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번은 지그시 vs 다르다. 가 아니라
틀리다 vs 다르다 를 말하고 싶으셨던 듯..ㅎㅎ
glow2019/05/26 14:11
예요/에요 구분할 때 앞 말이 자음으로 끝나더라도 사람 이름이면 ‘예요’가 맞아요
맛있는사나이2019/05/26 15:21
.,
lucky2019/05/26 15:56
이거 벌써 몇번을 스크랩 한 건데도 맨날 헛갈리고 틀려요... 그래서 또 함
미스쿄쿄쿄2019/05/26 16:02
ㆍ
잉여randa2019/05/26 16:05
근데 저거봐서 안틀릴 맞춤법이면 애초 잘안틀리고 나 같은 사람은 봐도 잊음
ㅅㅁ전공2019/05/26 18:08
다행히 모르는 건 거의 없는데
+던/든 개별설명 첨가했음 싶음
+히/이 설명 자세했으면
+발자욱은 시적허용인건가요?
오노사토시2019/05/26 18:10
드러나다요 ㅠㅠ 들어나다 라는 말은 애초에 없어요 들어내다지...
진짜 이거 틀리는 사람들 너무 많아요
RainDrop2019/05/26 18:11
......
정왕동김모씨2019/05/26 18:12
좋은자료네요~!
탈퇴한회원임2019/05/26 18:13
안빼?
않빼?
츠마일2019/05/26 18:18
연세가 지긋이
가
가장 눈에 띄네요.
빨간망토초초2019/05/26 18:25
설겆이x
설거지o
이나꼬2019/05/26 18:37
바라요가 제일 짜증남.. 전인류가 바래요라고 말하는데 쓸데만 바라요라고 쓰는게 과연 맞는가.. 이런건 좀 아니지않나 싶음
ㄴr루호도2019/05/26 18:46
...
상선약수762019/05/26 18:49
ㆍ
Fith2019/05/26 19:10
7번에 깨끗이 - 깨끗하다 인데 예외처린가요
스프트니크2019/05/26 19:12
세종대왕님 : ???
꿀벅지마눌님2019/05/26 19:27
스크랩 하겠습니다.
맞춤법교정기2019/05/26 19:29
좋은 자료!! : )
hoyajuya2019/05/26 20:03
매번 끄덕끄덕 정독해도 나중엔 까묵까묵
파란해골13호2019/05/26 20:05
딱 좋은 예시
ㅇㅇ럽2019/05/26 20:37
게요 , 께요 가 없네요. 이거 은근 잘못쓰시는 분들 많음
폭발할만두2019/05/26 20:47
'아니요' 발음기호는?
1. 아니요
2. 아니오
도리도리d2019/05/26 21:07
띄어쓰기도 진짜 어려운...
나나치2019/05/26 22:01
O스 색스
새벽하늘사랑2019/05/26 22:29
믖춤법
마춤법
맞춤법
과꽃2019/05/26 22:38
사귀다.
사귀었다 = 사궜다? 사겼다?
사귀었었다 = 사구ㅕㅆ다? 사겼었다?
375A2019/05/26 22:45
.뵈요 봬요는 몰랐네요 ㅎㅎ
월급도적단2019/05/26 23:11
"안/않" 구분은 저렇게 하지 마시고
"안/않"을 기준으로, 앞을 부정하는가 뒤를 부정하는가로 구분하되, "안 되다"와 "안되다"는 서로 다른 말임을 추가해서 기억하시면 됩니다.
- 안 해 -> 뒤 "해"를 부정함.
- 하지 않을 거야. -> 앞 "하지"를 부정함.
안되다-> 어떠한 상황 따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미가 아니라, 꼴이나 처지가 좋지 않아 딱하다는 걸 의미함.
- 장사가 안 되다 -> 장사 금지 구역
- 장사가 안되다 -> 상권이 좋지 않거나 사업 수완이 나빠 가게에 파리만 날리는 상황.
