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비트 리니어 로를 12비트 로그로로 저장한다.
제목 그대로네요.
로그 자체가 게인을 낮추고 감마를 올린 거라 데이터의 효율성면에서는 괜찮겠죠.
애초에 10비트도 없던 소니 미러리스 생태계에선 획기적인 일이죠.
타사에서 힘 좀 써주면 더 좋게지만요.
[α]GomPhoto2020/09/17 00:16
니콘 z6 의 12bit raw 와 화질적으로 뭔가 다를까요?
1DmarkIIN2020/09/17 00:29
저도 방금 아토모스 홈페이지에 가봤는데 아토모스에서 주장하는 것은 이것이네요.
"a7s3 카메라에서 16bit를 출력하는 것을 12bit AppleProResRAW로 저장하는데, 이것은 실질적인 데이터 전송률을 유지하면서 16bit와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없습니다."
이게 사실이라면 좋겠지만, 당장 결과물은 눈으로 봤을 때 차이가 없을지 몰라도, 12bit가 16bit와 동일하게 후보정의 관용도와 색 재현력을 가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16비트 리니어 로를 12비트 로그로로 저장한다.
제목 그대로네요.
로그 자체가 게인을 낮추고 감마를 올린 거라 데이터의 효율성면에서는 괜찮겠죠.
애초에 10비트도 없던 소니 미러리스 생태계에선 획기적인 일이죠.
타사에서 힘 좀 써주면 더 좋게지만요.
니콘 z6 의 12bit raw 와 화질적으로 뭔가 다를까요?
저도 방금 아토모스 홈페이지에 가봤는데 아토모스에서 주장하는 것은 이것이네요.
"a7s3 카메라에서 16bit를 출력하는 것을 12bit AppleProResRAW로 저장하는데, 이것은 실질적인 데이터 전송률을 유지하면서 16bit와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없습니다."
이게 사실이라면 좋겠지만, 당장 결과물은 눈으로 봤을 때 차이가 없을지 몰라도, 12bit가 16bit와 동일하게 후보정의 관용도와 색 재현력을 가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