐도 일반 사람들의 발음을 그렇게 뚜렷하지 않고 잘못된 발음은 예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오히려 일상 생활에서 아나운서나 성우같은 또렷한 발음과 발성은 위화감의 원인기 되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에게 익숙한 주변 사람을 연기하는 일반 배우들에겐 도드라진 목소리 표현 보다는 목소리와 표정등 제스쳐를 얼마자 잘 활용해서 연기하느냐가 연기력을 가늠하는 기준이 될것이다.

하지만 성우가 연기하는 캐릭터는 동물이나 로봇, 심지어는 나무나 돌같은 대상일 수 도 있다. 애니메이션의 사람 캐릭터라해도 그 표정 표현에는 극명한 한계가 있다. 즉 성우가 표현해야 하는 대상들은 표정이 없거나 단순화된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런 대상의 감정을 전달하는 것은 오직 목소리뿐이다. 그래서 성우는 극대화된 목소리 연기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종종 tv용으로 제작된 다큐에서 유명 배우들이 나레이션을 맡는 경우를 본다. 안성기나 하정우등 연기로는 최고라 불리는 배우이지만 발음의 정확도나 유려함에서는 완벽함과는 많은 거리가 있다는 것을 느꼈던 적이 있다. 

아무리 연기력으로 인정받는 배우라 해도 성우의 영역에 도전하는 것은 또다른 차원의 일이다. 하지만 종종 애니 더빙으로 언급되는 인기 연예인이나 배우들은 일반 연기로라도 어느 경지에 오른 경우는 본 적이 없다. 

성우는 목소리 연기 하나만으로 엄청난 경쟁을 뚫고 선택된 사람들이다. 그리고 목소리 연기에 관한 한 성우들의 목소리 연기는 감히 어떠한 일반 연기자도 넘볼 수 없는 경지에 있다. 더빙 연기로 주목받는 젊은 인기 연예인들은 양심을 걸고 자문해봤으면 좋겠다. 본인이 정말 그런 일을 해 낼 실력이 되는지. 대중적 인지도에 의해 쉼게 주어진 자리, 앉고 싶다고 막 앉아도 되는 것인지...
댓글
  • 한냐맨 2017/06/17 12:41

    왜 전문가들을 놔두고 아마추어를 쓰려는 건지 이해가 안 가요

    (MIcm8B)

  • 육식인 2017/06/18 23:38

    성우는 목소리를 이용해 연기를 하는 배우인데, 그냥 목소리만 내는 기능인으로만 보는게 싫음...

    (MIcm8B)

  • 키노=사쿠라 2017/06/18 23:45

    예전에 따뜻한 느낌의 다큐였나 거기서 연애인이 나레이션 할때도 일부 연애인들은 라디오 경험도 없어서인지 부족하다고 느꼈는데 그보다 더한 더빙을 경험이 많지도 않은 연애인에게 단기간에 시킨건 악수중의 악수인거 같음

    (MIcm8B)

  • 武士道 2017/06/18 23:46

    내 생각에 기획으로 연예인 뽑은 놈들 전문 성우가 더빙한 작품 보지도 않은 놈들이 태반일 거라고 확신함. 코난을 강수진 성우님이 아니라 연예인이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잘도 재미있겠다

    (MIcm8B)

  • 든해솔 2017/06/19 00:52

    떠오르는 대세 인기왕 ♤♤♤!!!
    인기 연예인 ooo!!!
    든든한 지원군 싸이!!!!!!!!!!
    어서 빨리 보러 오라구!!

    (MIcm8B)

  • 녹슨덩어리 2017/06/19 01:17

    성우/배우에서 나뉠 것도 없이
    배우만 해도 연극, TV드라마, 영화 세 개 모두 연기법이 다릅니다. 연기가 다르다는 걸 모를리가 없어요.
    그냥 더빙을 우습게 본겁니다.

    (MIcm8B)

  • 삼모작 2017/06/19 09:41

    우습게 보는거+연예인 마케팅이죠..
    그리고 무엇보다...티비에서 성우들이 활약한 기회가 줄어든거.
    더빙영화, TV애니등등..아동용은..애기들 보는거는 빼고요..
    영화는 짧게 뽑아내야되니. 연예인 마케팅을 쓰는거죠..울나라는 시장이 너무 작네요..에구..

