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스탑(stop) 올릴 때마다 2의 제곱으로 밝아지는 거로 아는데(2배, 4배, 8배 ...),
Q1. a7은 노출 간격 설정을 0.5로 하면 한 스탑씩 밝아지는 거 맞는지요?
Q2. a7은 노출 간격 설정을 0.3으로 하면 몇 스탑 밝아지는 건가요?
참고로 사무식을 마운트 했을 때 조리개값입니다.
노출간격 0.5 ev : 1.4 1.8 2.0….
노출간격 0.3 eV : 1.4 1.6 1.8….
Q3. 노출 간격 0.5 eV 와 0.3 eV 가 채감이 될 정도인가요?
Q4. 예전에 쓰던 6D는 노출 보정 다이얼 돌리면, 그 스탑에서 1/3, 2/3 올리거나 내리는 거로 아는데, a7은 -2에서 +2(영상, 사진 3)라고 있던데, 이건 몇 스탑 정도가 되는지요?
Q5. a7은 노출이 14.7 스탑으로 아는데, 예전에 쓰던 캐논 6D는 10스탑 좀 넘었나? 잘 기억이 안 나네요 ㅜㅜ, 그리고 a7 다이나믹레인지가 넘사벽이지만, 생각보다 명부 끌어 내리기에서 차이가 안 나는 것같던데, 어떠신지요?
풍경이 주인데, nd 필터가 맞는 거겠줘ㅎㅎ
질문이 좀 많았네요 ㅜㅜ;;;;
좋은 답변 기대하며 미리 감사드립니다~*
https://cohabe.com/sisa/1510862
a7m3 스탑(stop) 질문요.jpg
- 지하철에서 본 멋진 어른.jpg [7]
- 죄수번호 4855616 | 7분전 | 945
- 히나타 선배 [7]
- 리버티시티경찰국 | 10분전 | 821
- 늑대>개보다 더 역변한 생물체.jpg [17]
- Starshiptostars | 11분전 | 664
- 나를 잘 안다고 하는 사람들.jpg [11]
- 이상성욕성애자 | 11분전 | 529
- 돼지 농장 경영 폰 게임에 푹 빠진 엄마.jpg [5]
- ꉂꉂ(ᵔᗜᵔ *) | 11분전 | 561
- 로리 일러레 레벨별 구분 포인트 [7]
- GeminiArk | 11분전 | 1056
- KV) VK 근황 [9]
- nana111 | 11분전 | 498
- "분명 케이크는 가짜였을텐데...?" [15]
- (?ㆍ?) | 11분전 | 285
- 마비m)직접 해보다가 나크 대사에 긁혔다 [2]
- 아서 브라이트 | 12분전 | 432
- 레몬에서 레몬즙 짜는 만화 [5]
- GeminiArk | 12분전 | 578
- 이게 ㅅㅅ지ㅋㅋ [15]
- 설빙빙수 만만세 | 13분전 | 296
- 버튜버)시오리: 네리사의 고환수술이 잘되서 다행이에요. [4]
- 정의의 버섯돌 | 14분전 | 1004
- 스타킹 신는 히아킨 함 바바라 [0]
- 리버티시티경찰국 | 14분전 | 1025
- 마비m) 대기열이 ㅈㄴ 긴 이유 [16]
- 3502261054 | 14분전 | 1007
1스탑 올리면 빛의 양이 2배로 밝아진다.
1스탑 내리면 빛의 양이 절반으로 어두워진다
개념을 이해하셨는데 질문은 이상한데로 빠지셨어요 ㅠㅠㅠㅠ
1234를 한번에 답변드리자면.
일단 제가 어제 다른글에 단 답변이 있습니다.
http://www.slrclub.com/bbs/vx2.php?id=minolta_forum&no=1059601&cmtn...
이중에서 스탑과 스텝부분을 보시면 되는데.