사실 저렇게 꼼수로 배우는 거 좋지 않아요.
무리하게 규칙을 적용하려다 보니 오히려 틀린 경우가 더 많고,
무엇보다 본인의 언어감각이 보편적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저런 구분법에서 흔히 말하는 "~ 해서 말이 되면 000, 안 되면 000" 이런 식의 구분을 백날 봐 봐야 "전부 다 말이 되는데?" 이런 경우가 더 많죠.
그냥 힘들더라도, 정식으로 출간된 책 많이 읽고 사전 자주 보면서 정석으로 배우는 게 최고입니다.
전 아직도
"로서/로써" 구분을 "사물/사람"으로 구분한다고 퍼트린 사람이 누구인지 참 궁금합니다. 망할 그 구분법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로서/로써"를 틀리게 쓰는지...
한번보고또보고2019/05/26 23:16
좋아요!
감자농장2019/05/26 23:24
.
빠빠롱아2019/05/26 23:25
점
이런...2019/05/26 23:31
미쳐/미처 둘 다 있는 말입니다
이성과 미처 연애도 못 해봤는데 오유를 했다
오유에 미쳐 커플이 되지 못 했다
불편대마왕2019/05/26 23:40
●
여우비구름2019/05/27 00:57
혼동하기 쉬운 마춤법 정보
선녀와나묶은2019/05/27 02:12
함부로(함부러). 일부러(일부로). 먹으러(먹으로). ~시피(~싶이). 일일이(일일히). 지인(아는 지인). 외곽(외각). 호의호식(호위호식)
섞다(썪다). 썩다(썪다), 반드시(반듯이). 어떡하지(어떻하지). 어떡해(어떻해). 거의(거이. 거희). 연애(연예.연얘). 얘기를(예기를)
훼손(회손). 빚(빛). 왜(왜 때문에). 조치(조취). 한 끗 차이(한 끝 차이). 비로소(비로써). ~하지만(~하다만. ~한다만. 둘 다 반말입니다.)
'깨끗하다'처럼 앞말이 ㅅ으로 끝나면 '~이'가 붙어서 '깨끗이'가 됩니다.
단언컨대 이상해요
엇 진짜 단언컨대... 뭔가... 이상하네요
맞춤법 진짜 어려우니 아무렇게나 써야지~~!
저는 돼, 되 는 이제 절대 틀릴수가 없습니다.
썸녀가 맞춤법 틀리는거 보기 싫다고 이해하기 쉽게 하나하나 알려줬는데
결국 차였거든요.. 정말 사랑했는데 ㅅㅂ..
몇일 며칠도
며칠후 이럴때나 며칠이지
오늘 몇일이야? 물어볼때도 몇+일 이니 저렇게 틀린표현이라고 단정지을건 아니지않나요...?
아니면 몇일인지 물어볼때도 오늘 며칠이야? 가 맞는건가요...?
잠궜다. 잠갔다. 는 이해가 가는데.
명령문으로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예전에 문을 잠궈라. 가 틀린 문장이던 기억이..
뭐라고 고쳐야 하나요?
베게X 베개O
김치찌게X 김치찌개O
설겆이X 설거지O
베개새.끼 김치찌개새.끼 설거지새.끼 로 외우는 맞춤법.
이/히 는 저렇게 구분해도 전혀 예외가 없나요?
21번은 지그시 vs 다르다. 가 아니라
틀리다 vs 다르다 를 말하고 싶으셨던 듯..ㅎㅎ
예요/에요 구분할 때 앞 말이 자음으로 끝나더라도 사람 이름이면 ‘예요’가 맞아요
.,
이거 벌써 몇번을 스크랩 한 건데도 맨날 헛갈리고 틀려요... 그래서 또 함
ㆍ
근데 저거봐서 안틀릴 맞춤법이면 애초 잘안틀리고 나 같은 사람은 봐도 잊음
다행히 모르는 건 거의 없는데
+던/든 개별설명 첨가했음 싶음
+히/이 설명 자세했으면
+발자욱은 시적허용인건가요?
