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면 광고도, 인스타그램 사진도 하다못해 방금 현상한 슬라이드 필름에도 많은 사람들이 그토록 애타게 찾는 완벽한 화이트밸런스는 발현되지 못한다. 애초에 화이트밸런스라는 개념은 형이상학적 개념이기 때문이다.
2012, 5:46 PM, Baltimore, MICA Studio 438, 437 | HODO LEE, Original
2012, 5:46 PM, Baltimore, MICA Studio 438, 437 | HODO LEE, for WB lecture I
창 밖의 낮 풍경은 아주 자연스러운 5500k 영역 이지만, 건물 내부의 조명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백열등 색으로 3000k 영역이다. 우리가 실제 이 건물 안에 있을때에는 첫 번째 사진 같지도, 두 번째 사진 같지도 않은, 우리의 뇌에서 적당한 밸런스로 보정된 형태를 보게된다. 사진이 이렇게 극단적으로 표현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사진의 표현 범위가 우리의 인지 범위보다 훨씬 좁고 타협(?)을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의 두 사진을 보면, 화이트 밸런스란 과학의 영역과 인간(개인)의 인지영역 모두에 걸쳐있는 개념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여기서, 어떤 방향으로 사진을 수정하고 무엇을 선택할지 결정짓는 것은 작가의 의도 뿐이다.
2012, 5:46 PM, Baltimore, MICA Studio 438, 437 | HODO LEE, for WB lecture II
어쩌면, 바로 이렇게 사진을 이렇게 수정하여 보여 줄 수도 있다.
다만,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이것을 '옳은 사진'이라고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
“내가 보는(봤던)걸 그대로 재현.” | 개인의 경험
"장치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매체에 기록하고 후처리함" | 화학 사진의 제작과정
"장치가 측정한 것을 데이터로 분석하여 저장" | 디지털 사진의 제작과정
이 문장들이 갖는 아리송함을 조금만 들여다 보면 질문은 하나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내가(당신이) 뭘 어떻게 보았는지 누가 어떻게 안단 말인가?라고.
그 누구도 말할 수 없다. 물론 통상적으로 우리가 받아들이는 색에 대한 개념에는 어느정도의 공통적으로 협의된 범위가 있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색약 혹은 색맹과 같은 개념을 만들고 이해한다. 하지만 다시 돌아와, 어떻게 개인의 지각경험을 대체 어떻게 설명하고 정의 내리며 또한 그것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단 말인가?
물론 여기서 내가 말하고자 하는건 그런 현실 스탠다드에 대한 이론정립이나 그 시도를 무시하자거나 그것에 의미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다만 화이트 밸런스란 결국 촬영 현장에서 조명이 미치는 영향을 촬영자(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보정하는 것일 뿐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에 있어 그 부분을 어떻게 다뤄야 할 것인지에 대해 스스로 기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https://cohabe.com/sisa/1088163
3분 사진강의 노트 | 화이트밸런스의 형이상학
- 일본이 경제보복하는건 당연한거라 입장을 좀 두둔 [23]
- 가나쵸코 | 2019/07/15 18:51 | 4545
- 마트에서 천장 무너져서 차량 파손이 되었네요 [0]
- redia90 | 2019/07/15 18:51 | 5180
- 렌즈 공학도 더 발전할 여지가 있을까요? [14]
- [LX100M2]사이타마 | 2019/07/15 18:50 | 4176
- 도요타도 불매운동을 해야.. [48]
- CesarRod | 2019/07/15 18:50 | 4107
- 에픽세븐 간담회 그가 상복을 입은이유 [16]
- 빈유포화란 | 2019/07/15 18:50 | 4247
- 에픽세븐 공식방송 1700명돌파 [56]
- 어머니새엄마엔틱기어 | 2019/07/15 18:49 | 3764
- 최근 제 드림카 3모델.. [18]
- [5DmkIV]銀狼™ | 2019/07/15 18:47 | 4018
- 그냥 한장 올려봅니다~ [6]
- 슈퍼마스터 | 2019/07/15 18:44 | 3674
- 겨울왕국은 실체를 알고 나면 실망할 수 밖에 없음. [29]
- 사오아님 | 2019/07/15 18:43 | 5585
- 심은경이 일본영화 주연에 캐스팅된 이유 [4]
- 가라아게 마스크 | 2019/07/15 18:43 | 3013
- 동탄주차사건 당사자 엄마입니다. [11]
- ejan | 2019/07/15 18:41 | 8915
- 3분 사진강의 노트 | 화이트밸런스의 형이상학 [6]
- HodoLee | 2019/07/15 18:40 | 4867
- 라스트오리진)신캐 면접짤 [13]
- 섹시한작은고추박근혜 | 2019/07/15 18:40 | 3992
- 간담회에서 서로서로 정을 나누는 에픽세븐 유저들 [28]
- 로제마인™ | 2019/07/15 18:39 | 2167
심지어 찍는 자와 보는 자의 간극도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디지털은 되도록이면 필름스러운 느낌을 제거하면서도 자연스럽게 하려고 노력합니다.
디지털은 디지털스러워야 한다는 이상한 기준일 수 있겠습니다.
작가님의 기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당연히 만드는 사람과 보는 사람 사이의 간극이 있습니다. 시력이 저마다 다르듯 조금씩 설명하기 힘든만큼 다름이 있을 것입니다. 텍스쳐에 더 민감한 사람도 있을 것이고요.
제 개인적인 작업의 그저 제 기준이라 뭐라고 정확히 말로 표현하기는 어렵겠습니다.
다만 카메라 셋팅은 각 회사의 태양광 모드를 기준으로 합니다.
생각할 수 있는 글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이 결국은 본다는 것과 안다는 것의 차이 일텐데. 우리가 생각하는 이성이나 인식이 뇌의 전기적 신호에서 비롯된다고 해도. 결국엔 돌고돌고 돌아. 그 사태를 불교에서 회자되는 여여나 진여. 같은 개념에 비유할수 밖엔 없을거 같습니다. 좋은글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