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 이상 선을 연결시
전선을 꼬아서?
슬리브 압착?
https://cohabe.com/sisa/844520
전선연결시 어느게 더 좋운 방법인가요?
- LG 회장의 패기 [25]
- 한빛아리임 | 2018/12/11 07:52 | 3392
- 드론조종 생각보다 많이 어렵네요. [21]
- 골룸뭐시기 | 2018/12/11 07:52 | 2767
- 문재인 타임지 올해의 인물 최종 후보 [16]
- 최종병기 | 2018/12/11 07:51 | 2478
- [소녀전선] 은혜갚은 디너게이트 [12]
- 후후후...카미유 비단 | 2018/12/11 07:50 | 5526
- 나쁜 선생은 아니었다 [9]
- 한빛아리임 | 2018/12/11 07:48 | 2357
- 사복만 입으면 망하는 누나 [17]
- [필레몬Vll] | 2018/12/11 07:46 | 4892
- 어디에나 어울리는 갓 캐릭터 [10]
- 워로드 | 2018/12/11 07:44 | 5468
- 1살 아이 촬여용 렌즈 추천 부탁드려요! [4]
- ☞☜... | 2018/12/11 07:44 | 2783
- 아침식사 5천원 [14]
- 눈떠보니중년 | 2018/12/11 07:43 | 4665
- 효율 쓰레기 운동 [9]
- nyaa | 2018/12/11 07:42 | 5180
- 변희재...ㅍ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11]
- Premium™ | 2018/12/11 07:38 | 2729
- 경강선 탈선사고.. 이건 예견된 사고라고 봐야 [15]
- 파인크래프트 | 2018/12/11 07:37 | 4654
- 울트라년 만화 [18]
- 라그나로쓰구이 | 2018/12/11 07:31 | 4577
- 삼성 버이오로직스 근황 ㄷㄷㄷ [20]
- offsetrain | 2018/12/11 07:31 | 5840
- 전선연결시 어느게 더 좋운 방법인가요? [22]
- 상상환자 | 2018/12/11 07:29 | 4272
2222222222222
2가 더 좋은 방법인가요?
22
빠질 위험이 적고 압이 더 새게 주어져서 그런건가요?
그렇게 까지는 못하고요 ㅎ
왼쪽은 꼬기만 한것이 아니라 끝 부분에 웰딩까지 되어 있는 것 처럼 보이네요.
그냥 당순히 꼬는거 하고 슬리브 압착시에요.
왼쪽은 전선의 가운데 부분을 제거 후
반으로 접어서 꼰겁니다.
웰딩이 아닙니다.
1번(선재 2개를 단순히 꼰 경우)이든 2번이든 시간이 지나면
표피에 때가 타고 헐거워 지기 마련입니다.
자주자주 점검해 줘야죠.
질문하신분은 끝부분 용접을 의미하지는 않으셨을 수 있는데,
사용하신 사진의 끝 부분은 용접이 되어 있습니다.
사용하신 이미지는 러시아 쪽에서 작성한 글 에서 발췌하신 것같습니다.
http://3agorod.ru/s/sposoby-soedineniya-provodov/
Самый долговечный, монолитный и качественный контакт получается при соединении проводов сваркой. С течением времени разрушаются даже паяные соединения, поскольку на границе между металлом проводов и более рыхлым припоем неизбежно возникает повышенное переходное сопротивление. В случае со сваркой ситуация другая: соединение состоит из монолитного однородного металла, и значение переходного сопротивления в месте контакта получается минимальным. Кроме того, сварные соединения отличаются повышенной прочностью.
용접으로 전선을 연결할 때 가장 내구성이 높고 모 놀리 식 및 고품질 접촉이 이루어집니다. 솔더 조인트조차도 와이어의 금속과 느슨해 진 솔더 사이의 계면에서 필연적으로 증가하는 일시적인 저항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괴됩니다. 용접의 경우 상황은 다릅니다. 접합부는 모 놀리 식 균질 금속으로 구성되며 접촉 지점에서 전이 저항의 값은 최소화됩니다. 또한, 용접 이음 부는 강도가 증가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1번 전선 예쁘게 잘 꼬았네요
1번 처럼 연결할경우 일빈적인 사용에는 무리가 없으나
(가정에서는 무리가 없습니다)
대량의 전류가 흐를경우 접촉저항 때문에 열이 발생할 활률이 2번보다 높습니다
슬리브 사용시 저렇게 안꼬고 일자로 넣고 압착해도 되나요?
심선은 1번 연선은 2번
여기서 헤갈리네요
ㅎ
비교가 불가하죠. 22222
그정도인가요..
꼬아서 연결 수축튜브로 마감
22222 무조건입니다
2222에다가 수축튜브.?ㅋㅋㅋ
2222222
1번은 1가닥전선일때 사용 2번은 한선에 얇은 여러가닥
선일때 사용하기 좋아요
짤없이 둘다 같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