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46646

비비큐 사태를 보고 한가지 확신이 들었습니다.

비비큐의 가격인상에 정부가 강경대응한다고 세무조사 카드를 꺼내든 것은 확실히 좀 잘못된 방법일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사태로 보건데 지금 대한민국 실정에서 시장에게 가격형성을 무조건 맡기는건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10년 자칭 보수정권에서 실시한 신자유주의를 빙자한 대기업 옹호정책의 결과 대한민국은 독과점시장으로 변했습니다.
 
어떤 교수는 이번 비비큐 사태에서 치킨은 생필품도 아닐뿐더러 치킨시장에 독과점이 형성되지 않았다고 하더군요.
 
물론 치킨이 기호식품이지만 이제는 기호식품이라고 하기에는 그 소비량이 장난아닙니다.
 
오히려 쌀만큼이나 소비되는게 치킨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죠.
 
게다가 비비큐가 어떤기업입니까?
 
엄청난 자본을 바탕으로 치킨업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이 떡하니 버티고 있는데 단순히 치킨집이 포화상태라고 그 시장이 경쟁시장이라 말 할수 있습니까?
 
다수의 약자가 경쟁하고 소수의 강자가 지배하는 구조가 어떻게 경쟁입니까?
 
기호식품이라며 사먹기싫으면 사먹지 말라고하지만 비비큐 하나가 가격 올리면 치킨시장 전체가 따라서 가격 올려버립니다,
 
또 농식품부에 발표한바에 따르면 닭의 원가는 치킨값의 20%이하라고 합니다.
 
보통 닭이 2천원선에서 판매되고 거기다 대량구매시 1600원선까지 내려간답니다.
 
근데 이 닭한마리 원가만큼 가격을 올리는 저런 미친짓을 우리는 그저 시장에만 맡기고 소비선택만 하라구요?
 
저는 적어도 대한민국의 기업윤리라고는 눈꼽만큼도 없는 기업들이 시장가격을 지멋대로 조정하는 그런 꼴은 찬성하지 않습니다.
 
이론적으로 원칙적으로 시장경제체제에서의 정부의 개입은 불필요하다고는 하나 어디까지나 이론일 뿐입니다.
 
저 간악한 기업놈들이 요 10년간 얼마나 서민경제를 좀먹었는지 다시 상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정권이 바뀐다면 저는 정부가 현 시장구조에 대대적인 수술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 울산시민™ 2017/03/16 14:09

    치킨집에 제공되는 닭 원가가 그렇게 쌌었나요??
    2천원선... 천육백원.. 너무 싼데요? ㄷㄷㄷ

    (N5Bt09)

  • 비니랑민아링 2017/03/16 14:37

    그 가격에도 그렇게 소비량이 많다는 것은 가격이 저평가 되어있단 뜻이겠죠.
    베오베 갔던 글만 봐도 알 수 있듯이 다들 주변에 더 저렴한 시장 치킨, 영세 치킨, 동네 치킨집들에서 치킨 잘 시켜먹고 있습니다. KFC만 해도 튼실한 닭다리나 가슴살 2천원이면 먹구요.
    치킨대기업들이 과장광고를 하거나 점주들 삥을 뜯거나 양계농장의 피를 빨아 먹거나 담합을 하면 정부가 나서서 잡아야지 치킨값 인상에 철퇴라니 어이가 없네요.

    (N5Bt09)

  • 우째 2017/03/17 21:10

    전문가 색휘들이 자꾸 완전경쟁시장 이야기하는데
    도대체 한국 어느 구석탱이에 완전경쟁시장이 있나 좀 살펴보고 말을 해 줬으면 좋겠음.
    완전경쟁시장....ㅋㅋㅋㅋ 말이야 쉽지. 에혀......

    (N5Bt09)

  • Mac 2017/03/17 22:11

    공정거래위원회가 강화될 필요가 있겠지요. 시장 독과점에 대한 기준도 우리나라같이 폐쇄된 시장구조에서는 독과점 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요.

