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946559

E-M1X DR에 대한 잡생각ㄷㄷ

E-M1m2 와 E-M1X 는 같은 센서로 알려져 있는데
(성능을 좋게 하기 위해 새로운 코팅을 했다...라는 주장은 일단 가볍게 무시하고)
어제 43루머에 올라온 그래프에 따르면 DR test 에서 다른 결과가 나왔는데
s0PlH681d4vgo2oceg.jpg
노이즈 test 에서 M1X 와 M1m2 비교시 0.5-0.7 스톱 M1X 가 더 좋은 걸로 보이는 비교와
센서는 같은 것이다...라는 가정과
위의 DR test 그래프를 보면
그래프를 오른 쪽으로 옮기면...거의 일치하는 듯한 모양새라...
결국 E-M1X 에서 약 언더로 찍으면 E-M1m2 와 같은 DR이며
바디 특성상 높은 iso를 많이 쓸 가능성이 많기에
DR을 약간 포기하고 노이즈 저항성을 높이는 세팅을 가져갔다...라고 생각이 드네요ㄷㄷ
이 것은 타사 스포츠 바디들도 그런 세팅을 하니 아래와 그림과 같은 DR 비교 그림이 나왔겠죠ㄷㄷ
s02j9g86e3508mf1m8v.jpg
그러니...개인적인 생각으로는 E-M1m2 보다 DR 낮다고,....놀라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을 해봅니다ㅎㅎ
신기한 것은
첫번째 그림...확장감도 64 에서 떨어졌던 DR 이....다시 회복하는데...으응?
잘 모르겠는데....절묘한 세팅이라는 생각이...
높은 iso 에서 DR을 희생했는데도 ... 확장 저감도에서 DR 이 왜 다시 올라가는지?ㄷㄷㄷ
(200에서는 약간 떨어지는 듯...거의 비슷한 DR)
핸드헬드 5000만 화소나 삼각대 8000만 화소 등의 고해상도 모드에서
DR의 증가 효과도 있다고 하는데...저감도의 DR 회복 능력과 함께...
풍경도 괜찮을 듯??(리뷰어 님들이 고찰해주시겠죠 ㄷㄷ)
P.S.> Dxomark 에서 센서 test 결과 나오면..거의 같은 결과 나올 듯ㄷㄷㄷ

댓글
  • lunic* 2019/03/03 12:17

    최근 DxO는 폰 말고는 측정 장사를 할 생각이 그냥 없어 보입니다.

    (vZDCnl)

  • Wolf 2019/03/03 12:29

    핸드폰 덕분에 흥했더군요ㄷㄷㄷ

    (vZDCnl)

  • Wolf 2019/03/03 12:39

    그림이 안 올라가네요 ㅠ
    첫번째 그림

    (vZDCnl)

  • Wolf 2019/03/03 12:40

    두번째 그림

    (vZDCnl)

  • v2killer 2019/03/03 13:41

    일단 찍어봐서 확실히 말하는건 헨드헬드 퀄 진짜 좋다는겁니다.

    (vZDCnl)

  • Wolf 2019/03/03 13:54

    제가 생각하는 올림 고해상도 모드의 장점은...
    타사 고화소바디는 고화소를 감당할 고가의 고품질 렌즈가 필요한데....
    MIX 는 비교적 저렴이(?) 렌즈들로도...좋은 효과가 나와서....경제적이란 점 입니다ㄷㄷ
    시간이 좀 걸리는 단점은 있지만요 ㅎ

    (vZDCnl)

  • Crti 2019/03/03 14:11

    두번째 dr 차트는 잘못표기되어있네요
    이게 맞습니다

    (vZDCnl)

  • Wolf 2019/03/03 14:42

    제가 퍼온 사이트는
    http://www.digitalcameraworld.com/reviews/olympus-om-d-e-m1x-review...
    인데 이미지프로세싱이 들어간 듯?... 위 사이트의 전기신호적 접근이 센서의 근본적 능력을 더 잘 보는 것 같기는 하네요.

    (vZDCnl)

(vZDCn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