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담으로 올린 거라고 알고잇지만
현실적인 말을 하자면....정말로 전기세를 진짜 아끼려면, 정부나 관공서에서 권유하는대로 26-27에서 처음 세팅해서 틀어놓고 난뒤에, 그 다음에 자기한테 맞는 느낌온도를 찾아서 플러스,마이너스 앞뒤로 조정해서 1-2도씩 조절하면 된다고하더군요
무조건 높은 온도나 무조건 낮은 온도를 튼다고해서 싸게 나오는 게 아니라고 알려주더군요
아부지뭐하시노2021/06/08 20:35
그래서 저는 25도 셋팅에 23~4도 왔다갔다 합니다.
한나아빠.2021/06/08 20:37
전 처음에 그걸 모르고....
예를 들어서 방 온도가 36도라고 가정하면... 36도에 에어컨을 처음 틀어놓고, 차츰차츰 서서히 1도씩 내리면 될 줄 알았는데, 그렇게하면 오히려 체감도 거의 안 되고, 에어컨의 냉각기를 더 오랫동안 돌려야해서 더 전기세가 많이나온다고 여기 게신 분이 알려주더군요
험프리박2021/06/08 20:42
당장 뜯어서 각도 조절해놓겠습니다.
No.7162021/06/08 20:48
재미없습니다.
비수무루2021/06/08 20:52
요즘 인버터는 처음에 최대한 시원하게 하두고 이후에 25도나 26도로 해야하는것으로 아는데 아닌가 보네요.
높아요 27도로트세여
낮아요 27도라해야죠
저는 항상 25-6정도 셋팅하니 좋드라구요
아닙니다. 요즘은 무풍이 대세라서 송풍구를 막으셔야 합니다.
남자라면 18도죠. 님들 겨울에 18도 추워요 더워요? 덥죠? 그래서 18도 합니ㅏㄷ
농담으로 올린 거라고 알고잇지만
현실적인 말을 하자면....정말로 전기세를 진짜 아끼려면, 정부나 관공서에서 권유하는대로 26-27에서 처음 세팅해서 틀어놓고 난뒤에, 그 다음에 자기한테 맞는 느낌온도를 찾아서 플러스,마이너스 앞뒤로 조정해서 1-2도씩 조절하면 된다고하더군요
무조건 높은 온도나 무조건 낮은 온도를 튼다고해서 싸게 나오는 게 아니라고 알려주더군요
그래서 저는 25도 셋팅에 23~4도 왔다갔다 합니다.
전 처음에 그걸 모르고....
예를 들어서 방 온도가 36도라고 가정하면... 36도에 에어컨을 처음 틀어놓고, 차츰차츰 서서히 1도씩 내리면 될 줄 알았는데, 그렇게하면 오히려 체감도 거의 안 되고, 에어컨의 냉각기를 더 오랫동안 돌려야해서 더 전기세가 많이나온다고 여기 게신 분이 알려주더군요
당장 뜯어서 각도 조절해놓겠습니다.
재미없습니다.
요즘 인버터는 처음에 최대한 시원하게 하두고 이후에 25도나 26도로 해야하는것으로 아는데 아닌가 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