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803065

[SDQH] 2020년 마지막 보름달 촬영

사용된장비는
----------------------------
1. 삼양 800mm (개조안했습니다.)
2. T2-M42 컨버터
3. M42-SA 컨버터
4. T2용 ×2텔레컨버터
5. 1.2인치 망원경용 Moon 필터
6. 삼각대 및 셔터릴리즈
----------------------------
입니다. 환산 2080mm를 자랑하는 대포 반사렌즈네요.
흠... 내일이 보름달인데 내일은 날씨가 흐리더군요.
포베온으로 찍으면 어떨까 싶어서 촬영했고요.
1mm만 잘못돌려도 초점이 틀리고 크롭안해도 달이 꽉차기 때문에 달이 생각보다 빨라요.
화면에서 달이 움직이는게 보인다고 할까ㅋㅋ
뽑을수 있는 퀄러티 최대한 뽑아 봤는데.
아무래도 수광량의 문제라기 보다 센서 이미지 해상도가 발목을 잡네요.
달 촬영은 로우 이미지 크기인 4천만화소나 6천만화소인 소니 A7R 시리즈가 더 좋은 결과물을 얻을수 있는 거 같아요.
SDQH1258_2.jpg
이게 원본인데 아쉽긴 아쉽네요.ㅠ
논크롭/ iso100 /셔터스피드 1/20 / 환산F값 F16 *1.3
그래도 재미 있는 것은 포베온이라서 보정된 이미지는 봐줄만합니다.
보정폭이 넓긴 넓네요.
SDQH1258.jpg
.
.
설정값이 궁금한 분들을 위해. 설정한 것도 같이 올릴게요.
(x3f 촬영후 Tif로 변환 라이트룸에서 보정했습니다.)
2435.JPG
마지막으로 비교용입니다.
같은 장비세트로 A7r2로 보정된 사진이요.
R2L07308.jpg

댓글
  • 백화 2020/12/29 14:17

    포베온....승!!!!

    (v67nc3)

  • 바오밥포토 2020/12/29 16:15

    ㅋㅋㅋ 이건 호불호가 갈릴거 같아요.
    보정폭은 확실히 포베온인데 최종 이미지 해상력과 보기에는 A7r2가 보기 좋아보여서요.

    (v67nc3)

  • 백화 2020/12/29 18:53

    최종은 프린터물입니다. 보기보다는 프린터로 똑같은 크기로 보시고 결론을 내리시지요?

    (v67nc3)

  • 바오밥포토 2020/12/29 19:24

    똑같은 이미지 크기로 만들어서 같은 사이즈로 똑같은 화면(트루10bit모니터)으로 봤습니다.
    인화하면 조금 좋아보이긴 하겠지요.
    하지만 요센 인화보다 디지털 시대라서 JPG로 납품하거나 거래하는 경우가 많잖아요.이건 제가 반대하는 게 아니라 진짜 호불호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천체사진은 색상이 풍부하고 bit 색상픽셀 보다 이미지 크기나
    해상력이 더 좌우되더라고요. 전업천체사진가 권오철작가님도 같은 이야기 하셨고요.같은 이유로 A7r4를 가장 선호 하시는 걸로 알고 있어요.
    직접포베온으로 촬영해보니까 의외로 렌즈를 많이 타는 것도 있습니다.
    해상력 낮은 렌즈면 뭉개져 표현되는 것도 있어요.
    보통은 질감표현 및 꼭 찝어내는 색체 픽셀등으로 커버되는데 실제로 달을 확대해보면 대기와 공기 움직임덕분에표면이 좋은 편이 아니에요 포베온의 장점이 전혀 먹히는 케이스가 아닙니다.
    (이번 달사진도 같은 경우)

    (v67nc3)

  • 바오밥포토 2020/12/29 19:27

    딱 2400만 이미지사이즈 베이온센서 느낌으로 잡혔고 대신 색상정보가 많아서 뽀정폭이 좋네요.
    아마 2400만 베이온센서로 촬영했으면 이것보다 못 했을 거예요.
    백화님 사진경역은 못따라잡지만 저도 본의 아니게
    여러기종을 접하다보니 개인적인 비교 결론이 나오네요.
    여튼 전 달사진에 관해선 호불호라고 봅니다.

    (v67nc3)

(v67nc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