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에서 놀다보면 간혹가다가 렌즈 조리개 값도 풀프레임 기준으로 말씀하시는게 보이던데
예를들어 올림 25mm 1.2를 풀프레임으로 환산하면 50mm 2.4다 이렇게요.
근데 저 의미가 판형에 의한 차이로 심도 표현(?) 빛의 수급량(?)이 풀프레임으로 치면 2.4정도다 라는건가요?
볼 때마다 궁금해서 괜시리 추측만 하고 물어보진 않았는데 제가 생각한게 맞는건지...
틀렸으면 알려주세요ㅠㅠㅎㅎ
https://cohabe.com/sisa/1078703
풀프 환산 조리개값이라는 의미가 제가 추측한게 맞을까욤?
- 음주측정만 4번한 사람ㅋㅋㅋ [7]
- 5505018087 | 4분전 | 324
- Cu가 유독 인기 없는 이유가 있네 [34]
- 발찌의제왕 | 6분전 | 635
- 블루아카)하아... 왕도적을 올바르게 해석하는 사람이 이렇게나 적다니 [5]
- 마그넷트 | 7분전 | 1012
- 아이오닉 6N 드리프트 스펙 ㄷㄷ [30]
- LDAC | 7분전 | 1039
- 인간을 개라고 생각해보면 이해되는 엘프 시점.jpg [34]
- 7696264539 | 13분전 | 1122
- ㅇㅇㄱ) 작업자였음 질문받아봄 [53]
- 927494014 | 14분전 | 547
- 블아 선생은 코코나한테도 지네 [20]
- M762 | 15분전 | 647
- 이 쉬벌놈 동맹국인 한국 일본에는 25% 때려놓고 [24]
- Temper4 | 16분전 | 597
- 소전2) "기괴한 인형" [6]
- 병영 | 17분전 | 1114
- ㅇㅇㄱ)뭐야 디즈니 존나 허벌이네 [9]
- 자라는키가자라 | 18분전 | 944
- 권은비 봤냐고 묻는 와이프 [28]
- 저어어새 | 19분전 | 945
결과물인 사진이 마포 25mm f1.2 와 풀프레임 50mm f2.4 렌즈를 썼을 때 거의 같습니다.
하지만 두 렌즈의 광학계 상 심도는 다릅니다. 25mm f1.2 렌즈는 어딜 가든 25mm f1.2렌즈의 광학계를 가지고 있겠죠. 포서드 센서에 사용할 때 쓰는 사람이 피사체와의 거리와 구도를 풀프레임 50mm를 사용할 때처럼 잡기 때문에 피사체와의 거리, 조리개 효과 등 보케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f2.4와 유사한 보케 크기의 사진을 만들어 낸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와우 정성스런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또 하나 배웠네요^^
심도 관련된건 DOF값으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빛의 양(?) 이 뭘 말씀하시는건줄 모르겠는데 F1.2면 셔터속도도 그에 따라갑니다.
절대적인 빛의 수급량이야 그렇지만, 그건 센서 크기가 차이 나기 때문이고 실제 셔터스피드는 1.2랑 같죠...
단점이 있음에도 전 이부분이 좋네요.
피사계심도는 초점이 맞은 것으로 인지되는 범위를 의미하고 (따라서 피사계심도는 길이 단위의 범위값입니다.) 그 범위는 허용착란원 지름(판형에 비례), 초점거리, 조리개값, 초점위치 (피사체와의 거리) 네 가지에 의해 결정됩니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심도를 비교할 때는 (암묵적으로) 피사체의 위치, 환산화각, 노출 따위가 통일되었다고 치고 이야기하기 때문에, '환산조리개값'이 직관적으로 유용하긴 합니다. 물론 그걸 듣는 사람 입장에서 '50mm F2.4는 몇 m에서 피사체를 찍으면 어떻게 나오더라' 가 되어야 의미가 있습니다.
빛의 값은 t값이고 이건 환산과 상관없습니다. 마포용 1.2렌즈가 t값에 1.4정도라고 치면 어디에 끼든 t값은 동일한 겁니다. 환산심도? 환산조리개?는 그냥 판형이 2배 차이니까 ff기준으로 그정도랑 비슷하다는 의미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