드러나다요 ㅠㅠ 들어나다 라는 말은 애초에 없어요 들어내다지...
진짜 이거 틀리는 사람들 너무 많아요
......
좋은자료네요~!
안빼?
않빼?
연세가 지긋이
가
가장 눈에 띄네요.
설겆이x
설거지o
바라요가 제일 짜증남.. 전인류가 바래요라고 말하는데 쓸데만 바라요라고 쓰는게 과연 맞는가.. 이런건 좀 아니지않나 싶음
...
ㆍ
7번에 깨끗이 - 깨끗하다 인데 예외처린가요
세종대왕님 : ???
스크랩 하겠습니다.
좋은 자료!! : )
매번 끄덕끄덕 정독해도 나중엔 까묵까묵
딱 좋은 예시
게요 , 께요 가 없네요. 이거 은근 잘못쓰시는 분들 많음
'아니요' 발음기호는?
1. 아니요
2. 아니오
띄어쓰기도 진짜 어려운...
O스 색스
믖춤법
마춤법
맞춤법
사귀다.
사귀었다 = 사궜다? 사겼다?
사귀었었다 = 사구ㅕㅆ다? 사겼었다?
.뵈요 봬요는 몰랐네요 ㅎㅎ
"안/않" 구분은 저렇게 하지 마시고
"안/않"을 기준으로, 앞을 부정하는가 뒤를 부정하는가로 구분하되, "안 되다"와 "안되다"는 서로 다른 말임을 추가해서 기억하시면 됩니다.
- 안 해 -> 뒤 "해"를 부정함.
- 하지 않을 거야. -> 앞 "하지"를 부정함.
안되다-> 어떠한 상황 따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미가 아니라, 꼴이나 처지가 좋지 않아 딱하다는 걸 의미함.
- 장사가 안 되다 -> 장사 금지 구역
- 장사가 안되다 -> 상권이 좋지 않거나 사업 수완이 나빠 가게에 파리만 날리는 상황.
사실 저렇게 꼼수로 배우는 거 좋지 않아요.
무리하게 규칙을 적용하려다 보니 오히려 틀린 경우가 더 많고,
무엇보다 본인의 언어감각이 보편적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저런 구분법에서 흔히 말하는 "~ 해서 말이 되면 000, 안 되면 000" 이런 식의 구분을 백날 봐 봐야 "전부 다 말이 되는데?" 이런 경우가 더 많죠.
그냥 힘들더라도, 정식으로 출간된 책 많이 읽고 사전 자주 보면서 정석으로 배우는 게 최고입니다.
전 아직도
"로서/로써" 구분을 "사물/사람"으로 구분한다고 퍼트린 사람이 누구인지 참 궁금합니다. 망할 그 구분법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로서/로써"를 틀리게 쓰는지...
좋아요!
.
점
미쳐/미처 둘 다 있는 말입니다
이성과 미처 연애도 못 해봤는데 오유를 했다
오유에 미쳐 커플이 되지 못 했다
●
혼동하기 쉬운 마춤법 정보
함부로(함부러). 일부러(일부로). 먹으러(먹으로). ~시피(~싶이). 일일이(일일히). 지인(아는 지인). 외곽(외각). 호의호식(호위호식)
섞다(썪다). 썩다(썪다), 반드시(반듯이). 어떡하지(어떻하지). 어떡해(어떻해). 거의(거이. 거희). 연애(연예.연얘). 얘기를(예기를)
훼손(회손). 빚(빛). 왜(왜 때문에). 조치(조취). 한 끗 차이(한 끝 차이). 비로소(비로써). ~하지만(~하다만. ~한다만. 둘 다 반말입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