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72320

a7r vs a7r2 화질을 비교한다면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우선 출시 직후 a7을 구입하여 지난 3년간 잘 사용해왔습니다.
다음 기종으로 a7r or a7r2를 물망에 두고 있는데
오로지 사진, 그리고 화질(날카로운 선예도)를 제품 선택의 기준으로 한다면
제가 느끼기엔 a7r이 더 나은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이런 생각은 갖게 된 배경은 각각 2년간 사용했던 오두막과 오막삼의 화질을 비교해보며
갖게 되었습니다. 사용할 당시엔 두 기종을 비교해 볼 생각을 못했습니다.
그저 모두가 좋다고 극찬하는 오막삼이기에 5d시리즈에 고질적 문제인 af문제가 해결되었기에
'그냥 좋은가보다'하고 사용했지요.
하지만 얼마전 사진파일을 정리하며 두 기종 사진을 비교하니 오두막의 사진 퀄리티가 오막삼을
압도하는 것 같아 혼란에 빠졌습니다.
그래서 현재 물방에 오른 a7r / a7r2 도 냉철히 비교해보니
a7r2는 화소는 커졌으나 제가 기대하는 샤프한 느낌의 해상력은 약간 덜 한 것 같고
약간 화소를 뻥튀기 해놓은 거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사실 3천만 화소도 충분히 차고 넘치는 화소이고 a7r은 구형 바디이긴 하나 제가 원하는
딱 그 느낌의 샤프한 해상력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 여러분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dxomark같은 센서 점수도 물론 중요하나 2~3점 차이가 가시적으로 차이를 확 느낄 만큼의 차이는
아닌 것 같아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해상력 다음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DR인데 캐논을 오래 사용했기 때문에 a7의 DR도
만족하며 사용 중입니다.
여타 다른 조건들은 모두 차치하고(동영상, 손떨방 등등)
샤프한 해상력만 기준으로 보았을 때
두 기종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댓글
  • FreshS0UL 2017/04/07 12:58

    전에 직접 테스트한바 있지만 기본 최저 상용감도 100에선 큰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a7r이 더 나아보인 결과도 보여줬습니다. 하도 논란이 되어 다양한 렌즈로 여러번 테스트 해보고 내린 결론이네요. A7r이 A7r2보다 컨트라스트가 강해서 그래보이기도 하지만 결론은 알투보다 눈으로 보는 결과물 관점에선 화질이 더 떨어지거나 엄청난 차이가 있진 않다는 점입니다. DR이나 계조는 면밀히 비교해보지 못했지만 dxo를 비롯, 인터넷에 자료가 많으니 참고하심 될 것 같고 주광 기준 로우 파일 색에서 알투가 알보다 그린 틴트 성향을 보였습니다. 다른 것보다 전 이 차이가 제일 크게 느껴지더군요.

    (BxArj7)

  • FreshS0UL 2017/04/07 13:15

    아울러 a7r은 무압축로우를 지원하지 않고 알투의 무압축로우는 알의 압축로우보다 두 배 이상 큽니다. 디피리뷰 등의 이야길 들어보면 무압축로우는 DR의 향상보단 계조에서 약간의 향상이 있고 무엇보다 압축시 발생하는 하이라이트 위색 현상을 잡았다는데 방점이 찍혀있죠. 개인적으로 알을 쓰면서 이 하이라이트 위색 현상을 발견하여 고생했던 적은 전혀 없어서 큰 문제라고 생각치는 않지만 후보정과 최상의 결과물을 염두한, 더 데이타량이 많은 로우를 쓰셔야 한다면 알투가 나은 선택이라 봅니다. 제가 진행했던 알과 알투의 로우 비교 테스트에서도 알투는 무압축 로우로 진행했는데 눈으로 보이는 결과물에서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끝으로 해상력은 눈으로 보이는 쨍한 결과물과 무조건 연관이 있다고 하진 않다고 하네요. 해상력은 화소수에 비례하고 해상력이 높다고 해도 꼭 더 쨍하고 선예한 결과물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BxArj7)

  • Juntheo 2017/04/07 13:15

    역시 제가 생각했던 것과 비슷한 결과치군요. 고견 감사합니다 :)

    (BxArj7)

  • FreshS0UL 2017/04/07 13:55

    편의성이나 저조도 검출, af 면에선 압도적으로 알투가 좋습니다. 그리고 감도가 올라갈수록 화질이란 측면에서 알은 눈으로 보이는 결과물에 불리하고요. 그래선 전 a7r과 a7s 투바디를 활용하고 있네요. 풍경이나 정물, 최저 상용감도 기준으로 주로 쓰신다면 a7r은 최고의 가성비 바디입니다. 전 2세대는 거르고 3세대 정도 고려해보고 있습니다. 사실 지금 있는 1세대 a7r도 워낙에 제 사진 생활에 적합하고 만족스럽네요.

    (BxArj7)

  • i루나i 2017/04/07 13:05

    r도 로패스 필터 빠지고 지금봐도 화소량이 충분해서 충분히 쨍하죠.
    3600이나 4200이나 고작 600만 화소 차이고 면적비가 아닌
    장축 px 차이로 치면 이 차이는 더 줄어들구요. 그렇지만 뻥화소는 아닙니다. ^^;
    화소량만큼 해상력은 약간더 좋구요.
    r2는 단순히 해상력 뿐만 아니라 r대비 요즘 추세에 맞춰 iso800이상 생활감도나
    고감도 대역에서도 충분한 DR이나 CD를 고감도 노이즈 억제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발된 센서라 종합적으로 r2가 다목적으로 더 좋은센서는 맞습니다.

    (BxArj7)

  • Juntheo 2017/04/07 13:17

    죄송하지만 'CD'가 의미하는게 뭔지 알 수 있을까요?
    color depth 인가요?

    (BxArj7)

  • i루나i 2017/04/07 13:23

    네 맞습니다. 사람의 눈은 비슷한 크기에 결과물을 보고
    좀더 작은쪽이 쨍하다고 느끼곤 합니다. r과 r2의 관계네요.
    실제로 mtf차트나 렌즈의 분해능을 어느정도 평가할 수 있늘만한 지폐 정밀 접사후
    축소 리싸이즈가 아닌 포토샵 동싸이즈 확대 리싸이즈 먹이면
    약간의 해상력 차이가 드러나게 됩니다.
    예전에 a7r2 발매시기 무렵 a7r2를 a7r대비 어느정도일지 fe90마 물려 몇번
    집폐접사로 해상력 테스트 해봤었네요. 큰 차이는 아니지만 r2가 좀더 좋았습니다.

    (BxArj7)

  • 봄날이왔어요 2017/04/07 13:24

    둘다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성비로 말하면 r 최고
    결과물도 r이 좋다고 생각해요
    뻥튀기 느낌 저도 그렇게 생각 중 입니다.
    dr도 r이 좋고
    r2 차이라면 감도,흔들림보정,초점모드
    주간 정적인 피사체라면 r이 최고하고 생각 합니다.

    (BxArj7)

  • AdobeRGB 2017/04/07 14:00

    일단 이론적인게 이정도구요 실제 사용해보시면 손떨방때문이라도 이미지가 좋은게 느껴집니다. 고감도차이도 꽤 나구요

    (BxArj7)

(BxArj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