    (N5Bt09)

  • qetzdbaer 2017/03/17 22:30

    1600원은 생계(살아있는 닭)시세나 그렇고요.
    털 벗기고 내장뺀 손질되서 나온 닭의 경우 조류독감 이전에 kg당 3000원 정도 됬습니다. 치킨에 많이 쓰는 10호 기준으로요.
    육계협회 홈페이지 가면 과거자료 검색 됩니다.

    (N5Bt09)

  • 하루우 2017/03/17 22:33

    비비큐 516후원 기업 ㅃㅇ

    (N5Bt09)

  • 열대양 2017/03/17 23:16

    치킨만큼 많은 업체가 난립한 자유경쟁시장이 없는데 세무조사로 철퇴내리는건 말도안됨. 무슨 명분인지도 모르겠음.

    (N5Bt09)

  • 스떼 2017/03/17 23:40

    이런 건은 좀 다른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독과점, 즉 독점과 과점은 말 그대로 한 기업이나 소수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는 걸 말하고, 그러면 반드시 폐해가 발생합니다.
    독점의 예 - 한전이나 코레일을 완전 민영화하면 심각한 폐해가 일어나겠죠. 다른 사업자로의 대체가 불가능한 재화를 한 기업이 독점 공급하면 소비자는 비싸도 구매해야만 하니까요...지금 우리가 한전 독점의 폐해를 겪고 있죠. 그럼 전기회사를 늘리면 될까요?
    과점의 예 - 대한민국에 정유사는 4개 있습니다. 그러나 경쟁을 안 하죠.  SK가 휘발유값 1500원으로 정하면 GS는 1480원, 현대와 에쓰오일은 1460원 이렇게 해서 천년 만년 같이 잘 먹고 잘 살자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에쓰오일이 시장 1위할 생각도 없고 SK가 3,4위 기업 다 밟아 없앨 생각도 없습니다. 공정위도 규제를 못 합니다. 애초에 사업자가 소수인데다가 이 회사들이 담합을 하는 건 아닙니다. 담합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네 회사가 모여서 이렇게 저렇게 가격을 정하자고 회의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이심전심이니까요. 그럼 법으로는 규제 못 합니다.
    독과점 불가한 시장의 예 - 대한민국에 석유화학사는 10개 정도 있습니다. 삼성토탈, 롯데석유화학, 무슨 유화, 무슨 케미칼 뭐 그런 회사들은 심심하면 한번씩 담합으로 적발된다는 뉴스가 나옵니다.
    공급사가 10개를 넘어가면 그 바닥이 그 바닥인 좁은 업계에서도 이심전심으로 통할 수는 없습니다. 가격 낮춰서 매출 많이 올리고 싶어하는 10위 기업이 있을 거고, 그렇게 출혈경쟁하지 말자는 5위 기업 있을 거고, 10사 중 5개 정도는 밟아 없애고 정유업계처럼 편하게 장사하고 싶어하는 1위 업체 있기 마련이죠...
    이런 상황에서 서로 안 다치고 시장 유지하려면 모여서 회의해야 합니다. 그럼 짬짜미죠. 경쟁 안 하고 담합해서 소비자에게 싸게 공급 안 하게 되니까요...공정위에 걸리면 과징금 수백억~ 이런 거 기사 심심찮게 나죠...
    그런데 업계에 참여업체가 수십 개 수준이 되면 비로소 보이지 않는 손 비스무리한 게 작용하게 됩니다.
    그야말로 약육강식, 가격이든 서비스든 맛이든 치킨업계 등의 외식업계는 정부가 개입할 필요가 거의 없죠...전 업계가 회의해서 통닭값을 함께 올리기로 하지 않은 한 말입니다.
    이를 테면 어느 시골 읍내도 아닌 면소재지 50m짜리 번화가에 통닭집이라곤 BBQ 하나밖에 없어서 울며 겨자 먹기로 비싼 BBQ를 먹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정부가 개입할 문제가 아닙니다.
    어떤 면에서는 BBQ가 범용 치킨의 가격 수준을 벗어나 고급화 전략으로 고가 상품을 위주로 하는 경영을 한다면 영세 자영업자들의 치킨집에는 대기업 수준의 경쟁 업체와 가격경쟁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발생할 겁니다.
    BBQ가 맛있어서 BBQ만 먹는데 그게 오른다니 잘못됐다!
    그럼 BBQ는 가격인상해도 되는 거죠. 아마 그럴 거라고 예상하고 BBQ는 가격을 올리는 것이기도 하겠죠...
    이걸 정부가 규제한다는 건 말도 안 되는 거예요. 대한민국 모든 통닭집이 - 타당한 이유 없이- 가격을 올릴 때나 정부가 개입해야죠...
    BBQ는 가격을 올릴 자유가 있고 소비자는 수많은 치킨 중에 비싼, 안 비싼, 맛있는, 안 맛있는, 푸짐한, 빈약한 다양한 상품들을 가성비 따져서 선택할 자유가 있으면 되는 겁니다...
    만에 하나 우리 동네에 치킨집이 하나뿐인데 그게 BBQ여서 통닭을 비싸게 먹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면, 광고 내세요. 그 동네에 치킨집 열고 싶어하는 사람 무지 많을 겁니다...
    단, 선두업체인 BBQ가 가격인상을 하므로써 다른 업체들도 슬금슬금 가격 인상에 동참해 시나브로 전체적으로 통닭 가격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는 있습니다...
    근데 그렇다 하더라도 치킨처럼 시장참여자가 많은 업계에 정부가 굳이 개입할 필요는 없을 겁니다...
    만약 대한민국 모든 치킨집이 다 불합리한 가격인상에 동참해 통닭 가격 거품이 너무 심해지면 제가 합리적은 가격으로 치킨집을 경영해서 떼돈 벌겠습니다. 손님 무지 많이 오겠네요. 남들은 다 폭리 취하는데 나 혼자만 양심적인 가격 받는다면요...

