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서울 기준 황사 수치는 92㎛/㎥ 황사는 199㎛/㎥ 까지 좋음이고 399㎛/㎥까지 보통임. 그런데, 이 황사가 미세먼지로 잡히면서 미세먼지 나쁨이 됨. 미세먼지의 좋음30㎛/㎥ 보통80㎛/㎥ 나쁨150㎛/㎥은 황사가 없는 날 기준으로 책정된 수치인데, 요즘은 황사가 포함되면서 폭증된 것임. 진짜 나쁜 곳은 초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충남 전북 지역만 조심하면 되는 것임.
댓글
KORGY2017/05/08 08:03
그런거었나요??
에어비주얼보면 pm10 156이렇게 표기되는데
이것도 황사포암인가요
킨더조이2017/05/08 08:22
그렇죠, 게다가 에어비쥬얼은 단위가 ㎛/㎥이 아니라 그 사이트 자체로 지수화한 AQI를 쓰고 있어서 그 수치를 그대로 ㎛/㎥로 바꾸는 건 잘못된 정보입니다.
KORGY2017/05/08 08:27
황사=미세먼지라는거죠??
킨더조이2017/05/08 08:35
이번 경우는 그렇죠.
어쩌다보니..2017/05/08 08:24
황사도 몸에 안좋아요
킨더조이2017/05/08 08:36
황사 나쁨 기준은 400㎛/㎥ 이상 입니다.
soraya2017/05/08 08:29
공기중에 떠다니는 알갱이는 다 안좋음
황사든 꽃가루든~
Okinawa_life2017/05/08 08:33
기관지 튼튼한 사람들이야 별 티 안나지만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은 바로 티 납니다. 수치가 다른곳 보다 낮다고 안심할게 아니죠..
hideface2017/05/08 08:35
어쩐지 제가 신뢰하는 aqicn 기준으로 초미세가 심하지 않은것 같은데 네이버 같은곳은 높게 잡더군요. 그리고 폐포에서 거르지도 못하고 중금속도 있는 초미세는 황사나 송화가루 와는 비교대상이 아닙니다.
그런거었나요??
에어비주얼보면 pm10 156이렇게 표기되는데
이것도 황사포암인가요
그렇죠, 게다가 에어비쥬얼은 단위가 ㎛/㎥이 아니라 그 사이트 자체로 지수화한 AQI를 쓰고 있어서 그 수치를 그대로 ㎛/㎥로 바꾸는 건 잘못된 정보입니다.
황사=미세먼지라는거죠??
이번 경우는 그렇죠.
황사도 몸에 안좋아요
황사 나쁨 기준은 400㎛/㎥ 이상 입니다.
공기중에 떠다니는 알갱이는 다 안좋음
황사든 꽃가루든~
기관지 튼튼한 사람들이야 별 티 안나지만 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은 바로 티 납니다. 수치가 다른곳 보다 낮다고 안심할게 아니죠..
어쩐지 제가 신뢰하는 aqicn 기준으로 초미세가 심하지 않은것 같은데 네이버 같은곳은 높게 잡더군요. 그리고 폐포에서 거르지도 못하고 중금속도 있는 초미세는 황사나 송화가루 와는 비교대상이 아닙니다.
황사는 모래
애쓰십니다..
우리나라 공기질 않좋은건 확실합니다..
무슨 이야기를 하면 근거를 가지고 반박을 해야 하는데, 이런 댓글만 남기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