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막포로 웨딩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데..
오막포 두대로 영상을 촬영하고자 이것저것 만져보니
화질 설정이 서로 다르기에 매뉴얼을 뒤져보니 조금 알게 되었습니다.
비디오 형식이 NTSC가 있고 PAL이 있는데,
이 형식에 따라 각각 화질 설정 및 프레임이 다르던데..
1. 보통 웨딩영상 찍으실때 어떤 형식(NTSC / PAL) 에 놓고 찍으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2. 또한 NTSC와 PAL 형식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요?
3. 동영상 녹화 화질 부분에서 코덱이 MOV가 있고 MP4가 있는데 보통 어떤 것을 놓고 촬영하시는지요?
4. 또한 오막포는 c-log 촬영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센터에서 유료로 펌웨어를 해준다고 들었습니다만,
c-log 촬영이 확실히 MOV 혹은 MP4 코덱에 비해 프리미어프로로 색감 작업하기에 용이한지요?
이상입니다.
아시는 분께서 답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https://cohabe.com/sisa/1330532
오막포 영상설정 질문드립니다!
- 아이돌[아이즈원] 피에스타 뮤직비디오 티져...SWF [88]
- 커세어1200 | 2020/02/12 00:00 | 534
- 사회이명박근혜 정권에서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작동시킨 방식.jpg [6]
- 룬킹토르 | 2020/02/11 10:11 | 1131
- 인터뷰하려다 기자 누나랑 친구 먹은 개그맨 [12]
- Clelstyn | 2020/02/11 12:54 | 1313
- 니콘의 d700과 비슷한 소니바디가 뭐가 있을까요? [4]
- saladents | 2020/02/11 10:14 | 443
- 이번 2020아카데미 시상식 기생충에 묻힌 단편 다큐멘터리 후보 [3]
- 난넣고넌낳고 | 2020/02/11 08:06 | 596
- ??? : 머레이 부탁이 있어요.jpg [6]
- 노비양반 | 2020/02/10 23:27 | 425
- 교안이 레전드 의전 [11]
- 폭력부장관 | 2020/02/10 19:08 | 1151
- 전우용 교수 페북, "김구의나라" [3]
- 김테리우스 | 2020/02/10 16:43 | 1372
- 일본의 "유메"는!!! 한국이 이루어 주겠다고!! [10]
- 그런눈으로보지말아주세요 | 2020/02/10 14:04 | 607
- (소전)지휘관 가챠 [26]
- 오면서싸만코 | 2020/02/10 12:19 | 660
- 농협 근황 [12]
- Clelstyn | 2020/02/10 09:59 | 1517
- 레알 맛없는 생선ᆞᆞ [2]
- 징어왕 | 2020/02/10 04:49 | 1296
- 주어만 제시하면 삼행시가 나오는 자판기 . JPG [7]
- Gabriel Tosh | 2020/02/10 00:10 | 845
- 정말 150만원주고 90d 사면 바보인가요? [6]
- 뾰뾰롱 | 2020/02/09 22:12 | 579
- 어느 자게이의 어마무시한 통찰력과 살생부 ㅋㅋㅋㅋㅋㅋ (有) [8]
- 뜨거운손수건™ | 2020/02/09 20:02 | 1068
아날로그 시절 방송송출방식과 법의 잔재라서 신경안쓰셔도 되긴 하는데...
일단 한국은 NTSC가 규격이긴합니다.
mov와 mp4는 코덱이 아니라 콘테이너라서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헉 마루토스님을 여기서 뵙게되네요!!
간간히 검색하면서 유용한 글 잘 보고 있습니다.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mov mp4 차이는 없는 것이군요. 감사합니다!
1. 선명하기는 PAL이 선명하기는 합니다만 다 옛날얘기고... 그냥 우리나라는 NTSC 방식입니다. 컴터에서 동영상플레이어로 보는거는 큰 문제는 없습니다만... 머 약간의 문제가 있긴합니다만 무시할정도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2. NTSC는 미국주도로 규격화된 방식이고 PAL은 독일주도로 유럽에서 주로 쓰는 방식입니다. 차이점이라면 주사선 차이로 인해서 PAL이 약간 더 선명하지만 색표현에서는 NTSC가 낫습니다.
3. 오막포의 경우라면 MOV가 촬영옵션이 더 많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MOV를 쓰긴했지만 컨테이너의 차이일뿐 코덱은 h.264로 같습니다. 왜 이렇게 해놨는지는 이해불가지만...
4. log촬영하고 컬러그레이딩하는건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히려 독이 됩니다. 로그가 만능은 아니라서요.
모든 질문에 귀한 시간 들어주셔서 답을 달아주심에 감사합니다.
넵!! NTSC, PAL 차이가 있긴 하군요..ㅎㅎ
촬영옵션에 따라 맞는 것을 고르면 될 것 같다고 생각이 드네요 ㅎㅎ
4. 본식스냅 할때에는 RAW로 촬영해왔었습니다.
Raw가 아무래도 색정보가 많다보니 유리한 점이 많았습니
다.
Log촬영이 영상에서 RAW같은 포맷인건가.. 하고 여쭙게
되었습니다. 컬러를 다시 살리는 작업은 숙련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영상에서의 raw가 log는 아닌 것인가요..?
영상에도 RAW 촬영이 있기는 있습니다. 아주 고가의 캠에서 가능은 하지만 완전 커머셜에서나 감당할만한 영역이라(장비 가격도 편집하기 위한 환경도)...
Log는 일종의 꼼수입니다. 적절히 보기에 좋게 만들어버린거죠. 감마 커브를 미리 조정해서요. 근데 그 감마 커브 곡선이 Log함수 곡선 모양과 비슷하다고 해서 Log라고 불리는것 입니다.
여기서 왜 꼼수냐면 실제로 bit depth는 늘어난게 없는데 그렇게 보이게끔 한 것일 뿐이라는거죠.
결론적으로 raw랑 log는 완전 다릅니다.ㅎ
아 네 답변 감사드립니다!
Log는 다른 개념이군요.. ㅎㅎ 상세하게 설명해주셔서 참 감사드립니다.
Bit depth 비트심도? 라고 느껴지는데
요건 제가 좀 더 알아봐야겠네요 ㅎㅎ ^^
감사합니다!
NTSC와 PAL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촬영한거 혼자 PC로만 보시는 용도가 아니면
무조건 NTSC로 놓고 찍으셔야해요
아 이유를 여쭤보아도 괜찮을까요~?
왜인지.. ㅎㅎ 궁금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