1스탑 기준을 1Ev 이고. 이건 위 설정창에서 오른쪽.
그리고 1스텝이 바로 노출 간격 왼쪽 메뉴라고 보시면됩니다.
즉.
1번 딸깍하고 다이얼을 돌렸을때.
절대기준으로 얼마나 어둡고 밝아지느냐.
라는걸 설정하는 메뉴가 1번의 그림입니다.
0.3EV면 1/3스탑이 조절기준이고.
0.5EV면 1/2스탑이 조절기준입니다.
즉 0.5로 하면 다이얼 한칸은 1스탑이 아니고 0.5 스탑입니다.
예를 들어 F2.0 (루트4)기준으로. F2.8(루트8) 1스탑 차이.
1/3스탑으로 설정시에 F2.0에서 스텝씩 어둡게하면
root(2^2)= 2
Root(2^(2+1/3)) = 2.24492... = 2.2혹은 2.3
Root(2^(2+2/3)) = 2.519842....= 약 2.5
root(2^3) = 2.828427.... = 약 2.8
만약 0.5 스탑을 1스텝으로 설정시.
1/3스탑으로 설정시에 F2.0에서 스텝씩 어둡게하면
root(2^2)= 2
Root(2^(2+1/2)) = 2.3784 = 약 2.3혹은 2.4
root(2^3) = 2.828427.... = 약 2.8
혹은 이라고 한건 회사마다 표기가 다를수 있어요.
자 그리고 여기서 바로 사무식으로 넘어가면.
1스탑 단계대로 기본적인 조리개값을 먼저 알아보면
1- 1.4 - 2 - 2.8 - 4 - 5.6 - 8 - 11 - 22 - 32
총 10스탑까지 단계입니다.
root ( 2^10) = 32...
여기서 1.4 부터 시작하면. root2가 1.4.
1/3스탑기준으로 하면 이렇고.
root(2^1) = 1.4
root(2^(1+1/3)) = 1.58740.
root(2^(1+2/3)) = 1.7817974....
root(2^2) =2
1/2스탑 기준으로 하면.
root(2^1) = 1.4
root(2^(1+1/2) = 1.681792....
root(2^2) =2
이게 0.5 스탑단위.
5번 질문은.
DR과 카메라내부 노출과는 별개 기준이다.
DR의 절대기준 노출위치는 노출계에따라 완전히 변한다.
그걸 이해하셔야되요.
절대 노출 기준으로 "범위" 를 측정한게 다이나믹 레인지고.
그 범위는 절대노출 기준으로는 "마이너스" 범위까지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3Ev상태도 찍힐수 있다. 따라서 명부쪽으로만 확장되는거 아닙니다.
이 개념을 알면 쉽겠죠.
명부를 끌어내려서 살리는건 어디까지나 촬영당시의 촬영된 이미지의 Range가 중요한거고.
다이나믹 레인지와 연관성은 있지만.그게 꼭 명부쪽으로만 홧장되는건 아니다.
따라서 20스탑짜리라고 해도 촬영범위 바깥의 노출을 가진 이미지를 살릴수는 없다.
약간은 더 찍히겠지만...
예를 들어 명암부가 균등한 16스탑짜리 카메라로 현재 +7EV 상태인 풍경을 찍었다. 라고 한다면
절대노출 -1스탑 ~ 14스탑의 밝기를 가진 물체는 찍히고. -1스탑보다 어두운건 검은색으로. 14스탑보다 밝은건 흰색으로 찍힙니다. 아무런 색 정보가 없죠
따라서 이때 노출 오버상황은 당연히 피해야되는거고.
DR이 넓은 바디라도 노출 조절은 필수이며, 바디에서 해결안되면 ND필터를 써야죠.
상세한 답변 감동입니다, 열공하겠습니다!!!
감사드리고, 좋은 하루 되세요~*
죄송한데 걸어주신 링크가 되지 않네요 ㅠㅠ
다시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