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141144

선예도 관련해서 제가 제대로 이해 한건지

영상 찍다 보니 깨달은건데
그동안 야간영상만 찍다가 우연히 대낮 영상을 찍었는데
화질이 너무 안좋게 찍혔더군요
뭐가 잘못된건가 생각해보니
제가 한 거라곤 조리개를 조인거 밖에 없습니다.
조리개 수치를 많이 올린거죠.
셔속은 고정해야하니 그럴 수 밨에 없는데
그렇다면 조리개를 너무 많이 조이면 오히려 해상력이 떨어지는 건가요?
어제 먼데까지 가서 찍었는데
화질이 별로라 좀 마음이 안좋네요.
트루컬러를 하나 더 사야하나 ㅠㅠ.

댓글
  • Loxia 2025/11/20 10:03

    조리개를 과하게 조이면 빛의 회절현상 때문에 화질에 영향을 줍니다

    (evsk6h)

  • ∴현서라이브∴ 2025/11/20 11:12

    이제 알았네요 ㄷㄷㄷ

    (evsk6h)

  • 슈완 2025/11/20 10:04

    14넘어가면 해상력이 떨어집니다. 회절현상 때문에요. 근데 동영상을 안 찍어서 화질이 얼마나 떨어지는지를 체감하긴 어렵네요. 아무튼 이론상 조리개를 최대치로 조이면 적정 조리개(2.8~5.6)보다 화질이 떨어지는건 사실이고, 개각도를 고정해서 쓸 때 그걸 극복하시려면 ND필터를 사용하시는 수 밖에 없습니다

    (evsk6h)

  • ∴현서라이브∴ 2025/11/20 11:12

    영상도 마찬가기 같아요 이제 알았네요.

    (evsk6h)

  • littl 2025/11/20 10:24

    렌즈별 최대 해상력 나오는 조리개 얼마인지는 기본 알고 있어야 하는거 아닙니꽈~ (박명수버전입니다. 죄송 )
    너무 조이면 화질이 안좋을수 있지만 그것보단
    조리개값 때문에 iso 가 많이~ 10000 이상? 올라서 화질이 나빠졌을걸로 추측해봅니다.

    (evsk6h)

  • ∴현서라이브∴ 2025/11/20 11:13

    사진을 20년 가까이 만지면서 가장 기본적인걸 이제 알게 되었네요.
    늘 최대 개방망 관심두고 살았더니 이런 폐해가 ㅠㅠ

    (evsk6h)

  • ∴현서라이브∴ 2025/11/20 11:14

    아 참고로 iso는 300 정도 였습니다.

    (evsk6h)

  • 김민용 2025/11/20 10:46

    렌즈마다 다르긴 해도 8-11 구간을 지나면 회절로 화질 저하가 오죠

    (evsk6h)

  • ∴현서라이브∴ 2025/11/20 11:13

    그런거 같아요 어제 제법 많이 조였거든요

    (evsk6h)

(evsk6h)