    (MIcm8B)

  • 바니러브 2017/06/20 10:12

    이게 진짜임 성우는 전문가이고 스페셜리스트입니다. 배우는 목소리만으로는 아마추어죠.
    그리고 장르도 다릅니다. 농구를 아무리 잘하는 마이클 조던이라고해도 야구도 잘하기는 힘들죠.
    미국에서도 고등학교까지는 농구 야구 미식축구 다 잘하는 사람들 많습니다. 하지만 진로는 보통 하나를 고르죠. 물론 둘다 잘하는 사람도 있지만 둘다 탑클래스로 잘하는사람은 본적이 없습니다.
    성우도 마찬가지죠. 성우 배우 둘다 하시는분들 있습니다. 하지만 둘다 탑클래스인분들 별로 없죠. 한석규도 성우 출신이고 원로 배우들중에서는 성우출신들 많지만 대부분 성우 -> 배우 전업하신분들이 많습니다. 서유리도 배우라고 해야하나? 전문성우이기도 하면서 TV도 나오니까 하지만 SNL이나 마리텔같은 프로그램에 주로 나오지 전문 극화에 나오지는 않으시죠.
    외국에서도 닥터후로 유명한 데이빗테넌트도 배우겸 성우더군요.
    그런데 성우 -> 배우는 많아도 배우 -> 성우는 거의 못본것 같습니다.
    배우는 연기력 발성력 표현력등 여러가지 평균이 80점넘으면 배우해도 된다고 봤을때
    성우는 목소리 하나만으로 해야하니 어떻게보면 허들이 더 높을수밖에 없으니까요.
    너의 이름은 배역을 맡은 배우가 연기를 잘할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배우니까 어느정도 기준치는 넘었겠죠.
    하지만 70%의 성공가능성이 있는 사람과 10%의 성공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중에서 그래도 성공할수도 있으니 10%의 성공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쓰자? 이렇다면 합리적인 선택이 아닙니다.
    게다가 '너의 이름은'은 이미 일판으로 볼사람은 다 봤고 남은 사람들은 대부분 재탕할 사람들인데 90%이상 애니메이션을 좋아하고 즐기던 사람들입니다. 그사람들이 배우를 좋아할지 성우를 좋아할지는 뻔한 사실이죠. 대체 무슨 생각으로 저딴 캐스팅을 했을까요? 감독이고 뭐고 사람들 생각이 없나봐요.

    (MIcm8B)

  • 잠꾼 2017/06/25 05:17

    뭐 그럴 수도있죠;; 왜이맆찡찡 되는지 전 이해가 안되네요..당연히 전문성우를 쓴 영화와 아닌 영화의 차이에서 오는 갭은  소비자의영역이것만..

    (MIcm8B)

  • 못생겼네 2017/06/25 05:19

    이 사태를 보면서 이전에도 쾌걸 조로리 극장판을 개그맨들이 더빙했다가 폭삭 망했던 일이 생각납니다. 캐릭터고 뭐고 본인들 유행어만 밀다가 쌍욕 먹었던 사건이었죠...
    애들도 극장에서 목소리가 이상하다고 울었답니다.
    그런데 또 이런 사태가 일어나는 걸 보면 대체 성우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바닥인 건지 화만 납니다.

    (MIcm8B)

  • 이싸람이말야 2017/06/25 05:39

    표정연기 동작연기가 이점이될수도있지만 단점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더빙 사태에 대해 쓰시면서 말씀하신 맥락은 이해되지만 너무 이점이라고쓰셨길래... 잘하면 이득이지만 못하면 아무리 목소리 연기력이 좋아도 단점이겠죠.
    라고쓰고나니 뒷부분에서 잡아주셨네 쩝

    (MIcm8B)

  • 워띠 2017/06/25 06:38

    사람들이 많이 찾으면 선택되는 게 시장의 원리다.  단순한 이유를 모르는군. 제작자가 바보라서 배우를 쓰는 줄 아나?

    (MIcm8B)

  • Puella 2017/06/25 06:41

    문제는 영화앱보니까 한달도안남았더라고요 개봉..... 근데 예고편도없고 읭?

    (MIcm8B)

(MIcm8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