    (N5Bt09)

  • 발암과함께사.. 2017/03/18 00:17

    사실상 우리나라는 단합에 대해 제대로 된 철퇴를 내릴 수 없는 특수한 상황입니다. 외국에서 단합한다? 너네 세금폭탄. 이런 과정이 없는 한국의 기업가의 세상이죠. 우리나라 국산차가 어떻게 하는지 보세요. 법의 구멍이 기업에게 유리하게 작용했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떠앉았죠. 그럼 외제차를 탄다? 그들이 한국으로 들어오니 어떻게 변했나요? 이건 공정한 경쟁인가요?  한국은 그래도 되니까. 이게 해결되지 않는 한 자유경쟁은 어림도 없죠. 그냥 단합해서 가격을 올리지 왜 경쟁을 합니까.  지금은 한국은 그래도 되니까의 나라고 근본적으로 이걸 해결하지 못하면 피해는 소비자만 볼겁니다.

    (N5Bt09)

  • 발암과함께사.. 2017/03/18 00:21

    그리고 대기업은 멍청이가 아닙니다. 대한민국 수제란 수제들이 포진해 있는 기업이에요. 가격이 올라가면 저가공급이 살아난다? 어림없죠. 가격을 올리는게 지금보다 이익이 되니까 올리는 겁니다.

    (N5Bt09)

  • 올리오 2017/03/18 00:30

    선순환을 조금씩 만들어야죠
    조금씩이지만 국민들을 향해서 앞으로 나아가면서

    (N5Bt09)

  • dnjsepdl123 2017/03/18 00:49

    생닭 도매로 ai전에 키로당 2500~3000원정도 했습니다

    (N5Bt09)

(N5Bt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